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품 카테고리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Feasibility Study on Cross-Product Category User Profiling i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Personalization (협업 필터링 기반 개인화에서의 상품군 중립적 사용자 프로파일링 타당성 검토)

  • Kim, Jong-Woo;Park, Soo-Hwan;Lee, H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257-263
    • /
    • 2005
  • 초기에 하나의 상품 카테고리만을 다루던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이 브랜드 확립 후에 다른 상품 카테고리까지 확대해 나가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고객이 아직 방문하지 않은 신규 상품 카테고리의 상품에 대하여 기존 상품 카테고리에서 만들어진 사용자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할 수 있다면, 고객이 다양한 상품 카테고리를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수행하기 때문에, 해당 카테고리 내 상품의 구매나 방문 기록이 없다면 개인화된 추천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을 통해 신규 상품카테고리 내의 상품을 추천하기 어려운 고객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사용자 선호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규 상품 카테고리 내의 상품을 추천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즉, 기존 사용자의 특정상품 카테고리 선호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간 유산도를 계산하고, 이를 추천하려는 타 상품 카테고리 내의 상품들에 대한 예측 선호도 계산에 활용 타당성을 살펴본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Yes24 사이트의 서적, 음반, DVD 3개의카테고리 내의 상품을 방문한 웹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 상품 카테고리 내의 선호도 정보를 가지고 현업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추천 성과가 낮았지만 활용할만한 추천 성과를 보였으며, 활용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예측하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추천성과가 상이했다.

  • PDF

Automatic Product Attribute Extraction from Reviews Using Web Search Engine (상품평 데이터와 웹 검색엔진을 이용한 상품별 평가항목 자동 추출)

  • Lee, Woo-Chul;Lee, Hyun-A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7-110
    • /
    • 2008
  • 상품평은 인터넷 쇼핑 이용자들의 최종 구매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쇼핑몰에서 상품평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상품평을 모으는 것에만 주력할 뿐 기존에 수집된 상품평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원시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상품평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려면 사용자들이 상품평에서 찾게 될 평가항목들을 미리 예측하여 그 항목에 따라 상품평을 분류/요약해서 제공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품평과 웹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각 상품별 평가항목들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품평 데이터의 특성상 노이즈가 많기 때문에 먼저 데이터를 정제하고, 정제된 상품평 데이터를 형태소 분석하여 후보명사들을 선택한다. 선택된 후보명사를 웹 검색엔진에 질의하여 반환된 결과 값으로 상품 카테고리와 후보명사 간 연관도를 계산하여 평가항목을 추출한다. 실험은 5개 상품 카테고리의 170,294개 실제 상품평을 대상으로 각 카테고리별 평가항목을 추출하였다.

Hybrid Product Recommender System far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을 위한 하이브리드 상품 추천 시스템)

  • 천인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21-324
    • /
    • 2001
  • 본 논문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효율적인 상품 추천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본 상품 추천 시스템은 상품 추천의 2 가지 방법인 지식기반 상품 추천 방법과 collaborative filtering을 혼합하였으며 먼저 고객에게 질문을 던져서 고객의 요구 조건을 수집한 다음, 요구 조건과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정보와 일치도를 계산하여 추천 후보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추천 상품 리스트에 속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다시 collaborative filtering 방법이 적용된다. 즉, 비슷한 취향을 가지는 고객들이 높이 평가하는 제품들을 최종적으로 고객들에게 추천하게 된다.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이 모두 특정한 상품 카테고리에 대해서만 효과적인데 데하여 제안된 방법은 모든 상품 카테고리에 적용할 수 있으며 collaborative filtering 방법을 후보 추천 상품에 대해서만 적용시킴으로써 이 방법의 단점인 많은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EJB(Enterprise Java Beans)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로 구현되었으며 이동통신기기 카테고리에 대하여 시험 구현되었다.

  • PDF

A WordNet-based Open Market Category Search System for Efficient Goods Registration (효율적인 상품등록을 위한 워드넷 기반의 오픈마켓 카테고리 검색 시스템)

  • Hong, Myung-Duk;Kim, Jang-Woo;Jo, Geun-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9
    • /
    • pp.17-27
    • /
    • 2012
  • Open Market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accelerate the profit. Usually retailers sell items in several Open Market. One of the challenges for retailers is to assign categories of items with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n item category recommendation method to support appropriate products category registration. Our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semantic relation between existing and any other Open Market categorization.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s of categories, we use Morpheme analysis, Korean Wiki Dictionary, WordNet and Google Translation API. Our proposed method recommends a category, which is most similar to a guide word by measuring semantic similar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improves the system accuracy in term of search category, and retailers can easily select the appropriate categories from our proposed method.

A Study on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Purchasing Pattern of Buyer (구매자의 구매 패턴을 이용한 상품추천서비스에 대한 연구)

  • Shin, Min-Su;Hwang, Jun-Won;Kim, Sung-Hak;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13-316
    • /
    • 2000
  • 대부분의 온라인 전자상거래에서 상품 추천 서비스는 사용자의 정보 또는 구매 이력을 가지고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상품을 추출하여 추천을 하는 구조이다. 또,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추천을 하다 보니 단일한 구매 패턴에 의해서만 추천을 하게 되고, 상품에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또 단일 구매 패턴은 계산 비용이 작기는 하지만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테고리 독립적이고, 다중 구매패턴을 고려한 상품추천 서비스의 설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단일 항목간의 구조화를 통하여 항목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구조를 설계한다.

