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연동성

Search Result 48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Risk Management Model to Evaluate Reliability of Internet (인터넷 상호연동망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위험관리 방법론의 응용)

  • Kim, D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09-223
    • /
    • 2007
  • B2C, B2B와 같은 인터넷 상거래뿐만 아니라, 전자정부를 통한 G2C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공 및 민간 IX(Internet exchange)를 통한 인터넷 상호연동 인프라는 명실상부한 사회 신경망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사회간접자본인 도로, 항만, 전력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구축 및 운영에서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상호연동망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위험관리 관점에서 제안한다. 먼저, 인터넷 상호연동의 강건성(robustness)을 높이기 위한 방어기제와 더불어 상호연동 대안들을 개발한다. 이들 대안은 장애시에 작동하는 별도의 상호연동 비상망을 운영하는 방재형과, 지역적으로 분산된 상호연동 허브(IX)를 운영하여 장애에 따른 피해 확산을 방지하는 분산 허브형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대안들의 위험효율성(risk efficiency)을 체계적으로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경영공학 방법론에 의한 위험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투자수준이 상이한 여러 대안들에 적용한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ROI(Risk On Investment) 분석 결과, 방재형 대안이 비용 대비 위험효율성 측면에서 최선의 후보로 평가되었다.

  • PDF

PKI 표준화 동향과 PKI 영역간 상호 연동 방법

  • 염흥열
    • Review of KIISC
    • /
    • v.12 no.4
    • /
    • pp.23-45
    • /
    • 2002
  • 공개키 기반구조는 공개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공개키의 무결성과 인증성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 서비스이다. 공개키에 대한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서명이 요구되며, 인증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3의 신뢰기관이 요구된다. 제3의 신뢰기관이 통칭 인증기관이다. 사용자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응용에게 공개키의 무결성과 인증성을 알려주며, 응용은 인증서에 포함되어 있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정보보호 서비스를 실현한다. 인증서 정책은 하나의 인증서를 특정응용에 적용 가능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법칙들의 집합이라고 될 수 있다. PKI 영역(Domain)은 하나의 통일되고 합의된 인증서 정책으로 구현되는 인증기관들과 사용자들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 PKI 응용 영역간의 상호 연동은 PKI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하여 중요한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PKI 영역간 상호 연동을 위한 공개키 기반구조의 개요와 필요성 등을 기술하고, IETF PKIX의 공개키 기반구조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며, 상호 연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인증서 정책과 인증서 확장자를 살펴보고, 대표적인 주요 인증서 정책들을 분석하며, 최근 PKI 포럼에서 연구된 PKI 영역간 상호 연동 방식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상호 연동 방식간의 특징과 장단점을 제시한다.

Conformance Test and Analysis for Interoperability of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ONVIF (ONVIF 기반 영상보안시스템 상호연동 적합성 평가 및 분석)

  • Lee, Gilbeom;Lim, Chaehun;Kwon, Donghyun;Lee, Eunh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381-38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영상보안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간의 상호연동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영상보안시스템 분야는 기존의 아날로그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체계 대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반의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비 간 연동을 위해 국제적으로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 PSIA(Physical Security Interoperability Alliance)와 같이 여러 CCTV 제조사들이 모인 산업계 포럼에서 장비 간 상호호환성을 위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자체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TTA에서 국내 영상보안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개발한 ONVIF 기반의 상호연동 인증 기준을 기반으로 영상보안시스템 장비 중 하나인 IP 카메라와 NVR(Network Video Recorder)에 대해 상호연동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Multiple signature algorithm interoperability on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다중 서명 알고리즘의 연동 방법)

  • 고혜원;임복희;서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445-447
    • /
    • 2002
  •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공개키 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 cture)하에서의 상호 인증 기술이 정보보호 기반기술의 중요요소로 논의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환경의 각종 응용분야에 대한 정보보호 서비스를 위하여 PKI 환경구축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PKI 환경은 상호 연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연동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서명 알고리즘의 상호 연동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MIPv6 and PMIPv6 (MIPv6와 PMIPv6의 상호연동에 관한 연구)

  • Han, Byung-Jin;Lee, Jong-Hyouk;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773-776
    • /
    • 2008
  • 최근 WiBro, HSDPA 등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휴대용 기기의 놀라운 성능향상으로 인해 이동 중에도 네트워크 연결성을 잃지 않기 위한 기술이 요구 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위한 IP 계층에서의 해결책을 보인 기술이 Mobile IP이다. Mobile IP 기술에는 호스트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MIPv6, FMIPv6, HMIPv6 등의 기술과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PMIPv6 등이 IETF에서 RFC와 드래프트 문서를 통해 제시되었다. 각각의 네트워크 도메인은 이러한 이동성 관리 기술을 채택하여 이동성을 제공하는데 각 기술 간의 상호연동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호스트 기반 이동성 관리 기술의 대표인 MIPv6와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관리 기술인 PMIPv6 간의 상호연동을 위하여 PMIPv6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MIPv6와 PMIPv6가 상호연동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본 논문이 제안한 새로운 PMIPv6 Indication 방법과 시나리오는 이동 기기가 다양한 특성을 지닌 도메인 간을 로밍할 때 효율적으로 상호연동할 수 있다.

