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지 재활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2초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상지재활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System for Upper-limbs Rehabilitation Using Kinect Sensor)

  • 박명철;정현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309-310
    • /
    • 2015
  • 본 연구는 뇌졸중 등의 상지 기능 손상에 대하여 원격지에 위치하는 환자에게 치료와 진단을 포함하는 재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설계 콘텐츠의 구조는 가상현실로 재활과 관련된 상지의 움직임을 제시하고 실제 움직임을 키넥트 센서를 이용하여 추적하여, 시각/청각/촉각 피드백을 제시함으로써 재활 치료 효과와 몰입감을 높이고 상지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PDF

뇌졸중 환자용 동력보조형 상지재활훈련기의 설계 (Design of Upper-limb Rehabilitation Device with Power-assist Function for Stroke Survivals)

  • 배주환;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9-85
    • /
    • 2011
  • 본 논문은 뇌졸중에 의한 상지 편마비 환자의 재활훈련을 위한 동력보조형 상지재활훈련기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설계된 상지재활훈련기는 3자유도를 가지고 있으며, 검지와 손목은 독립적으로, 그리고 나머지 손가락은 하나의 모듈로 굽힘과 폄 동작이 가능하다. 손목 기구는 복동식 공암실린더를, 손가락 기구에는 두 개의 전동식 선형구동기를 적용하여 동작을 보조하도록 하였다. 설계를 기반으로 프로토타입 상지재활훈련기를 제작하였으며, 0.8mm이내의 오차로 정상상태에 수렴하도록 위치제어기를 구현하였다. 실험의 결과로부터 동력보조용 상지훈련기가 실현가능함을 보였다.

림프부종에 대한 추나요법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Chuna Manual Therapy for Lymphede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정인채;김예은;안정훈;한인식;박인화;차윤엽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4
    • /
    • 2021
  • Objectives Purpose of our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f Chuna manual therapy (CMT) for lymphedema. Methods A study search of 10 databases was performed. We included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hich performed CMT for lymphedema in this study. The keywords used were 'chuna' or 'tuina' and 'lymphedema'. Two independent authors rated study quality and risk of bias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9 appropriate RCTs were remained after screen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functional exercise or taking western medicine. Subjective symptom score was also lower in the CMT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CMT has sufficient evidence that it is more effective in prevent or alleviating symptoms of lymphedema than conventional treating methods. However, due to the high risk of bias of included studie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with higher quality of evidence.

밸런스 핸들 장치를 이용한 상지 운동 기능의 근전도 신호 분석 (EMG Signal Analysis of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using Balance-handle Device)

  • 이충근;송기호;안재용;신성욱;정성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3
    • /
    • 2016
  •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재활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훈련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거치대와 핸들, 밸런스 볼을 결합한 밸런스 핸들 장치를 개발하였다. 피험자 7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상지 훈련 장치를 기울일 때 주요 상지 근육에 대한 근전도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여 재활 훈련 장치로 사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밸런스 핸들 장치를 앞뒤로 기울였을 때의 상지 신전 굴곡 운동 동작과 좌우 기울임을 이용한 상지 운동 동작에서 근 수축과 이완이 기준이 되는 주동근과 길항근에서 근 활성화 신호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Fugl-Meyer Assessment(FMA)의 신전 굴곡 운동 평가 항목에서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평가에 이용되는 이두근, 삼두근, 삼각근에서 근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장치를 활용하여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 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SNS를 이용한 상지 재활도구 보유현황과 사용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예비연구 (A Pilot Investigation for usage Problems, Improvement Needs and Current Status of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quipment using SNS)

  • 문종훈;나창호;박경영;허성진;이창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63-472
    • /
    • 2018
  •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상 문제, 그리고 개선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병원환경 작업치료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72개를 분석하였으며, 2차 설문은 47개를 분석하였다. 1차 설문에서 16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율은 29.2~97.2%로 확인되었으며, 2차 설문에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경험은 36.2~97.9%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설문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상 문제는 47명 중 15명(31.9%)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개선 필요성은 23명(49%)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개방형 설문형태로 취합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문제는 흥미, 내구성, 난이도, 다양한 방향에 대한 조절기능, 설치 및 편리성 부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선사항은 디지털화, 내구성, 난이도, 조절기능, 편리성 증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상지 재활도구의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폐쇄형 설문지의 개발에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재활을 위한 악기 연주의 임상적 활용 근거 연구 (A Rationale for Instrumental Music Playing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in Subacute Stroke)

