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온혼합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brasive Wear of Hybrid Metal Matrix Composites for High Wear Resistance (고 내마모성 혼합 금속복합재료의 연삭마모)

  • 송정일
    • Composites Research
    • /
    • v.12 no.5
    • /
    • pp.12-22
    • /
    • 1999
  • Aluminum based metal matrix composites(MMCs) are well known for their high specific strength, stiffness and hardness. They are gaining further importance because of their high wear resistance. In this study wear behavior of $Al/Al_2O_3/C$ hybrid MMCs fabricated by squeeze infiltration method was characterized by the abrasive wear test under various sliding speeds at room and high temperature. Wear resistance of MMCs was improved due to the presence of reinforcements at high sliding speed. Especially wear resistance of carbon hybrid MMCs was superior to other materials because of its solid lubrication of carb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MMCs was not affected by the sliding speed.

  • PDF

Measurement of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zero dispersion wavelength using Four-Wave mixing in DSF (4광파혼합을 이용한 온도에 따른 분산천이광섬유(DSF)의 영분산파장 변화 측정)

  • 김상혁;김동환;조재철;김선호;김상국;최상삼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2
    • /
    • pp.123-126
    • /
    • 1998
  • We derived an equation show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zero-dispersion wavelength and measure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zero dispersion wavelength using four-wave mixing in dispersion shifted fibers in the range of $22^{\circ}C-59^{\circ}C$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the zero-dispersion wavelength i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around DSF increases and its temperature dependence is 0.032 nm/$^{\circ}C$. Also, the calculated behavior of FWM efficiency coincid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 PDF

Performance Test of a Small Simulated High-Altitude Test Facility for a Gas-turbine Combustor (가스터빈 저온/저압 점화장치 구성 및 운영조건 확인 시험)

  • Kim, Tae-Woan;Lee, Yang-Suk;Ko, Young-Sung;Lim, Byeung-Jun;Kim, Hyeong-Mo;Kim, S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153-156
    • /
    • 2008
  • Ignition and combustion performance of a gas-turbine engine were changed by various high-altitude condition. A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small test facility to simulate high-altitude condition. To perform the low pressure condition, a diffuser was used in various diffuser front of primary nozzle pressure. To perform the low temperature, heat exchanger was used in various mixture ratio of cryogenic air and ambient temperature air.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high-altitude conditions can be controled by diffuser front of primary nozzle pressure and mixture ratio of cryogenic air and ambient temperature air.

  • PDF

Micro-Structural Study of Al/Ni Nano-Multilayer Foils by Intermixing Criteria (혼합 기준을 달리한 Al/Ni 나노 멀티 포일의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

  • Jo, Yong-Gi;Yu, Gwang-Chun;Lee, Won-Beom;Yu, Se-Hun;Jeong, D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374-375
    • /
    • 2013
  • Al/Ni 나노 멀티 포일은 상온에서 외부 방전 및 촉발에 따라 급속한 자기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을 보여, 외부 촉발을 통해 상온에서 온도를 높일 수 없는 접합이나 마이크로 수준의 미세 접합이 가능한 접합재료로서 활용이 상당히 기대되는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한 층이 20 nm 이하에서 Al과 Ni의 혼합 기준을 달리한 Al/Ni 나노 멀티 900층을 제조와 제조된 반응성 포일이 자기 발열 반응에 따른 미세구조에 대해 조사하였다. 박막의 증착은 3~10 mTorr의 공정압력 으로 Al 타겟 전류 1.7 A, Ni 타겟 전류 1.4 A로 하여 증착시간을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SEM과 EDX를 통하여 Al/Ni 나노 멀티 포일의 성장구조와 각 원소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XRD 미세결정구조 분석은 제조된 반응성 포일과 외부 촉발시킨 후 자기 발열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 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혼합기준이 1:1의 Al/Ni 나노 멀티 포일에서 약 $980^{\circ}C$의 발열이 발생하는 것을 Pyrometer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자기 발열 반응 후의 혼합 상은 AlNi이 형성되었다. Ni rich 포일에서는 약 $730^{\circ}C$의 발열이 발생하였고, 혼합상으로 주로 AlNi이 형성되었고 Al3Ni2도 나타났으며,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Ni이 남아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Al rich 포일에서는 약 $720^{\circ}C$의 발열과 함께 AlNi, $AlNi_3$이 형성되었고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Al이 미세하게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Binder for Recycling Cold Asphalt Mixture (재활용 상온아스콘 혼합물의 최적 결합재 개발)

