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지 검사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IT 기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IT based EMG biofeedback training on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주홍;오명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1-50
    • /
    • 2014
  • 본 연구는 IT 기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발병 6개월 이상인 뇌졸중 환자 30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전통적 재활 치료를 받은 대조군과 전통적 재활 치료와 더불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추가로 실시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총 4주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상지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훈련 전 후 FMA와 MFT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실시하였고, 일상생활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FIM을 사용하여 일상생활 동작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집단 간 비교에서 실험군의 훈련 후 상지기능 향상이 모든 검사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p<.05), 일상생활 동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IT 기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에게 하지 근력강화 프로그램이 균형, 보행과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Program on Balance, Gait and Upper Limb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 김주오;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4-123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하지 근력강화 프로그램이 균형, 보행 및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신경계 손상 환자가 있는 병원을 기반으로 해서 하지 근력 강화에 대한 연구 방법을 만들어서 진행하였고, 무작위대조시험을 적용하였다. 24명의 뇌졸중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하지 근력 강화 프로그램그룹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program group, LESPG) (12명)과 트레드밀 훈련그룹 (Treadmill trainig group, TTG) (12명)으로 실험하였다. LESPG는 마비측에 하지 근력 강화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TTG는 하루 30분 동안 트레드밀 운동을 적용하였다. 평가 도구는 일어나서 보행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 기능적 보행평가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및 뇌졸중 상지 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를 적용하였다. 균형, 보행 및 상지 기능에 대한 두 군 간의 TUG, FGA 및 MFT 점수는 LESPG가 TTG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4주간의 하지 근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균형, 보행 및 상지 기능에 효과가 있었다.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Home-Base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umor-Induced Hemiparetic Patient : Single Case Study)

  • 정준식;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55-65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기반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기초선(A) 기간에 중재 없이 4회 평가를 실시하였고, 중재선(B) 기간에 총 25회의 훈련과 10회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후 회귀기초선(A') 기간에 중재 없이 4회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9-홀 페그 테스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 기능검사에서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이 기초선과 회귀기초선(A와 A')보다 중재기(B)에 개선되었다.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의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 점수 향상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로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중재 기법이고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The Effects of Upper Limb Reaching task on Upper Limb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Patients with Stroke: Case Study)

  • 송승일;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2호
    • /
    • pp.59-6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인 만 39세 뇌졸중 진단을 받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팔 뻗기 과제는 6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1회당 30분간 실시하였다. 과제 전-후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중재 전 왼손 10개, 오른손 40개에서 중재 후 왼손 22개, 오른손 43개로 증가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중재 전 41점에서 중재 후 70점으로 증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팔 뻗기 과제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중증근무력증 진단시 상지와 하지근육들에서의 반복신경자극검사 양성률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petitive Nerve Stimulation Test(RNST) Findings Between in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les in Myasthenia Gravis)

  • 정윤석;이준;이세진;하정상;김욱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29-136
    • /
    • 2000
  • 중종근무력증 환자들에게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함에 있어서 하지의 근육들의 진단적 민감성을 파악해 보기 위하여 건강한 남녀 20명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에 중증근무력증의 특징적인 증상을 주소로 내훤한 grade 2이상의 환자 10례를 대상으로 안윤근, 소지외전근, 척측수근굴근과 하지의 내경골근, 단지선근, 내광근에서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에서 반복신경자극검사에서 안면근육과 상지근육은 하지근육보다 민감도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고, 정상인과 중증근무력증 환자사이에서 안정기, 운동 직후, 운동 후 1분, 운동 후 3분에서의 감소성반응수치는 안면과 상지근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1 or p<0.05)가 있었으나 하지근육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증근무력증환자에서의 반복신경자극검사 결과 안윤근에서 20례, 척측수근굴근에서 14례, 소지외전근에서 12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하지에서는 전경골근에서 4례, 단지선근에서 8례, 내광근에서 3례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증근무력증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할 경우에 안면과 상지근육에 정성소견이 보이면 하지근육에서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나, 빈도는 낮지만 하지근육애서도 양성반응을 보임에 따라서 추후에 좀 더 많은 환자에 대해서 하지근육의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경되먹임 뇌파 훈련과 컴퓨터보조 인지 재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와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and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ostStroke.)

