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품판매

검색결과 671건 처리시간 0.052초

RFID ODS 연동 e-Commerce 자동화 모델 (An Automated e-Commerce model based on RFID ODS)

  • 김태상;이긍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19-522
    • /
    • 2007
  • 최근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웹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웹 기반전자상거래를 위한 문서교환의 표준화 연구는 여러 기업의 참여 하에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아직까지 전자상거래의 일부 절차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가장 활발한 전자상거래형태인 오픈마켓을 통한 중계판매에서 상품제조업체, 판매업체, 오픈마켓(중계판매업체) 간의 전자적 상품정보(e-Catalogue)교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오픈마켓을 통한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체는 상품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가공하여 이를 오픈마켓에 등록한다. 실제로 이러한 상품정보 교환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FID ODS 기술과 ebXML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제조업체와 판매업체, 판매업체와 오픈마켓 간의 상품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 PDF

지능형 판매점원 에이전트를 이용한 사이버 쇼핑몰 설계 (Cyber Shopping Mall Design Using Intelligent Sale Clerk Agent)

  • 피수영;김두완;정환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280-282
    • /
    • 2000
  •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웹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구매자들은 보다 합리적이고 현명해졌고 또한 개성화 경향의 심화로 구매자 자신에 맞는 특별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부분의 전자상거래 서비스는 구매자가 물건의 모습이나 사양을 보고 선택하는 상품 카탈로그 수준의 상태에 있다. 구매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한 상품정보를 제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판매점원의 지식을 이용한 판매점원 에이전트가 필요하다. 이러한 판매점원 에이전트를 이용하면 고객은 상품 탐색 시간을 급격히 줄일 수 있고 구매자 취향에 맞는 쇼핑을 할 수가 있으며 판매자 입장에서는 차별화 된 고객관리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 상점에서 존재하는 판매점원의 일을 대신해 주는 사이버상의 판매점원을 지능형 에이전트, 즉 지능형 판매점원 에이전트(ISCA : Intelligent Sale Clerk Agent)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취향에 적합한 상품들을 쇼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EPCglobal Network 기반 실시간 판매 및 재고 관리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Real-time Control System of goods in Sale and Stock based on EPCglobal Network)

  • 이종희;안재명;한정훈;이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42-44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 Network 기반에서 RFID를 이용하여 상품의 판매와 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실시간 판매 및 재고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RFID를 이용하여 매장의 진열상품과 재고상품에 대한 정보 파악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며, 지능형 학습에 의한 안전재고 임계값 계산 및 자동 공지 에이전트를 통해 효율적으로 자동 발주 프로세스를 지원해 줄 수 있어 상품 진열대 및 창고의 재고 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의 진열대 및 상품 보관 창고에 있는 상품의 부족 현상(결품)으로 인한 판매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시에 상품을 보충 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가능하다.

  • PDF

전자상거래에서의 인터넷 경매를 위한 마진 푸쉬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Margin Push Multi-agent System for Internet Auction in Electronic Commerce)

  • 이종희;이용준;김정재;이근왕;오해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337-339
    • /
    • 2000
  • 현재 전자상거래에서의 이용률이 저조한 경매시스템을 지능적인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경매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은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게시판 형식의 인터넷 경매 시스템의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도입하여 해당 경매 상품에 대해 판매자에게 적정한 경매 시기와 초기값을 계산 및 예측하여 최대한의 마진을 남길 수 있도록 해주는 에이전트 시스템의 연구가 본 논문의 목적이다. 상품을 인터넷 경매에 올리는 판매자가 판매 하고자 하는 경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경매 시스템의 에이전트에게 메일로 보내면 에이전트 해당 상품고 유사한 상품에 대해 클러스터링하여 이미 학습되어져 있는 유사 상품에 대한 정보 즉,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매 상품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와 경매시간, 경매방법, 낙찰가격 등을 계산하여 해당 상품에 대해 판매자가 어느 시기에 얼마의 초기 가격으로 경매를 시작하면 최대한의 마진을 남길 수 있는지에 대해 정보를 메일로 푸쉬해 주는 시스템을 설계하면 마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만진 결정 에이전트에 의해 마진을 생성하며 생성된 마진은 푸쉬에이전트에 의해 경매자에게 메일로 결과값을 전송해 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편의점의 이익 극대화를 위한 PB 상품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ortance of Private Brand to Maximize Profit in the CVS)

  • 김희삼;조재립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1-145
    • /
    • 2010
  • 소형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 중에서 NB는 모든 업체 모든 점포에서 판매하는 공통 상품으로서 비교 차별화 되는 상품은 아니다. 외관은 물론 유통방식이나 기능은 물론이고 매출 이익률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서비스, 가격 할인과 같은 극심한 판촉 경쟁이 있을 뿐이다. 편의점에서 비교 우위의 차별화를 기할 수 있는 상품은 PB상품 즉 자사 상표 부착 상품이다. 자사의 제조 기술이나 판매 방식을 쏟아 넣어 자사만의 독특한 컨셉으로 상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 또는 소형 소매점이나 할인점에서의 PB 상품의 중요성과 상품본부에서 정책을 취할 때 어떤 상품 군을 어떤 비중으로 개발하고 마켓팅력을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례를 연구하였다.

