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악 전치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2초

Directional force와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한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례 (Directional forces using skeletal anchorage for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 div. 1 malocclusion)

  • 채종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7-203
    • /
    • 2004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Tweed-Merrifield directional force technology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양호한 골격적 변화 및 균형 잡힌 안모를 얻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적절한 방향으로의 J-hook을 통한 headgear force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환자의 협조에 대한 의존이 절대적이므로 약간의 문제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원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어 이를 보완 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HPJH(high pull J-hook)과 skeletal anchorage를 병용하여 directional force를 적용한 결과 상악 구치부에서의 고정원 보강과 상악 전치부의 토크 조절 및 mandibular response를 얻음으로써 양호한 안모의 균형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치료 결과로 보아 skeletal anchorage는 HPJH을 대신하여 상악 견치 및 전치부 견인시 상악 구치부의 전후적 및 수직적 고정원 보강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악 전치부 견인시 상악 전치부의 토크 조절, 압하 및 치체이동을 위해 HPJH을 사용하였지만, 이 또한 mini 혹은 microscrew로 대체한다면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하면서도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ini-implant를 이용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협진 치료: 문제중심의 교정치료 (Interdisciplinary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mini-implant: problem-oriented orthodontic treatment)

  • 임동혁;김영신;조민아;김기성;양성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5-314
    • /
    • 2007
  • 상악 우측 견치의 선천 결손과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문제중심의 치료계획 수립과 치료과정, 치료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상악 우측 견치와 상악 측절치 보철 공간을 위해 상악 우측 구치부 원심 이동을, 전치부 반대교합 해소를 위해 mini-implant를 적용하여 하악 전 치열의 원심 이동을 빠르고 쉽게 이루었다. 치료기간은 17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치료 1년 후에도 교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하악 전치부에서의 일체형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부하 (Esthetic restoration in mandibular anterior region with one-piece implant and immediate loading)

  • 윤세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7-104
    • /
    • 2018
  • 하악 전치부는 다른 구강 내 영역에 비해 높은 임플란트 성공률과 더 나은 접근성을 갖고 있다. 비록 부적절한 드릴링으로 인한 설측 피질골 천공 가능성과 설동맥 손상으로 인한 출혈 가능성이 있더라도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또한 상악 전치부와 비교했을 때 환자들이 심미적으로 덜 민감한 부위이다. 그러나 좁은 협설측 치조골 폭 때문에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로의 식립은 상악 전치부만큼 어렵다. 이러한 하악 전치부에서 일체형 임플란트는 매우 유용한 치료방법이다. 하악 전치의 해부학적 치근형태와 얇은 치조골을 고려할 때, 임상적으로 3mm보다 큰 직경의 임플란트 식립은 어렵다. 본 증례는 하악 전치부 무치악 부위에서 일체형 임플란트의 식립과 즉시 부하를 동반하여 심미적인 보철물을 구현한 경우이다.

상악 전치부 치관-치근 파절 증례에서의 보존적 접근법: 교정적 정출술 (Conservative approach for anterior crown-root fractured teeth: forced eruption)

  • 김지은;최성현;장훈상;황윤찬;황인남;오원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48-54
    • /
    • 2020
  • 상악 전치부 외상으로 인한 치관-치근 파절의 경우 파절선이 치은연하에 위치할 때 결손된 골조직과 연조직을 재생성하기 위해 교정적 정출술이 제안되었다. 교정적 정출술은 심미적인 결과와 좋은 예후를 나타내는 쉬운 교정 접근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강한 힘을 사용하거나 매우 빠른 교정력을 가하게 되면 조직손상이나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증례는 두 환자에서 외상으로 인한 상악전치의 치관-치근 파절에 대해 교정적 정출술을 이용한 임상치료과정을 서술하였다.

성장기 반대교합자의 FR III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CONSIDERATION ON THE EFFECT OF FR III IN GROWING PATIENTS WITH ANTERIOR CROSS-BITE)

  • 송경;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3
    • /
    • 1989
  • FR III에 의해 전치부 반대교합이 개선된 성장기 반대교합자 7명을 대상으로 치료전과 전치부 반대교합개선 즉시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모형을 분석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나, 악골형태, 성장형태, 부정교합상태등에 따라 아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어 FR III에 의한 악안면의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것으로 사료된다. 1. 상악골은 미약한 전상방으로의 회전 경향과 전방성장을 보였다. 2. 하악골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미약한 수직적 위치변화와 함께 하안면고가 증가되었다. 3. 상악전치는 치체이동 또는 순측경사되었다. 4. 모든 증례에서 하악전치는 설측경사를 보였다. 5. 상악치열궁 폭경은 증가되었으며, 하악치열궁 폭경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 PDF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치아 비율을 가지는 환자에서 치은 절제술을 동반한 전치부 심미수복 증례 (Anterior esthetic restoration accompanied by gingivectomy of patient with unesthetic tooth propor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a case report)

