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업 시설

Search Result 35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imulation of Discharge according to the Impervious Area Ratio in Commercial District of Urban Area by SWMM (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시.상업지역의 불투수면적비에 따른 유출모의)

  • Park, Sung-Chun;Kim, Myoyng-Geol;Kim, Young-Myung;Chang,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78-882
    • /
    • 2008
  •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 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등의 도시시설 및 산업화에 따른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 지표면으로 변화되어 도시의 불투수 지표면의 구성비가 증가되므로 이로 인해 침투량과 증발산량이 감소하며 지하수 유출량을 감소된다. 또한 도시유역의 조도계수의 감소로 도달시간이 단축되어 첨두홍수량이 증가하게 되는 등 도시유출특성이 변화되어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지구를 대상으로 불투수면적비의 변화에 따라 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출모의를 위한 대상지구의 유역 및 관로 시스템의 제원은 수치지도와 관망도를 이용하여 유역을 구분한 후 배수 관망, 유입구 제원, 맨홀 등 관로시스템 자료 및 유역의 지표면과 지하 배수시설 및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여 유역의 불투수지역(Impervious area) 및 투수지역(pervious area)으로 구분하였다. 불투수면적비에 따른 유출량과 유출률, 첨두유량, 기저시간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모의 값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2008년에 측정한 실측자료를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를 실시하여 SWMM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값과 실측자료를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An Analysis Locational Value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by the Internalization of Street (가로의 내부화에 따른 상가 입지가치 분석)

  • Kim, Jin-Sik;Kim, Whoi-Yul;Kim, Byeoung-Su;Ahn, Byung-Ju;Lee, Yun-Seo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76-879
    • /
    • 2007
  • Large scale composition facility gives in commerce and space structure effect. therefore, this study will estimating locational value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by separating space analyze to the topological property, predict a pattern and distribution of passenger's routes through the space syntax on the basis of analysis about the topological property which quantitatively using a estimating tool. Moreover, this study should suggest some of present issues at the aspects of inside city plan and design fitting the internalization of street for propelling efficient the locational strategy.

  • PD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of Underground Parking in Commercial Facilities - Field survey of Underground Parking Spaces in Department stores, Large Discount Mart and Mixed Used Commercial Facilities - (상업시설 지하주차장의 CPTED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와 백화점, 복합상업시설 지하주차장 현장조사 -)

  • Min, Young Hee;Kwon, Ju-Young;Ha, Mi-Kyo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5 no.3
    • /
    • pp.129-137
    • /
    • 2016
  • Dark and desolate underground parking spaces in commercial facilities are optimal spaces for crime. First, this study reviewed 15 precedent CPTED guidelines and related literatures, and as a result extracted 45 CPTED planning criteria for underground parking facilities. Secondly by field survey, we investigated six parking spaces in commercial facilities whether they were planned properly based on 45 checklist items, in six categories of CPTED principles. In result, target facilities showed average 46.8% relevance ratio, which means less than a half of 45 items of CPTED planning factors were not applied. Guidelines suggest desirable illuminance level of more than 100 lux, however the measurement of illuminance levels in some parking spaces showed below 50 lux. Relatively department stores were keeping CPTED guidelines better than large discount mart and mixed used facilities. Definition of territory of loading dock and customer area should be clarified, clear signage and color scheme in different zones should be represented with higher level of territorial responsibilities and surveillance in mixed used facilities for further improvement.

A history of the greenhouse management of worlds (세계의 시설원예 변천사)

  • 박권우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 no.2
    • /
    • pp.160-176
    • /
    • 1994
  •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데 비하여 서양의 시설원예는 우리보다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서양에서 시설원예의 시작은 개인의 취미생활이나 미적 탐구 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초기에는 식물재배의 한 방편으로 출발했다고 보아야겠다. 그 후 식물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시설을 이용한 재배가 서서히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시설원예의 상업적인 접근은 유럽의 경우에 19세기 초.중반부터 이루어졌는데 이 시기가 근세로 이어지면서 인구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졌던 시기이기 때문이다.(중략)

  • PDF

The Effects of Complex Commercial Facility on the Prices of Nearby Apartments (복합상업시설이 인근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Kim, Yen-Uk;Chun, Hae-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3
    • /
    • pp.231-240
    • /
    • 2022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on the price of nearby apartments in a Hedonic price model. The spatial range of this study was the walking area of H Department Store located in Pangyo among the second new towns suburb of Seoul, and the time range was 2020.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real transaction price of the apartment, and independent variabl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the transaction floor, and the highway access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 of the apartment, and the elapsed year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ice of the apartment. However, the size of the apartment had little effect on apartment prices, and the distance from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was shown to be related to apartment prices, indicating that apartment prices declined as it moved away from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Therefore, this is much more influential than the influence of distance from subway stations on apartment price. This confirms that the effect factors of apartment prices and the size of their influence appear differently in the new town area and the existing metropolitan area.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oading in the Commercial Area (도심 상업지역 가로에 있어서 하역의 실태분석)

  • 정헌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520-528
    • /
    • 1998
  • 대도시 도심상업지역에서는 하역을 위한 적절한 대책이 수립되지 않아 노상에서 빈번히 하역이 이루어져 도로교통혼잡과 보행환경악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내 물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화물수송에 있어 공동집배송 등의 물류합리화를 통해서 대처하여야 하지만 아직 도시내 하역의 실태조차도 정확히 파악되고 있지 않은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 도심상업지역 중 조사구간을 선정하여 실측조사와 5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하역의 실태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시 도심상업지역의 점포에서 반·출입되는 화물의 수송형태는 공동수송보다 개별적으로 수송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그리고, 도심상업지역의 시각별 순간 노상주차 현황을 보면 승용차의 비율이 높으나 화물의 반출·입에는 소형트럭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목적시설과 가급적 가까운 곳에 주차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