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업공간 활성화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도출 - 청주시 육거리 시장을 중심으로 - (Derivation of Factors for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through Spatial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Yukgeori Market in Cheongju City -)

  • 정상규;반영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0호
    • /
    • pp.55-61
    • /
    • 2018
  • Changes in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due to construction of large Western-style commercial buildings and introduction of new purchasing methods in South Korea in the 1990s led to a gradual decline in traditional markets. Under such a new environment, Yukgeori market, one of Korea's exemplary markets, has continued to develop and surviv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market form of Korea, both physically and operationally. Therefor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s supporting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we deduced social attributes of spaces in street network of Cheongju city and the neighborhood including Yukgeori market by calculating the depths of nodes in the network using analysis models based on space syntax.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long street with the function to attract people and acts as a bridge of traffic and communication between highly modernized commercial area and traditional market can lead to continuous win-win development of both areas and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promotion of social activities in the market. We expect that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cities, which lost tradition, will be achie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자전거 이용정보 서비스 (Service for Bicycle Use Information Based on Low Carbon Green Growth)

  • 김의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5-81
    • /
    • 2010
  • 기존의 자전거 도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자전거 도로의 신설을 통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점차 자전거 도로의 이용자가 증대됨에 따라 녹색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 되었다. 기존의 자전거 이용정보의 분석은 주로 운동량에 기반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를 이용함으로서 절감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유류비, 지구온난화 처리비용 등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GPX(GPS eXchange Format) 파일형태로 제공되는 자전거 이용정보를 구글어스 기반의 3차원 환경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은 기존의 상업용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자전거 이용자 측면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권활성화에 있어서 상업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s of Shop Owners in Boosting Conventional Markets)

  • 박승제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93-102
    • /
    • 2011
  • 도시의 얼굴로서 발전하여온 중심시가지와 상점가는 빈점포의 증가, 공터의 증가, 유동인구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중심시가지가 쇠퇴의 일로에 있다. 상점가의 이용감소, 주거지의 교외화, 공공시설의 교외 이전, 집객시설의 이전 등으로 인하여 중심지는 더욱 쇠퇴해 지고 있다. 상업자는 상업의 본연의 기능으로서의 매매, 교환의 기능을 가짐은 물론 상업자의 외부성으로서 지역과의 커뮤니티성, 지역의 사회성을 지니고 있다. 상점가는 지역의 생활기반이면서 지역성을 결정짓는 지역의 얼굴이기도 하며 지역문화의 전승, 창조하는 공간이며 지역의 휴식과 지역 주민과의 정보 교류의 장으로서 공공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으로 지역에 진출하는 대형점이나 체인점들은 대부분 스크랩앤드빌드 및 균질화 매장으로 기능으로 지역에 대한 공헌성이 부족하나 도심 상점가는 지역의 공공적 요소로서 지역에 공헌하는 기능을 갖는다. 궁극의 소매상업자는 결국 상업 본연의 매매, 거래 기능을 가지면서 지역과 공존하여야 하는 사회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 PDF

도시 재생 디자인 선호 요소 분석 -봉산마을 도시재생 현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Preferred Elements of Urban Regeneration Design -Focusing on the Case of Bongsan Village-)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19-325
    • /
    • 2021
  • 도시 재생 사업은 낙후된 상업지역이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경제를 활성화하고 주거 지역의 생활의 개선을 통해서 도시의 공동체를 유지하는 활동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국내 및 해외의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 및 부산영도 봉산마을 내 도시 재생 관련 설문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각 사례별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여 이를 그룹화하고 상위 키워드를 작성하였다. 13개의 상위 키워드를 리커트의 5점 척도를 활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10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AHP를 진행하였다. AHP 분석 결과 "공간 및 물리적 속성"에 대한 선호도는 "공공성", "지속 가능성", "정체성" 순으로, "컨텐츠 및 시스템 속성"의 선호도는 "주민 참여", "편의성", "지역성", "지자체 참여"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도시재생 키워드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향후 보다 더 활성화되는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하여 도시재생 디자인을 수립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의 역할의 제시가 필요하다.

지하도 상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From the cases in Busan Metropolitan Region-)

  • 한승욱;장진혁;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97-307
    • /
    • 2017
  • 본 지하 공간은 대도시에 남아있는 가용성 높은 공간으로서 효율적, 집약적 토지 이용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지하도 상가는 물리적 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도심의 활성화를 이룩할 수 있는 수단으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지하도 상가는 노후화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지하 상권의 침체를 가져왔다. 이에 지하도 상가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안하여 지하 상권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진행하였다. 부산지역 지하도 상가 7개소를 공간적 범위로 대인 면접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이용자가 느끼는 지하도 상가 만족도 결정요인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순서형 로짓모형을 통해 위 설문내용을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만족도, 지하 환경 만족도, 공공시설 만족도, 3개 요인이 지하도 상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신규 지하도 상가 개발 혹은 기존 지하도 상가 리뉴얼 시 해당 요소들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통해 지하도 상가 이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지하상권의 재활성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중국 강남 수향진의 수변공간 특성 연구 - 절강성 오진과 남심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of Jiangnan Watertown(水鄕鎭) in China - Focusing on Wuzhen and Nanxun in Zhejiang Province -)

