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표 충성도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패션제품의 인터넷 광고에 관한 연구 -패션 배너광고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net Advertising of the Fashion Goods - Focusing Fashion Banner Advertising Strategy -)

  • 정미재;이선재
    • 복식
    • /
    • 제51권3호
    • /
    • pp.19-3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fashion banner advertising strateg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 (a)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the fashion banner advertising, (b) examine whether it is any difference of the fashion banner advertising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media using groups, clothing involvement and brand loyalty. A sample of 553 people in the age group 16-34s living in Seoul were selected from internet user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NOVA. Duncan test by using SPS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First, fashion banner advertising took the first step. there was small in numb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fashion banner advertising had some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media usage groups, clothing involvement and brand royalty. Female in lower age groups were greater interests in illustrated/inquisitive fashion banner advertising. And high involvement groups preferred the fashion banner advertising.

  • PDF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화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Service Quality of Department Stores)

  • 전태유;박노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5-94
    • /
    • 2007
  • This study analys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service quality.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defined as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Behavioral intentions were defined as loyalty and brand switch. A LISREL model was used to develop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n department stor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also shows that overall service qualit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의류제품의 온라인 쇼핑 -위험지각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태도’의 역할-

  • 이규혜;최자영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9-100
    • /
    • 2003
  • 최근, IT산업의 급격한 발달과 쇼핑패턴의 변화로,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쇼핑의 이용자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학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부분은 소비자들이 사이버공간이라는 새로운 쇼핑매개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하는 부분, 즉 온라인 쇼핑에서 기존의 구매방식과는 다르게 어떠한 위험들이 지각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온라인 쇼핑에서 지각되는 위험을 알고, 이를 고려한 쇼핑환경을 조성한다면,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패턴을 받아들이고 신뢰하게 되며, 나아가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 상표충성 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국내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이승희;부정화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4-115
    • /
    • 2003
  • 본 연구는 패션 주얼리를 이용하는 소비자특성(과시소비, 패션리더, 상표충성도, 물질주의)과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 성인여성 중에 On-line(TV 홈쇼핑, 인터넷쇼핑, 카달로그쇼핑)과 Off-line (백화점, 대형할인점,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상점, 동네 주얼리 상점)의 패션 주얼리 점포를 통해 패션 주얼리를 구입해 본적이 있는 성인 여성만을 선택하였다. (중략)

  • PDF

상표충성도에 따른 여성복 브랜드 포지셔닝 (Women's Wear Brand Positioning According to Brand Loyalty)

  • 권현주;구양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85-9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rand loyally of women's wear and construct brand positioning maps b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M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rand loyal and indifferent group in ages, income, occupation status and level of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attributes (design/color, fashion, quality, store image, salesperson's attitude and brand reputation) when evaluating brands. The positioning maps upon the similarity and preference of brand image were composed by use of MDS.

  • PDF

20대 미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웨어 상표충성도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ortswear Brand Loyalty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Lifestyles of 20's Single Women)

  • 서혜승;신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4호
    • /
    • pp.500-5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20's unmarried women,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lifestyle groups, and analyze sportswear purchase behaviors and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s. The subjects were 312 single women who had purchased sportswea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measurement items for lifestyle, purchase behaviors, brand loyalty and demographic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hi}^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lifestyles of 20's single women, 4 groups were identified as practical and advanced-media-usage type, adventurous and self-actualizing type, enthusiastic-fashion seeking type, active and leisure-oriented type. Second, 3 factors of brand loyalty were classified as continuous brand loyalty, habitual brand loyalty and no brand loyalty. Third, upon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brand loyalty based on lifestyles, practical and advanced-media-usage type and enthusiastic-trend seeking type showed no brand loyalty. Forth, 4 groups showed different sportswear purchase behaviors, such as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s, purchase frequency, purchase cost of one time, purchase place, the number of possession and purchase items.

패션명품 소비자의 상표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xplanatory Variables of Customer's Brand Loyalty to Fashion Luxury Goods)

  • 박민주;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485-149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brand loyalty and consumer's fashion luxury brand loyalty, and ultimately to show a path model of fashion luxury brand loyalty. Especially this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risk perception, symbolism involvement, marketer leading information search, and continuing brand loyalty. In the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and a survey was conducted both i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simultaneously. Finally 291 data from males and females who had a buying experience of luxury brand good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e 4 significant paths of fashion luxury brand loyalty existed, such as social risk perception$\rightarrow$symbolism involvement, social risk perception$\rightarrow$marketer leading information search, symbolism involvement$\rightarrow$continuing brand loyalty, marketer leading information search$\rightarrow$continuing brand loyalty. And the explanatory factor which has the strongest influencing power to continuing brand loyalty was symbolism involvement. The powers of social risk perception and marketer leading information search to continuing brand loyalty were weaker than symbolism invol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a theory on the consumer's loyalty to fashion luxury good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brand loyalty.

20대 여성정장의류의 편익과 상표이미지 연구(제1보)-20대 직장 여성이 정장의류에서 추구하는 편익 및 편익 세분화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를 중심으로- (The Brand Image and the Benefit of 20′s Female Apparel Market(Part I) -The Clothing Behavior of 20′s Working Women by Benefit Segmentation-)

  • 박혜원;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7-798
    • /
    • 2000
  •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benefits sought in 2(i s female formal wear and the clothing behaviors of 20's working women segmented by the benefits of female apparel and to provide marketing strategy on the segmented marke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05 working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an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al studies was us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factor structures of the benefit sought in clothing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symbolismㆍaesthetics, and practicality. 2. Consumer groups were segmented into four groups by the benefit factors sought in clothing products. 3. Product involvement, fashion involvement, information search and brand loyalty were proven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gmented consumer groups. Demographic variables and purchasing traits such as subjective social class,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clothing, and usage of fashion credit card or credit cards were proven t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gmented consumer groups.

  • PDF

청소년의 헤어제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Adolescents' Purchasing Behavior for Hair-care Products)

  • 송연화;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
    • /
    • 2011
  • 최근 토탈패션화의 경향으로 헤어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 따라 다양한 헤어상품의 출현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무분별한 헤어제품소비는 청소년의 건강과 소비행동에 영향을 마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헤어관심도/만족도와 헤어제품에 대한 구매태도가 헤어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의 헤어제품 소비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 남녀 4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4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412부를 실제 분석에 투입하였다. 결과는 SPSS 12.0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 첫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헤어관심도와 만족도, 헤어제품에 대한 쇼핑성향 및 지식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헤어에 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여학생은 이상화된 신체상의 기준이 더 높아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헤어제품에 대한 교육을 받아본 청소년이 합리적인 구매를 하며, 상표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헤어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헤어만족도와 헤어관심도 및 헤어제품에 대한 구매태도가 헤어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합리적, 상표충성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구매 시 품질을 더 중시여기고, 과시적, 혁신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제품디자인과 유행성에 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이며 상표충성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구매 시 친환경성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역시 합리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세정제품 구매 장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헤어제품과 같은 저관여제품의 경우 개인적 정보요인과 경험적 요인이 구매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청소년은 세정제를 사본 경험이 있으며 정발제나 염모제를 구입한 경우도 60%가 넘고 양모제를 구입한 비율이 36%나 되어 기능성 헤어제품의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헤어관리에 대한 올바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질적으로 학교 대에서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