• Title/Summary/Keyword: 상호작용함수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mprovement of Retrieval Feedback Using Dynamic Interaction Function (동적 상호작용 함수를 애용한 검색 피드백의 개선)

  • Han, J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2
    • /
    • pp.93-98
    • /
    • 2006
  • The paper describes a method o( user feedback in order to enhance the retrieval system effectiveness. The existing fuzzification function adapting fuzzy technique has difficulty that 4 type graph is made each time user select components. In this paper, to overcome this weak point of feedback, we proposed the interaction function using gaussian function that gives different learning rate according to choice of components with same function. We suggest the most efficient dynamic interaction function based on comparison of retrieval performance according to parameter of function. And then, we will construct the efficient retrieval system.

  • PDF

Verification of SMIL 2.0 Document using a Functional Transformation (함수적 변환을 이용한 SMIL2.0 문서의 검증)

  • Kim, Kyu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84-28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문서인 SMIL 2.0 문서를 함수적 변환을 이용하여 문서의 검증방법을 제안한다. SMIL 2.0 문서는 기존 SMIL 1.0보다 더 많은 시간 관계의 기술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문서 작성의 융통성은 높아지지만 상호작용에 따른 잠재적인 모순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다. 특히 비결정행위에 따른 미디어 객체간 상호 참조 및 이벤트 참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모순 검증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검증 방범은 SMIL 2.0 문서를 함수적 표현으로 변환하고 객체간 상호참조를 탐색하여 모순 유무를 나타내는 검증 프로토타입이다. 적용 예로는 상호작용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문서의 검증이다.

  • PDF

마이크로월드에서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질적 접근

  • Kim, Hwa-Gyeong;Song, Mi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267-276
    • /
    • 2004
  • 이 글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호변화적(covariational) 개념으로 변화율에 대한 교수실험을 담고 있다. 기하적 문맥에서 함수의 그래프를 자연스럽게 도입하고, 함수의 변화율에 대한 상호변화적 질적 접근의 예를 제시한다. 또한 언어적 명령을 통하여 스스로 함수의 그래프를 만들어보도록 하고 함수의 그래프를 분석하는 경험을 가지게 하여 이후 함수와 그 역함수와의 개념을 마이크로월드에서 경험하도록 하는 환경과 그 역할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과정을 통한 마이크로월드, 학생, 연구자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알아보고 이 후의 대수식의 도입에 대한 문제를 논의한다.

  • PDF

An Analytical Study of Vibrating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s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진동기계기초의 해석법 연구)

  • Lee, In-Mo;Lee, Seok-Won;Park, Jong-Gwan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7 no.3
    • /
    • pp.5-20
    • /
    • 1991
  • 동하중을 받는 진동기계기초의 동적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임피던스함수의 적절한 산 출이 필수적이며, 회전기계 -기초 -지반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동적해석이 요구된다. 이제까지 지 반의 임퍼던스함수는 주로 원형기초에 한하여 제시되어 왔으나, 기초의 형상은 실제로 지반의 임퍼 던스함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형상 및 매립된 기초에 적용할 수 있는 임퍼던스함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임퍼던스함수를 바탕으로, 회전기계 -기초- 지반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동적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예제해석을 통하여 각종 임피던스함수의 적용에 따른 기계기초의 응답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주파수독립 임퍼던스함수와 주파수종속 임피던스함수를 이용한 결과를 비교해 볼 때,수평방 향과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동적응답이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연직방향 운동에 대해서는 상 당한 차이를 보인다. 2) 표면기초와 매립기초를 비교해 본 결과, 매립기초에 있어서 수평방향과 회전방향에 있어서는 동적응답이 거의 일정한 간에 도달하므로 기초가 어느 정도 매립된다면 안전측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직방향에 있어서는 매립여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PDF

Verification of Temporal Relations on SMIL 2.0 Document using an Extended Temporal Interval Model (확장된 시간 구간 모델을 이용한 SMIL2.0 문서의 시간관계 검증)

  • Kim, Kyung-D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5
    • /
    • pp.828-836
    • /
    • 2008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verification of temporal relations on SMIL 2.0 document using an extended temporal interval model. The SMIL 2.0 document has more asynchronous temporal relations and supports more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objects than traditional SMIL document. But it is higher to produce temporal inconsistency by various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objects. So the suggested verification method expresses SMIL 2.0 document as functional relations based on an extended temporal interval model and verifies SMIL 2.0 document using interactive relations and temporal intervals between objects. Applications to the verification method are as follows; multiuser interactive contents, online-learning, etc.