  • 한상연;이종혁;최석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208-217
    • /
    • 2018
  • 상악 전치부는 심미적으로 민감한 부위이며, 치아 외형과 치은의 조화도 치료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이 필수적이며, 필요 시 치아 주위 연조직에 대한 처치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연조직 처치로서 외과적 치관연장술 중 하나인 치은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심미적인 보철 수복을 할 수 있다. 상악 전치부는 심미뿐 아니라 기능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지대치 주모형과 순측만을 수정한 진단 납형 모형을 스캔 및 중첩하여 디자인 및 가공하면, 최소한의 교합조정을 통해 기존의 편안했던 교합을 재현해 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은절제술 및 모형 중첩을 통해 심미 수복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심미와 기능모두에서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병적 치아 이동된 상악 전치의 치주, 보철 치료 후 10년 경과 증례 (Periodontal and prosthetic treatment of maxillary incisors with pathological tooth migration: a case report with 10-year follow-up)

  • 김소연;권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1호
    • /
    • pp.26-33
    • /
    • 2022
  • 전치부 치간 사이 공간은 치주 환자에게 흔히 발생되는 병적 치아 이동(PTM, pathological tooth migration)과 함께 자주 관찰된다. PTM에는 다양한 교합적 요인들이 기여하는데 특히 상악 전치부에서는 과도한 교합력이 있을 때 위치 문제로 인한 불리함 때문에 치간 이개가 쉽게 발생한다. 치주 지지 조직이 소실된 치아는 의도적인 연결 고정(splinting)을 통해 지지 면적을 확장하면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 시에는 불리한 교합을 유리한 형태로 바꿀 수 있다. 임시보철물을 통해 안정적 교합을 확보 후 이것을 최종보철물로 옮기는 일은 CAD-CAM을 통하여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치간 접촉이 상실된 상악 전치부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 소개하고자 한다.

상악측절치 부위 발치후 즉시 식립시 임상적 고려사항

  • 홍순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42
    • /
    • 2012
  • 심미 영역에서 발치후 즉시 식립시 가장 기본이 되는 성공의 핵심 요소는, 발치후 발치와 리모델링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와 3차원적으로 정확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다. 그에 더해서, 상악 측절치 부위는 중절치나 견치 부위와 다른 해부학적 특성을 갖고 있고 이는 발치후 즉시 식립을 할 때 치료법을 결정하고 좋은 결과를 얻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순측 치조골의 함몰 정도, 인접 상악 전치 치근의 수렴 정도, 크라운-치근이 이루는 각도와 치조골 프로파일 이 세가지를 치료 전에 잘 평가하고 치료 전략을 세운다면 심미적으로 우수한 좋은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한국인에서 상악 전치의 시상 치근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agittal root posi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 공현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88-94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상악 전치의 치근 위치를 시상면에서 분석하고, 분류에 따른 빈도를 보고함으로써 즉시 식립 임플란트를 위한 방사선학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촬영한 환자 중 연구 기준에 적합한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축의 방향설정을 시행한 후에, 상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상 치근 위치를 분석하였다. 치근이 치조골의 협측, 중앙, 구개측으로 위치한 경우 각각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치근이 협측과 구개측 모두에서 피질골판에 2/3 이상 닿아있는 경우에는 Class IV로 하였다. 다음으로, 치아의 장축과 치조골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기술적 분석 및 Kruskal-Wallis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치아의 위치 및 분류에 따른 시상각을 비교하였다. 결과: 상악 전치부의 시상 치근 위치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Class I은 81.1%, Class II는 10.3%, Class III는 1.9%, 그리고 Class IV는 6.7%로 나타났다. 상악 전치부의 77.5%에서 시상각이 20도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견치의 경우, 42.7%에서 20도 이상의 시상각을 보였다. 분류에 따라서는 Class I (16.19)에서 Class II (8.72) 및 Class III (9.93)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시상각을 보였으며, Class IV (3.79)에서 낮았다. 결론: 본 제한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상악 전치의 치근은 일반적으로 협측 치조골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나, 일부 치아는 매우 얇은 치조골을 가지고 있으며, 30도 이상의 큰 시상각을 보였다. 따라서 적절한 치과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시상 치근 위치 및 시상각에 대한 cone-beam CT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