  • 최정권;최정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8-109
    • /
    • 2016
  • 본 연구는 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되고 발전해 온 중국 강남 수향진 외부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수향진인 오진과 남심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로서 수변공간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향진의 입지와 도시적 골격, 필지 구획과 건축은 수로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로는 십자형(十字形) 또는 정자형(丁字形)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수로의 교차점과 중심 수로변은 규모와 세력이 큰 상업지가 형성되어 고밀화된다. 둘째, 중심 수로변으로 공적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시각적, 기능적으로 교호하는 사적인 건축물들이 수로변에 자리 잡아 강남 수향 특유의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셋째, 주거지는 남향 배치가 유리한 동서 방향의 수로변으로 형성되고, 수변 주택은 중정을 가진 내향적인 공간 구조이지만, 외부공간은 수로공간과 긴밀성을 높여 공간적으로 조화되는 수변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넷째, 수변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공간 환경을 풍부하게 한다. 즉, 수로와 함께 수변로, 낭붕, 기루, 다관, 하부, 광장, 교량, 희대, 수문과 탑 같은 외부공간 요소는 수향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정체성을 부각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도시에서 장소의 고유성과 질이 핵심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역사적, 문화적 집적도가 높은 강남 수향은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과의 긴밀성 증진은 수변공간 계획이 지향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가치이다. 둘째, 용도 복합은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장소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의 고유성을 장소 자산으로 하는 수변 계획이 요구된다.

청주시 상권면모와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Changes of the Trade Areas of Commercial Centers in Chongju City and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 김진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34
    • /
    • 2000
  • 청주시 상권은 도시성장에 따른 공간구조의 개편, 소비행태와 유통환경의 변화속에 대형마트 등의 잇단 진출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성안길의 도심권에 번화가와 사무실 밀집지역이 발전하였으며, 상당공원을 중심으로 남 북 서방향으로 난 주요간선도로를 따라 상권이 확대되고, 특히 대단위 주거밀집지역인 가경동 터미널부근, 용암 분평 산남동의 상업지역, 율량동지역의 상권이 새로운 부심상권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상권의 변화속에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내 진출, 전자상거래 확대 등으로 과거 육거리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재래시장 소규모 유통업체들의 경영악화가 가중되고 있다 지역주민들의 소비생활 편의제고라는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지역 소매상권의 붕괴, 판매자금의 역외유출 등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인터넷 상거래의 발달은 지역 중소유통업체의 경영위기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재래시장 유형별, 시장상인, 개별점포와 시장단위, 자치단체 및 관련 법률의 제 개정사항 등과 같은 정책대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e-비즈니스 관련 법규의 논의동향과 제정방향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enactment directions for e-business)

  • 경윤범
    • 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23-41
    • /
    • 2004
  • 전자상거래와 전자무역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사이버세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상거래방식에 의하여 적용되는 법률과 제도만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e-비즈니스 환경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자게약, 운송서류의 전자문서화, 전자결제 등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TO, OECD, UNCITRAL, APEC, 국제상업회의소(ICC) 등과 같은 국제기구에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전자상거래에 관한 UNCITRAL모델법과 미국의 통일전자거래법(UETA) 및 통일컴퓨터정보거래법(UCITA)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국제적으로 전자계약 관련 국제규범의 정립, 전자식 운송서류의 활성화 및 글로벌 전자결제시스템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국내적으로도 전자계약법제의 도입, 디지털재화와 관련된 거래법 제정, 전자유각증권의 발행과 유통과 관련된 법률제정 및 전자자금이체법의 제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Categorizing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Pattern)

  • 성현곤;김태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9-29
    • /
    • 2005
  • 본 연구는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역의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역세권을 유형화한 후 이를 토대로 토지이용특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역세권 유형화를 위하여 지하철역 이용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토지이용특성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의 지하철의 역세권이 주거, 상업 및 여가, 그리고 업무중심우위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거/상업, 주거/업무 주거/상업/업무 등의 다기능 우위를 지닌, 즉, 복합적 이용특성을 가진 다수의 지하철역도 파악되었다. 이러한 복합적 이용기능의 특성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역세권개발과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역세권 유형화 연구가 대부분 도시공간구조나 토지이용특성을 가지고 계획적 측면에서 접근한 반면에, 본 연구가 지하철역의 이용패턴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역세권을 유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GSIS와 인공신경망의 결합에 의한 토지적합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and Suitability Analysis by Integrating GSIS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양옥진;정영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9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토지이용의 적합성분석을 실시하는데 있어 GSIS와 인공신경망의 유기적인 결합을 시도해 보았다. 인공신경망은 학습이라는 과정을 통해 신경망 노드(node)간의 연결강도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간분석에서 요구되는 인자간의 경중률과 신경망의 연결강도는 대체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두 종류의 신경망을 구성하였다. 1차 신경망은 토지이용별 적합성 분석에 적용했으며, 2차 신경망은 최적의 토지이용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구성하였다 이들 신경망은 C++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 최급강하법에 의한 역전파 알고리즘에 의해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활성화 함수는 시그모이드 함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현행 용도지역제에서 주거, 상업, 공업, 녹지에 대한 토지이용 적합도면과 4가지 유형의 토지이용에 대한 대상지역의 최적토지이용패턴을 제시한 도면으로서 Arc/Info의 Grid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또한 토지이용별 적합도면상에 나타난 적합지역과 최적토지이용패턴은 위치적인 면과 공간 구성에 있어 실제의 도시토지이용계획의 이론적인 개념에 매우 합치되는 분포형태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