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평통보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과 미세조직을 통한 재료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Sangpyeongtongbo Coins in Joseon Dynasty Using Chemical Compositions and Microstructures)

  • 장수비;조남철;강형태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9-330
    • /
    • 2015
  • 주전소와 주전 시기가 다른 상평통보 25점을 확보하여 성분 조성 및 주전 방법을 알아보았다. 상평통보의 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은 Cu, Zn, Pb이며 일부 시료에서는 Sn, Fe가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각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은 일정하지 않으며 편차가 크다. 또한, 주전 시기에 따라 Cu와 Sn은 후대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Zn과 Pb는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높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 함량의 차이는 당시 주전 이익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상평통보 25점은 수지상 조직, 입상조직, 미립화 조직 등 다양한 조직 형태가 확인된다. 그러나 열처리나 가공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아 모두 주조 조직으로 판단되며, 일부 상평통보에 함유된 Sn, Fe 성분과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의 조직이 성장한 것으로 확인된다.

상평통보 주조와 복원기술연구 (Study on the Casting Technology and Restoration of "Sangpyong Tongbo")

  • 윤용현;조남철;정영상;임인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224-243
    • /
    • 2014
  • "용재총화", "천공개물", "The Korean Review"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동유물 제작에 사용된 소재, 거푸집, 합금 등의 주조기술을 확인하였다. 상평통보 복원 주조실험은 "The Korean Review"를 기초한 주물사주조법을 적용하여 황동, 청동 소재의 모전판(母錢版, 鑄錢版)을 제작하였다. 거푸집은 본기(本器)틀과 목틀, 주물사로 구성되는데 본기틀은 주물사를 담는 바깥 틀의 재질에 따라 목틀과 쇠틀로 나뉘며, 주물사는 옅은 황색의 전북 이리사를 사용했다. 주물사주조법으로 상평통보 복원에 사용된 모합금 성분비를 살펴보면, 황동은 "The Korean Review" 기록의 성분비인 Cu 60%, Zn 30%, Pb 10%를 근거로 삼았으며, 실제 복원에는 합금 시 아연과 납이 기화되어 성분비율이 감소될 것을 감안하여 Cu 60%, Zn 35%, Pb 15%로 설정하였다. 청동은 청주시 신봉동유적 출토 해동 통보의 성분비인 Cu 80%, Sn 6%, Pb 14%를 근거로 하였으며, 실제 복원에는 Cu 80%, Sn 11%, Pb 19%로 설정하였다. 주물사주조법에 의한 상평통보 복원은 목재로 부전(父錢)을 먼저 제작하고 목틀과 본기쇠틀을 이용한 거푸집 만들기, 합금, 주조하기, 모전 만들기 등의 과정으로 모전판(母錢版, 鑄錢版)을 복원하였다. 복원된 상평통보의 모합금과 1차 주조, 2차 주조물의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동 모합금은 구리는 약 5%가 증가하고 납은 약 4% 손실되었으며, 황동 모합금은 구리는 약 5%가 증가하고 납은 약 4%, 아연은 12%은 감소하여 아연의 손실률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1차, 2차 모전판의 EDS 분석결과 청동 모전판은 1차에 비해 2차에서 납이, 황동 모전판은 아연이 낮게 나온 것은 1차 모전판의 용융과정에서 납과 아연이 기화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청동과 황동의 모합금과 1차, 2차 주전판의 미세조직에서는 ${\alpha}$상과 크고 작은 납 편석물이 보이고, 황동 모전판에서만 불순물로 보이는 Al, Si 등이 확인되었다.

서산 비경도 출수 상평통보의 혐기성 부식 특성 (Anaerobic Corrosion Properties of Sangpyeongtongbo Excavated at Bigyeongdo, Seosan)

  • 김규빈;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7-179
    • /
    • 2017
  • 서산 비경도 출수 상평통보를 대상으로 혐기성 수중 매장환경에서 형성되는 부식화합물 성분과 이에 따른 혐기성 부식 원인을 추정하였다. 미세조직 관찰, 원소 mapping, 층위별 주성분 분석, 부식화합물 동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면의 고착물은 침상형 육면체형 팔면체형으로 분류되며, 그에 따른 분석 결과 Cu, Pb, S 등의 원소가 검출되었다. 원소 mapping에서는 최외곽에 Cu-S로 이루어진 뚜렷한 층이 확인되었다. 층위별 주성분은 Cu, S, Pb 등이 검출되었고, Zn은 검출되지 않았다. 부식화합물은 $PbCO_3$(고착물), $Cu_{1.96}S$(소지금속)이 나타났다. 따라서 서산 비경도 출수 상평통보의 혐기성 부식 특성은 탈아연, 황화동, 납화합물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고려시대 동전의 주조 원료와 산지( I ) -해동통보 (Raw Material and Provenance of Coin Minted in Goryo Dynasty( I ) : 'Haedong-Tongbo(해동통보))

  • 강형태;김규호;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17권
    • /
    • pp.33-38
    • /
    • 2005
  • 청주시 신봉동유적 목곽분 20호에서 해동통보 1점을 입수하였다. 이 해동통보는 서기 1,102년에 주조된 것이다. 해동통보의 성분분석을 위하여 미소부 탐침 형광보선분석 및 ICP분석을 통하여 Cu, Pb, Sn, Zn, Fe, Mn, Sb, Co, As, Ag, Ni등 11종 원소의 성분함량을 결정하였다. 또한 해동통보를 주조하기 위하여 가져다 쓴 원료의 입수처를 추정하기 위하여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해동통보의 성분 배합비는 $Cu\;75.5\%,\;Pb\;13.3\%,\;Sn\;6.0\%$이었다. 이러한 배합비는 조선시대의 조선통보 및 상평통보와는 아주 다른 것이다. 납동위원소비는 한국 남부의 방연석 범위에 포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