Improvement of User Feedback using Gaussian Function in Component Retrieval (컴포넌트 검색에서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한 사용자 피드백의 개선)

  • Han, Jung-Soo;Kim, Gui-Ju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89-392
    • /
    • 2005
  • 본 논문의 컴포넌트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피드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퍼지 기법이 적용된 삼각형 모양의 퍼지화 함수는 컴포넌트를 선택할 때마다 매번 4가지 경우의 그래프를 재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드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검색된 컴포넌트의 선택여부에 따라 동일한 함수이지만 학습률을 달리할 수 있는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한 상호작용 함수를 제안한다. 가우시안 함수를 피드백 함수로 채택 시 함수의 파라메타에 따른 검색 성능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인 동적 상호작용 함수를 제안하여 소수의 컴포넌트로도 좋은 검색 결과가 가능한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Object Interaction Animation Using Imitation Learning and Motion Blending (모방학습과 모션 블렌딩을 이용한 객체 상호작용 애니메이션)

  • Jeong-Min-Shin;Sang-Won Han;Byeong-Seok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571-574
    • /
    • 2023
  • 애니메이션은 주어진 키프레임(key frame)에 맞추어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할 때 상대편 물체의 위치나 방향을 애니메이션에 맞추어 변환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방학습으로 애니메이션을 학습하고, 모션 블렌딩(motion blending) 기법으로 객체 간 상호작용을 학습하여 새로운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에이전트(agent)는 오브젝트의 상태를 관측하고 주어진 모션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행동을 취하고 목적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에이전트가 행동하는 과정에서 모션 블렌딩 비율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함수를 설계하고, 생성되는 애니메이션이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동작에 가깝도록 회전 각도 clamping 함수와 보상 시스템을 설계하여 반영한다. 모방학습 기반 모션 블렌딩 기법은 객체의 변화에 상호작용하는 애니메이션을 기존 강화학습 기반 애니메이션 생성 기법보다 적은 학습량으로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컴퓨터 환경에서 개념 형성과정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Go, Sang-Suk;Go, Ho-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381-40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본인이 직접 조작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 환경에서 함수와 그래프, 그를 이용한 문제해결에서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 발달을 통해 어떠한 언어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가에 관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이때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류 틀을 개발하여 언어적 상호작용의 양상을 밝히며, 컴퓨터가 학생들의 의사소통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학생의 인지 발달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파악하여 현장 수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Interaction of Fluid and Thin Shell Structure with Signed Distance Fields (거리 장 함수를 이용한 얇은 막과 유체의 예측 기반 상호작용 시뮬레이션)

  • Kim, Po-Ram;Shin, Seung-Ho;Lim, Jae-Ho;Kim, Chang-H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7 no.1
    • /
    • pp.17-24
    • /
    • 2011
  • In Computer Graphics, interaction between a particle-based fluid and a rigid body is important. In General, this interaction has been simulated in a discrete environment. As a result, there have been lots of errors. The larger the time step is used, the bigger the error is. This paper describes how to minimize the error in a discrete environment. To be specific, the collision handling method is that estimates particle collision using a signed distance function increases continuously according to space. At the time a fluid particle and a rigid body model collide, the exact collision time and the position is estimated. Through this, we propose the method how to be simulated the interaction between a fluid and a rigid body model as a continuous environment.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based on Neighborhood Interaction Function for BCI(Brain-Computer Interface) (BCI(Brain-Computer Interface)에 적용 가능한 상호작용함수 기반 자율적 기계학습)

  • Kim, Gui-Jung;Han, Ju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289-294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n autonomous machine learning method applicable to the BCI(Brain-Computer Interface) is based on the self-organizing Kohonen method, one of the exemplary method of unsupervised learning. In addition we propose control method of learning region and self machine learning rule using an interactive function. The learning region control and machine learning was used to control the side effects caused by interaction function that is based on the self-organizing Kohonen method. After determining the winner neuron, we decided to adjust the connection weights based on the learning rules, and learning region is gradually decreased as the number of learning is increased by the learning. So we proposed the autonomous machine learning to reach to the network equilibrium state by reducing the flow toward the input to weights of output layer neur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