  • Hong, In Kwon;Jeon, Gil Song;Yang, Chang Bae;Lee, Seung Bum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5 no.4
    • /
    • pp.409-41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ign the optimum mixing ratio of aggregate, cyclic aggregate, and binder (moisture, emulsified asphalt, and emulsion type additives) and produce recycling cold asphalt paving mixture satisfying site work standard. The cyclic aggregate satisfying KS F 2572 was collected from waste asphalt by adequate processing.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shearing strength was decreased. The maximum marshall stability was shown at the 3.0 wt% moisture content. So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was 3.0 wt%. The marshall stability and flow value with the amount of emulsified asphalt was satisfied in the range of 0.5~2.5 wt%, and the porosity was satisfied in the range of 0.7~2.5 wt%. So the optimum amount of emulsified asphalt was 1.6 wt%. The optimum amount of emulsion type additive was 0.1 wt% in the light of marshall stability and degree of saturation of recycling cold asphalt mixture.

A Study on Preparation of Colloidal Gas Aphrons and Stability (Colloidal Gas Aphrons의 제조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

  • Yoon, Mi-Hae;Cho, Dae-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9 no.6
    • /
    • pp.670-677
    • /
    • 2007
  • The stability of CGAs(colloidal gas aphrons) prepared from non-ionic and ionic surfactants was investigated. Those surfactants were sodium dodecyl sulfate(SDS), Triton X-100, Tween 80 and Quillaja Saponin. The stability of CGAs prepared from single surfactants or mixed surfactants(two components) using a CGA generate. was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temperature,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stirring time. Saponin among the single surfactants has shown the longest duration time(143 min) and then, Triton X-100, SDS, and Tween 80 were followed by at room temperature. In case of CGAs heated up to $70^{\circ}C$, SDS endured for 116 min but Saponin lasted for only 105 mit which was a considerable reduction of the duration time of CGAs at room temperature. For mixed surfactant pairs, stability of any one pairs stood between the two. That meant no synergic effect for surfactant blending. At the higher temperature, Saponin+Triton X-100 was disclosed to be the lowest, 53 min meanwhile Saponin+SDS was the highest at ambient temperature. The CGAs, initially about 140 ${\mu}m$ in diameter, began to grow right after the agitation to be about 190 ${\mu}m$ owing to coalescence of the bubbles and then became to collapse. When heated, CGAs including Saponin tended to be smaller while the others to be larger. In summary, we found that the stability of CGAs or the duration time was greater for single surfactants and at room temperature rather than for mixed surfactants that caused substantial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CGA structure and at the higher temperature.

Polyamic acid 전구체 막의 PV 분리 특성

  • 최호상;박영태;이수각;곽순철;남석태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30-31
    • /
    • 1995
  • 막분리 기술은 증류, 추출, 흡착 등의 종래의 분리기술에 비하여 상온, 상압에 가까운 마일드한 조건에서 조작된다는 점과 에너지 절약 및 환경오염원의 물질을 부생시키지 않는 점 등으로 최근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응용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PV에 대한 기술은 유기액체혼합물의 분리와 공비혼합물의 분리에 아주 유용한 기술로서 그 응용범위가 상당히 넓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imide 막을 PV 분리기술에 적용시킥 위하여 Polyamic acid 전구체를 casting하여 열처리 과정을 거쳐 Polyimide 막을 제막하여 제막공정에 따른 막의 구조 특성을 확인하고, acetic acid의 PV 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hase Formation and Sequence in Co/Si System during Ion Beam Mixing (Ion Beam Mixing에 의한 Co/Si 계의 상 형성 및 전이에 관한 연구)