  • 정은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23
    • /
    • 2013
  • 상지의 운동기능 장애는 뇌졸중 환자에게서 빈번히 보고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뇌졸중의 원인인 신경학적 손상의 회복은 발병 초기인 6개월 동안 가장 활발히 일어나며, 이 시기의 회복은 이후 기능회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과 상지 운동기능의 재활을 위하여 다양한 재활치료 접근이 적용되어 왔으나 그 효과성에 있어서 일관성이 결여된 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적 상지 운동 기능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재활의학 분야의 연구에서 음악은 운동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하지 운동기능 향상에 있어서 리듬 적용의 근거 및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음악연주를 활용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재활에 대한 근거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적용 대상 또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 제한 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기능을 촉진하는 음악의 역할을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재활을 위하여 다양한 음악활동을 사용한 선행 연구를 고찰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의 재활을 도모하기 위한 악기연주 활용 방안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스테레오비전 센서의 3D 궤적 정보를 이용한 상지 재활 동작 인식 (Recognition of Physical Rehabilitation on the Upper Limb Function using 3D Trajectory Information from the Stereo Vision Sensor)

  • 권기현;이형봉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13-119
    • /
    • 2013
  • 뇌졸중 및 척수 신경 손상으로 인해 재활에 대한 요구는 증대되고 있다. 재활 영역 중에서도 상지(上肢) 재활은 신경의 복잡도로 인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재활은 전문치료사가 시설에서 작업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는 하나, 접근성, 상시성, 자발성 등에 대한 문제와 함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지 재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스테레오 비전 센서를 통해 취득한 3D 궤적정보에 대해 PCA, ICA, LDA, SVM의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정확도 및 실행시간을 구하고, 여러 패턴인식 알고리즘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인식정확도 및 실행시간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한지 제시한다. 실험결과, PCA, ICA는 인식정확도가 낮아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며 LDA, SVM은 인식정확도가 우수하여 상지 재활 동작 인식에 사용이 적합함을 보인다.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김선희;김광기;정원미;이정원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401-420
    • /
    • 2013
  • 본 연구는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장기적인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총 30명을 대상으로 신경인지재활치료군과 전통적인 작업치료군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은 1회 30분,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실험 전과 후의 기능회복 정도는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와 Fugl-Meyer Assessment Scale(FMA),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orean-Modified Bathel Index; K-MBI) 점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신경인지재활치료군이 상지기능검사에서 MFT와 FMA 측정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기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동작 검사에서는 신경인지재활치료군에서만 K-MBI 값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5). 연구결과를 통하여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좌골신경통에 대한 전침 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 of Electro Acupuncture for Sciatic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예은;안정훈;차윤엽;한인식;허인;박인화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5-12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for sciatica. Methods We searched 13 online databases (K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Koreanstudies, Koreantk, DBpia, PubMed, Cochrane, EMBASE, Medlin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J-stage) to find randomized-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s) that used electro-acupuncture for sciatica. Efficacy rat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mainly analyzed as a main evaluation criteria. Results Among 583 articles that were searched, 24 RCTs were finally selected and 18 RC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lectro-acupuncture was more effective than acupuncture in terms of efficacy rate (p<0.00001) and VAS (p<0.00001). Also, Electro-acupuncture was more effective than western medication in terms of efficacy rate (p=0.0005).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electro-acupuncture was not identified compared to physical therapy (p=0.42). Electro-acupuncture significantly improved efficacy rate when combined with physical therapy than physical therapy alone (p<0.0001). In addition, electro-acupuncture plus Chuna manual therapy compared to Chuna manual therapy alone showed positive results for efficacy rate (p=0.05) and VAS (p<0.0001). Conclusions Based on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electro-acupuncture for sciatica was identified.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because the R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small in number and published in a particular region. Although this study could be a groundwork for well designed research for sciatica.

경추성 현훈에 대한 전침 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lectro-Acupuncture for Cervical Vertigo: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예은;정인채;차윤엽;한인식;박인화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9-118
    • /
    • 2021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pprais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EA)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vertigo. Methods We performed a literature search using nine electronic databases up to the end of November 2020.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hich appraised the effect of EA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vertigo. The risk of bias was evaluated from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Thirteen appropriate RCTs were included and analyzed. The efficacy rate of the EA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western medicine (p<0.00001). EA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efficacy rate when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than western medicine alone (p<0.0001). Also EA used with combined therapy (tracti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jection) significantly improved efficacy rate compared with combined therapy alone (p=0.02). Meta-analysis of thirteen studies demonstrated positive results for using EA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vertigo. Conclusions Based on results, EA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in cervical vertigo.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search are regionally biased and small in number. Further well-designed research should b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