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연동

Search Result 86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terworking and Formal Description of Access Control Models for Managed Object (망관리 객체에 대한 접근제어 모델의 상호연동 및 정형적 기술)

  • 최은복;이형효;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736-73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ITU-T 권고안에 정의된 장제적 접근제어 모델과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상호연동한 모델의 관리객체 상호관계구조를 정의하였다. 또한 관리속성값을 제어하는 관리연산을 연관된 유형별로 묶어 역할로 정의하였으며 관리자와 관리객체에 보안등급을 부여함으로써 무결성을 보장하고 관리자 관리객체 사이에 역할을 배정하므로써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접근제어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역할배정규칙과 제약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rule' 관리객체 클래스의 접근제어 결정함수와 접근제어 집행함수의 동작과정을 동적특성 기술언어를 체계적이고 정형적으로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Standardization between heterogenous video surveillance security systems (이기종 영상보안 시스템간의 표준화 연구)

  • Lee, Daesung;Cho,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19-321
    • /
    • 2012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상보안시스템들은 국내외의 여러 제작 업체에서 생산된 서로 다른 영상보안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영상보안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성능 등을 제공하고 있어 영상보안시스템들 간의 상호 연동 및 상호 운용이 되지 않고, 운영 주체의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와 운용을 통한 영상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사항이 따른다. 본 표준화 연구는 향후 다양한 영상보안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및 IP기반 환경으로서의 진화에 대비하고, 특정 제조사의 영상보안시스템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개별 영상보안시스템간 상호 연동 및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하나의 통일된 표준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에 대해 논의한다.

  • PDF

B-ISDN과 N-ISDN 의 연동방안

  • 장재득;김진태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2 no.12
    • /
    • pp.166-175
    • /
    • 1995
  • 기존의 N-ISDN 망과 현재 진행 중인 B-ISDN 망이 공존하는 과정에서 B-ISDN 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N-ISDN 망의 기능 및 특성과 서비스 질을 최소한 유지하고, N-ISDN 망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B-ISDN과 N-ISDN의 연동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안에서는 N-ISDN급의 정보 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N-ISDN 망과 B-ISDN 망사이에 적합한 연동망을 구성하며, 구축될 새로운 연동망을 고려한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방안으로 B-ISDN과 N-ISDN 사이의 연동에 관한 통신 시나리오, 서비스 연관 및 접속 유형, 그리고 망연동 및 서비스 연동에 대한 시나리오의 개략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연동 방안에서는 망 접속 장치를 통하여 N-ISDN의 회선모드 베어러 서비스(Circuit Mode Bearer Service)는 B-ISDN의 서비스 등급 A로, 패킷모드 베어러 서비스(Packet mode bearer Service)와 프레임 모드 베러어 서비스(Frame mode bearer Service)는 B-ISDN의 서비스 등급 C로 각각 수용되어 망연동 및 서비스 연동을 가능하게하여 주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정보 전달 능력(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을 가지고 있는 B-ISDN과 N-ISDN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시켜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f DRMs in IPTV and Contents Sharing between different DRMs (IPTV기반 DRM 구현 및 이종 DRM간 상호 연동 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Jong-Jin;Lim, Tae-Beom;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92-695
    • /
    • 2011
  • 미디어 서비스 및 디스커버리 관련 기술 개발은 주로 DTV, 인터넷, 개인 모바일 멀티 미디어 기기 중심의 미디어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이러한 미디어 서비스들은 홈 네트워크 환경과 융합하여 홈 미디어 서비스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개인들은 이미 많은 이동형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소유하기 시작했고, 각 기기마다 플레이 가능한 컨텐츠 포맷, 라이선스 구조, 상세정보를 기술하는 정보들이 서로 상이하게 제공되기도 한다. 이런 멀티디미어 환경의 발달과 함께, 개인간 또는 개인이 소유한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요구가 생겨나고, 개인 맞춤을 위한 서비스를 받고자 소유한 개인 컨텐츠 포맷 및 라이선스 파일들 개인정보와 콘텐츠를 기술하는 메타 데이터들은 DRM 정보, 개인의 습성 및 취향 등에 대한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보안 및 보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IPTV 환경에서 이종 DRM이 설치된 기기사이에 컨텐츠 상호 연동 방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기술 동향