  • PDF

RFID기반 판매 및 재고 상품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자동보충진열 지원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utomatic Supplement Display Support System using Real-time Monitoring of Sales and Inventory based on RFID)

  • 이종희;안재명;이종태;최정옥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3-28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통 매장에서 상품 진열대 및 상품 보관 창고에 있는 상품의 부족 현상(결품)으로 인한 판매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시에 상품을 보충 할 수 있도록 RFID기반 판매 및 재고 상품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자동보충진열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매장의 진열상품과 재고상품에 대한 정보 파악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며, 지능형 학습에 의한 안전재고 임계값 계산 및 자동 공지 에이전트를 통해 효율적으로 자동 발주 프로세스를 지원해 줄 수 있어 상품 진열대 및 창고의 재고 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PDF

백화점 거래 데이터를 이용한 상품 네트워크 연구 (A Network Approach to Derive Product Relations and Analyz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 김혜경;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5권4호
    • /
    • pp.159-1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 이미 전산화되어 표준적인 형태로 존재하는 거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품을 노드(node)로 놓고 동일 고객이 구매한 상품을 연결선(edge)으로 이은 상품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중심성(Centrality)과 집중도(Centralization)를 구해서 고객의 구매패턴에서 중심이 되는 상품을 파악하였으며, 다른 상품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판매되는 상품관계의 총체적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성별, 연령별, 판매지역, 그리고 계절별 고객의 구매활동으로부터 도출되는 상품 네트워크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품간의 구매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교차판매, 상향판매, 그리고 추가판매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매출증대와 더불어 판매상품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구축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용 자기 센서

  • 송용설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280-283
    • /
    • 1997
  • 흔히 EAS SYSTEM으로 불리는 Electronic Article Surveilance System(전자 상품 가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 이라고 한다.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목적은 편의점, 슈퍼마켓, 의류점, 서점,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판매점 및 대여점, 스포츠용품점, 하이마트, 도서관 등의 일정한 보호구역으로부터 의류, 서적,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CD등의 상품을 도난으로부터 방지하는 것이다. 상품 도난방지 시스템은 판매되는 상품 표면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라벨이나 태그(Tag)를 부착하고, 입구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Frame)를 설치하여 라벨이나 태그가 계산대에서 제거되거나 센서 기능이 소멸되지 않은 채 유출될 때, 상품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시켜 상품의 도난을 방지한다.

  • PDF

Report - 진정상품병행수입 판례

  • 손지원
    • 발명특허
    • /
    • 제36권12호
    • /
    • pp.75-80
    • /
    • 2011
  • [판시사항] 피고인이 "ROVERTA DI CAMERINO" 표장에 관한 일본 내 독점적 생산 판매 실시권을 가진 회사측으로부터 위 표장을 붙인 상품을 수입 판매한 사안에서, 이른바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ROBERTA" 상표의 국내 전용상표권자의 상표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 PDF

온라인 판매시, 판매량과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또는 ROAS(구매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서아라;박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판매에 집중하는 창업 기업들의 온라인 판매량 증진을 위해 구매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판매에 있어서는 네이버 및 다음 등 검색엔진 및 판매하는 마켓별로 CPC 또는 전시입찰 등의 광고를 집행을 통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과다경쟁으로 인한 광고비의 집행비용의 인상율에 비해, 광고로 인한 판매율-구매전환율(ROAS)이 떨어짐을 확인되고 있어, 판매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매출 및 구매전환율을 늘리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온라인 광고를 하면서도 그 외 요인들로 인해 경쟁사보다 판매량이 높은 상품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매 단서를 통해 판매량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여, 연구를 하게 되었으며, 온라인 판매되는 상품들의 비교를 통해 가장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수많은 상품들이 있는 온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자신의 상품이 노출되기 위한 필수불가결인 요소이나, 광고를 하면서도, 구매전환율(ROAS)을 높이기 위한 구매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을 찾아, 온라인 판매 기업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구매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확인되었을 때, 해당 요인들에 집중하여, 결과적으로 판매량을 늘리고 매출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