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품화 과정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LVDT의 상품화 연구 (A study on the merchandising of the LVDT)

  • 박영태;강전홍;이진호;장석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293-295
    • /
    • 1999
  • 피 측정물의 변위를 기계적 변화로 감지하여 나타내는 LVDT는 상호인덕턴스 변화를 이용하는 대표적 변위 트랜스듀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LVDT에 대한 상품화를 위한 설계와 제작, 그리고 신호변환장치에 대한 과정을 기술하였으며, 최종 성능 특성을 측정하여 상품화를 위한 신뢰성의 정도와 선형도 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상품화 과정을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자동계측과 제어를 위한 트랜스듀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Charge coupled device의 연구, 개발 및 생산에 관하여

  • 김충기
    • 전기의세계
    • /
    • 제24권6호
    • /
    • pp.8-11
    • /
    • 1975
  • 전자결합소자는 1069년 미국의 Bell Telephone Laboratory에서 W.Boyle과 G.Smith에 의해서 발명된 후 수년간의 각 연구소에서의 개발과정을 거쳐 1975년 1원 소규모 상품화에 까지 이르고 있다. 여기에서 전자결합소자의 동작원리와 발명당시의 많은 문제점들이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해결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소규모 상품화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점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중국의 주택상품화 과정이 주거 빈곤에 미친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Urban Housing Reform on Chinese Urban Housing Poverty)

  • 안창진;이원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36-751
    • /
    • 2009
  • 중국은 개혁 개방과 함께 사회주의 계획경제제도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제도로 이행중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주택의 상품화와 함께 빈곤의 문제가 수면위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적 빈곤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외 문헌을 통해 중국의 사회보장제도와 주택의 상품화 과정을 분석하고 파악된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의 주택상품화의 특징 및 문제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을 8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의 특성을 인구 사회적 지표, 경제적 지표, 주택지표로 고찰했다. 분석결과, 주택상품화 과정은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고 이었으며 권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역별 상황이 매우 다양하므로 주거정책에서 일원적 방법이 아닌 다원적 방법으로 접근해야함을 제시한다.

  • PDF

의류 상품화 과정에서 패션 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 (제1보) -패션과 베이직 제품의 개념- (Fashion And Basic Apparel Goods In Merchandising Process (Part I) - Concept Of Fashion And Basic Apparel Goods -)

  • 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0-291
    • /
    • 2004
  • Apparel goods are classified by many criteria for ease of merchandising implementation. Fashion and basic goods are also an oucome oi classification. Previous studies pnvide some criteria by which apparel products can be classified into fushion and basic goods. Among those ciiteria, seasonality, fashionability, clothing types, complexity in pnduction, simplicity of style, pioducuon volume, degree of style change by season, could be listed. This study, first explored how apparel merchandisers and designers define fashion and basic goods in relation with those criteria. Definitions of fashion and basic goods were explored in terms of design elements (i.e., style, color, material), production volume, sales ratio, proportion in product assortment, and contribution to profit.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by use of eighteen infepth interviews with menhandisers and designers. Six were from women's wear brand, Seven from men's wear brand, and 5 from casual wear brand. All the interviewees agreed that they are using the classification of basic vs. fashion goods. However, they are using diverse terms to indicate the basic and fashion goods. The interviewees defined each group based on its contribution to total sales or profit complexity in design, production volume, and style change by season. Basic goods had a higher level of production quantity, contribute more to profit simpler design, and less style change by season than fashion goods.

의류 상품화 과정에서 패션 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제2보): 기획, 생산, 판매 과정 (Fashion and Basic Apparel Goods in Merchandising Process (Part II) Planning, Production, and Presentation)

  • 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04-915
    • /
    • 2004
  • Following the PART I, which explored the concept of 'Fashion Goods' and 'Basic Goods' in terms of design elements and operational differences, this study, PART II, examined the differences in merchandising process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goods. Merchandising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planning, production, and presentation.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by use of eighteen in-depth interviews with merchandisers and designers with a minimum of six years and a maximum of 15 years of career experience in apparel industry. According to the type of goods, different merchandising practices were found. Especially material and production order/reorder practices were noteworthy. Fashion goods had high possibility of using high-quality materials sourced abroad and few of them were reordered. In other words, reorder practices were established for basic goods only; replenishment was actively implemented for higher inventory turn of basic goods; usually materials and production for basic goods were sourced domestically. In conclusion, based on the differences, more refined merchandising strategies of apparel companies and consistent theory building in this field are required for fashion and basic goods respectively.

소프트웨어산업 실태조사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정보화사회
    • /
    • 통권74호
    • /
    • pp.32-35
    • /
    • 1994
  •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은 높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분야에서 해외의존도가 여전히 높으며 핵심기술의 확보를 위한 막대한 투자와 지원, 상품화과정 등에 따른 분야별 장단기 육성계획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우리협회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기초 통계자료의 제공을 위해 소프트웨어 산업의 실태를 조사한 바 있다. 이 보고서의 주요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