  • 김상완;김정윤;김성연;이경휴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3
    • /
    • pp.78-92
    • /
    • 2003
  • 본 고에서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들 중 소프트스위치(MGC)와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사용될 수 있는 BICC, SIPT, Megaco/H.248 프로토콜과 VoIP용 프로토콜인 H.323, SIP 프로토콜 등의 표준화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차세대 등합 네트워크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기존망들간의 연동 기술들에 대한 표준화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동기술 동향으로써 MSF(Multiservice Switching Forum)에서 주관하고 있는 장비 간 상호운용성 시험인 GMI(Global MSF Interoperability)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A Study of Grid Security Infrastructure (Grid Security Infrastructure에 관한 연구)

  • 함동읍;박재영;문두현;박세현;송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12a
    • /
    • pp.366-371
    • /
    • 2003
  • 그리드 컴퓨팅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컴퓨터, 데이터베이스, 첨단, 장비 등)를 네트워크로 상호 연동하여 조직과 지역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슈퍼컴퓨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호 연동과정에서의 보안적 취약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드 개요, 구조, 국내외적인 동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리드의 Secur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Real-Time Simulation Environment based on HLA for Embedded System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HLA기반 분산 실시간 시뮬레이션 환경 구현)

  • 정재경;김호정;원강연;김종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400-402
    • /
    • 2003
  • 복잡하고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고 기존의 여러 다른 시스템과 연동해야 하는 내장형 시스템을 저비용 고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시험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분산 실시간 시뮬레이션 환경이 효과적이다. 또한, 특정한 목적으로 개발된 기존의 이질적인 시뮬레이션 모델들간의 상호호환과 재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고, 내장형 시스템과 시뮬레이션 환경의 연동 및 상호운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LA(High Level Architecture)기반으로 새로운 시뮬레이션 환경구조, 동작과정 및 운영절차를 제안하고 고찰한다.

  • PDF

An Authentication Interworking Mechanism between Multiple Wireless LANs for Sharing the Network Infrastructure (망 인프라 공유를 위한 무선랜 시스템들간의 상호 인증 연동 방법)

  • Lee Wan Y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1A no.6
    • /
    • pp.451-458
    • /
    • 2004
  • The previous studies focussed on the security problem and the fast re-authentication mechanism during handoffs in a single wireless LAN system. When the multiple wireless LAN systems share their network infrastructure one another, we propose an authentication mechanism allowing the subscriber to Perform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authentication server of its own wireless LAN system even in areas of other wireless LAN systems as well as in areas of its own wireless LAN system. In the proposed mechanism, the access point or the authentication server of other wireless LAN systems plays a role of the authentication agent between the subscriber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of the subscriber's wireless LAN system. The proposed authentication mechanism i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802.1X and EAP-MD5 protocols.

Development of Travel Time Model at the Signal Coordinated Links Using Traffic Flow Model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 박용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45-155
    • /
    • 1998
  • 대도시 가로망의 대부분은 신호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가 연결되는 가로(link)로 구성되어 있어 가로의 통행시간은 가로의 주변여건, 차량간의 상호작용 및 교통신호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가로망에서 신호 연동체계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로망을 대상으로 연동가로의 교통흐름을 가장 잘 나타내는 Greenberg모형을 이용하여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은 임계통행시간$(t_m$)과 교통량 대가로최대교통량비$(q/q_m)$의 함수로 이루어졌다. $t_m$모형은 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 및 불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의 비를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가로 용량모형은 상류부와 하류부의 신호조건에 따른 변수와 가로길이를 변수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12개의 연동가로의 자료를 적용하여 연동으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통행시간 모형은 도로용량에 제시한 모형에 비하여 간단하게 가로의 통행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교통계획에 적용되는 통행시간모형 비하여 가로의 신호 및 운영조건을 포함한 세부적인 통행시간 모형이다.

  • PDF

The QoS Configuration for LVC Integrate Systems Based on DDS (DDS 기반의 LVC 연동 체계의 QoS 설정)

  • Jo, Jaeyeon;Cha, Woosuk;Park, S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359-361
    • /
    • 2015
  • 통신 미들웨어는 통신 개체들간의 연동 시뮬레이션 및 대규모 통신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는 국방용 대규모 시뮬레이션인 L-V-C(Live-Virtual-Constructive) 연동에 사용된다. L-V-C 연동을 위해서 L 체계에서 사용하는 미들웨어인 DDS와 V-C 체계에서 사용하는 미들웨어인 RTI의 연동을 하여 이기종간 미들웨어 연동을 구현하였다. 각 미들웨어들은 통신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QoS(Quality of Service) 기능을 제공한다. 이종 미들웨어의 연동 시 상호간의 통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미들웨어간의 QoS 호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각 미들웨어간 QoS 설정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