  • PDF

Identifying the Main Price Ranges of Online Product Category (온라인 상품 카테고리 내 주요 가격대 식별)

  • Kim, Jun Woo;Im, Kwang Hy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733-741
    • /
    • 2012
  • In recent, many consumers visit the online shopping malls or price comparison sites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category that they are interested in. However, the volumes of the data provided by such web sites are often too enormous, and significant number of consumers have trouble in making purchase decision based on the plethora of products and sellers. In this context, modern online shopping agents need to process the retrieved information in more intelligent way before providing them to the user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for identifying the main price ranges hidden in a single product category. To this end, the price of an item in the category is represented as a row vector and k-means clustering analysis is applied to the price vectors to produce the clusters that consists of the product items with similar price vectors. Then, the main price ranges of the product category can be identified from the result of clustering analysis. In general, the pr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onsumers' purchase decision, and the identified main price ranges will be helpful for the online shoppers to find appropriate items effectively.

A categorizing-based auction agent design for successful bids in auctions (적정낙찰가 추천을 위한 카테고리 방식의 경매 에이전트 설계)

  • Yang, Seung-Jin;Kwon, Kee-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067-2070
    • /
    • 2002
  • 인터넷 진자 상거래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최근 온라인 경매에 대한 많은 관심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물품을 경매로 구입하기 위해서 여러 경매 사이트를 옮겨다니며 경매 물품정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시간의 낭비와 반복적인 수작업으로 인한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또, 구매자가 구매물품에 대한 가격 정보가 부족한 경우 입찰액을 결정하기가 쉽지 않으며 낙찰가 또한 예상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3단계 카테고리 방식을 이용한 적정 낙찰가를 제시해 줌으로써 구매자가 입찰가격을 정하는데 있어 참고자료로써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부적당한 가격에 상품을 구매하거나 경매가 유찰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경매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시스템은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진 상품에 따라 다양한 가격결정방식을 사용하여 적정 낙찰가를 산출하는 경매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또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상품의 특성에 따른 적정 낙찰가를 제시한다.

  • PDF

The Impact of Retailer‘s In-store Tactics on Store Performance in case of Variety Enhancer and Fill-ins Categories (다양성 추구용과 구색용 카테고리에 대한 소매입체의 점포 내 전술 실행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영향)

  • Chun, Dal-Young;Kwon, Ju-Hyoung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0 no.4
    • /
    • pp.1-22
    • /
    • 2005
  •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discover which in-store tactics influence store performance when a retailer implements category management in variety enhancer and fill-ins categories. The second is to analyze how and why specific in-store tactics achieve better or worse performance than other in-store tactics across categori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canner data and direct observations in 'A' discount stor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count stores in Korea. The in-store tactics were measured by product assortment,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and non-price promotion, and shelving. The stor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sales and gross margin return on inventory investmant(GMROI). Empirical result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In variety enhancer categor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les were product assortment,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promotion, and shelving. Non-price promotion also influenced GMROI positively but product assortment impacted on GMROI negatively. In fill-ins category,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ales and GMROI were product assortment and shelving. However, the other factors such as temporary price discount, price promotion, and non-price promo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sales and GMROI. This paper presents a number of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results and concludes by addressing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eb-log Analysis in Internet Shopping-Mall (인터넷쇼핑몰에서 웹로그 분석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 김남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4-139
    • /
    • 2002
  • 인터넷쇼핑몰 서버에의 고객의 상품에 대한 접근을 추적하여 고객의 성향을 추출하기 위한 웹마이닝에서는 웹서버가 생성하는 로그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러나 웹서버가 생성하는 로그는 단순 페이지 액세스의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어, 현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CGI 및 서버스크립트(JSP, ASP, PHP)등을 이용한 시스템에서는 CGI나 스크립트 파일명만 로그로 기록되고 분석시 가장 중요한 상품코드 및 상품 카테고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안한 모델에서는 기존 쇼핑몰 시스템과의 연동 및 성능을 고려하여 웹서버에 분석전용 가상로그를 기존의 로그파일에 발생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으로 기존 사이트에 복잡한 코드를 추가할 필요 없이 간단한 로그발생코드 한 줄을 추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유효 로그 필터링 및 클리닝에 걸리는 시간은 일반로그 분석대비 30%정도 향상되었으며 일반 로그에서는 불가능한 고객이 접근한 상품정보코드 및 카테고리코드 등의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었다.

  • PDF

Deep learning-based product imag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usability evaluation for the O2O shopping mall platform (딥 러닝 기반 쇼핑몰 플랫폼용 상품 이미지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사용성 평가)

  • Sung, Jae-Kyung;Park, Sang-Min;Sin, Sang-Yun;Kim, Yung-Bok;Kim, Yong-Gu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3
    • /
    • pp.227-234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whereby one can automatically classifies categories based on image data of the products for a shopping mall platform. Many products sold within internet shopping malls are classified their category defined by the same use of product names and produc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arch by category classification when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 is uncertain and the product classified by the shopping mall seller judgment is different from the purchasing user judgment. We proposes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method by Deep Learning technique solely using product image. The system can categorize products by using their images and its speed and accuracy are quantified using test data.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with the test data. In addition, its usability is tested with the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