  • 최정동;곽준섭;백홍구;황정남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4 no.1
    • /
    • pp.26-3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Co/Si 계에 대한 이온선 혼합실험을 온도와 이온선량을 변수로 하여 실시하였고, Co/Si 계에 대한 상형성 과정을 금속/Si 계에 대한 이온선 혼합시의 비정질상 및 결정상 형성예측 모델(ADF Model)과 초기 결정상 예측 모델(PDF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이온선 혼합은 80KeV 가속기를 이용하여 상온$-40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1.0X1015Ar+/$\extrm{cm}^2$-2.0X1016Ar+/$\textrm{cm}^2$의 이온선량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으며 상분석은 투과전자현미경(TEM)과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하였다. Co/Si 계에서 이온선 혼합시 형성되는 초기 결정상은 Co2Si이며 이온선량의 증가에 따라 CoSi로 상전이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비정질상 및 결정상 형성 예측 모델(ADF model)과 초기 결정상 예측모델(PDF model)의 예측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ADF 모델과 PDF모델을 이용하여 박막에서 형성되는 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기용제 취급 작업장의 공정별 공기중 혼합유기용제 구성성분 평가

  • 원정일;김기환;신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130-135
    • /
    • 2000
  • 유기용제는 상온, 상압 하에서 휘발성이 있는 액체로서 다른 성분을 녹이는 성질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단일 용제가 사용되나 대부분은 2종이상의 혼합용제 형태로 도장, 인쇄, 접착, 세정작업등 제조업뿐만 아니라 건설, 운수, 서비스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 근로자에게 건강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용제의 77%가 혼합용제이고 특히 도료에서의 혼합유기용제 사용비율은 93%, 신나 85%, 잉크 73%, 접착제 67%이며 세정제에는 단일 용제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있다. 유기용제 사용에 의한 건강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기용제의 사용실태 파악과 정확한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를 통한 작업환경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중략)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anofluids Using Carbon NanoTubes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유체의 특성 비교 연구)

  • An, Eoung-Jin;Park, Sung-Seek;Kim, Nam-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4.1-74.1
    • /
    • 2011
  •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21세기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차세대 첨단 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나노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획기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높은 열전도도 특성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기본 유체 및 기능성 유체에 안정하게 분산 시킨 후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탄소나노튜브를 유체에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적 분산법, 물리적 흡착에 의한 분산법, 화학적 개질에 의한 분산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분산 방법과 탄소나노튜브 입자의 물성치에 따른 나노유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노유체의 열전도도와 점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물성치는 같지만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만 다른 두 종류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각각 계면 활성제(Sodium Dodecyl Sulfate, SDS) 100 wt%와 고분자 화합물(Polyvinyl Pyrrolidone, PVP) 300 wt%를 첨가하여 나노유체를 제조하였으며, 산화처리 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Oxid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OMWCNTs)를 증류수에 초음파 분산하여 산화나노유체를 제조하였다.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는 전기 전도성 유체의 비정상 열선법(Transient Hot-wir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나노유체의 점도는 회전형 디지털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상온에서 동일 혼합비의 나노유체를 비교했을 때, 산화나노유체가 SDS 100 wt%, PVP 300 wt%를 혼합한 다른 나노유체보다 높은 열전도도 특성을 보였으며 점도 특성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상온에서 0.1vol%의 산화 CM-100 나노유체는 증류수보다 열전도도가 8.34%가 증가하였고, $10^{\circ}C$의 저온에서는 상온에서 증류수와 비교하여 측정된 열전도도 값보다 0.36%가 감소한 7.98%가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높은 열전도도를 필요로 하는 열교환기의 작동유체나 기타 활용 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