Framework of MPLS network interworking (MPLS 망들의 상호 연동에 대한 프레임워크)

  • 김숙연;양선희;이유경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779-792
    • /
    • 2001
  • 차세대 IP망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는 MPLS에 대한 표준화는 IETF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기술적 접근을 하고 있는 MPLS 망들의 상호 연동에 대한 표준화는 아직까지 숙제로만 남아 있다. 본 고에서는 MPLS 망들의 연동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상호 연동 구조를 세 가지로 제시한 후 각 구조의 특징과 장단점을 분석한다. 세 가지 구조는 망들을 통과하는 LSP의 성격에 의해서 서로 구분된다. 첫째는 망들을 통과하는 LSP가 없는 구조이고, 둘째는 LSP가 있으나 연동을 위한 스테킹이 없는 구조이고, 셋째는 LSP가 있고 연동을 위한 스테킹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최선형 서비스와 품질 보장형 서비스와 VPN (Virtual Private Network) 서비스를 위한 망들의 협약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연동 구조들의 기능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세 가지 구조는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적합성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동을 위한 스테킹이 있는 구조가 확장성의 측면이나 전송시간의 측면에서 기술적 우위를 일반적으로 가진다. 그러나 MPLS의 표준화가 완성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는 LSP가 없는 구조가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 PDF

A Design on the Standard Inter Working Model for Improve Interoperability in Disaster and Safety Radio Network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표준 연동모델 설계)

  • Lee, Soon-Hwa;Kim, Chang-Boc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3C
    • /
    • pp.259-266
    • /
    • 2012
  • Many of domestic disaster response agencies do not have adequate interoperability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ing inter working for other agency's radio network and building their own disaster and safety radio network. It will urgently establish interoperability guidelines at pan-government level to solve this problem, but even it is not concrete discussion yet. In this paper, in order to develop for interoperability guidelines at pan-government level, we were defined the level of interoperability and were designed standard inter working model.

Design of Interworking Broker for Provisioning of End-to-End Interoperability in ATM Network Environment (ATM 망 환경에서 에이젼트 기반의 연동 브로커 설계)

  • Sohn, Sung-Won;Jang, Jong-Soo;Jung, Ha-Jae;Oh, Chang-Su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5
    • /
    • pp.1285-1299
    • /
    • 1998
  • Thousands of multimedia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over existing public networks and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s. In the multi-carrier network, seamless integration of terminals and services is essential in order to offer an end-to-end and user-independent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ncept of the Interworking Broker to provide an infrastructure for building multimedia service interworking platform that supports interactive multimedia applications in distributed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We describe main techniques developed to achieve the service interworking, and also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the Interworking Broker in heterogeneous ATM network environments.

  • PDF

Wireless PDA Handoff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luetooth and COMA (블루투스와 COMA 연동 무선 PDA 핸드오프)

  • 송재훈;조성배;이상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262-26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광역 및 근거리 우선 접속을 지원하는 PDA상에서 각 무선접속들 간의 상호 연동 및 핸드오프 방안을 설계하고 제시한다. 즉, 근거리 망인 블루투스와 광역 망인 COMA간의 연동 및 핸드오프 방식을 설계 제안하며 이동성과 연결성을 보장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상에서 홈 서버와 PDA간의 상호연동 접속 및 핸드오프 방안을 적용하고 테스트한다.

  • PDF

텔레프레즌스 기술 표준화 동향

  • Lee, Jong-Hwa;Gang, Sin-Ga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2
    • /
    • pp.25-30
    • /
    • 2012
  •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편리하게 근무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워크 활성화"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중에 있다. 스마트워크 유형으로는 모바일 오피스, 홈 오피스, 스마트워크 센터 그리고 스마트 오피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근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약없는 정보 공유와 상호 협력이 가능하도록 원격 협업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원격 협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영상회의 경우, 이미 상용화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기종 제품간 상호연동이 되지 않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영상회의 시스템은 실제 참가자들이 동일한 장소에 모여 회의를 하는 것처럼 실감적인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텔레프레즌스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다. ITU-T, IETF, IMTC 국제 표준화 단체에서는 여러 유형의 영상회의 또는 텔레프레즌스 시스템간 상호 연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동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TU-T SG16 Q5, IETF CLUE 워킹그룹에서 진행중인 최신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공공 및 민간기관에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해 이기종 영상회의 시스템간 연동이 가능한 국내 표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주요 기술 이슈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