  • 정민우;심선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57-70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신경되먹임(Neurofeedback; NFB)을 통한 뇌파 훈련과 컴퓨터보조 인지 재활(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후 3개월에서 1년 이내이며, 경기도 소재 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환자 44명을 NFB군(14명)과 CACR군(14명), 대조군(16명)의 세 그룹으로 배치시켰다. NFB 훈련과 CACR 훈련은 6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평가기간을 포함하여 총 9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은 인지, 상지 기능을 측정하였으며 훈련 전후와 그룹간의 인지, 상지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들의 훈련방법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 MMSE-K) 총점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NFB군은 실험전 16.92 점에서 실험 후 20.50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CACR군은 실험 전 17.85 점에서 실험 후 22.14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도 실험 전 18.62 점에서 실험 후 19.25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실험방법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뇌졸중 상지 기능인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총점을 분석한 결과 상지운동 영역에서 NFB군은 실험 전 4.64 점에서 실험 후 5.50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CACR군은 실험 전 3.92 점에서 실험 후 5.35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도 실험 전 3.68 점에서 실험 후 4.75 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실험방법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NFB 훈련과 CACR 훈련, 전통적 재활훈련 이후 인지기능과 상지 기능의 향상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각 개인에게 적절한 훈련방법을 적용한 NFB 훈련과 CACR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토콜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김선희;김광기;정원미;이정원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401-420
    • /
    • 2013
  • 본 연구는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장기적인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총 30명을 대상으로 신경인지재활치료군과 전통적인 작업치료군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은 1회 30분,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실험 전과 후의 기능회복 정도는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와 Fugl-Meyer Assessment Scale(FMA),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orean-Modified Bathel Index; K-MBI) 점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신경인지재활치료군이 상지기능검사에서 MFT와 FMA 측정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기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동작 검사에서는 신경인지재활치료군에서만 K-MBI 값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5). 연구결과를 통하여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are Training Program on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기도;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03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프로그램이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은 상지 과제 지향적 훈련으로 총 6주간, 주 4회 40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 집단훈련을 통해 훈련 프로그램을 점검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맨손기능 검사, 악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검사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맨손기능과 악력이 모두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과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체의 운동기능 회복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KS 표준 시표에 의한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의 구현 (A Self-Visual Acuity Testing System by the KS Standard Optotype)

  • 최창열;이우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93-894
    • /
    • 2009
  • 인간의 시력 측정을 위한 방법은 검사자를 필요로 하는 표준 시표 제작을 위한 수동적인 방법이 대부분으로 컴퓨터 기반의 자가 검사가 가능한 시력 측정 시스템 개발은 미흡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6년에 국제규격(ISO 8596)에 따라 정의된 KS 표준 시표(한국 산업규격 P ISO 8596)를 참조 한 컴퓨터 기반의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을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란돌프 고리(Landolt's rings)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거리에 제약이 없이 검사자의 주관적 판단이 배제된 시력 측정이 가능하며 효율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현된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의 성능은 시력 측정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력표에 의한 측정치와 비교 실험한 결과 시력 등급을 기준으로 87%의 일치도를 보였다.

체성운동영역이 제거된 편마비 흰쥐에서 억제 유도치료가 기능향상과 BDNF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IMT on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BDNF Expression in Hemiplegic Rats Whose Somatomotor Area was Removed)

  • 임창훈;황보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94-203
    • /
    • 2008
  • 억제유도치료는 건측 상지의 운동을 제한하고 환측 상지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손상된 상지의 기능 및 사용을 향상시키는 치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억제유도치료의 효과를 운동행동검사와 면역조직 화학법으로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계 흰쥐 수컷 실험군 40마리 대조군 40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마취 후 체성운동영역을 제거하여 억제유도치료를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수술 후 1일, 3일, 7일, 14일째 10마리씩 나누어 자세 반사 검사, 막대 걷기 검사, 앞다리 배치 검사, 면역조직 화학반응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군의 운동행동 검사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p<.05), BDNF 발현은 시간이 지날수록 실험군의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추신경계의 가소성을 검증 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