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승기류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경사진 산림지형에서의 자연유동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low Patterns with Sloping Forest Canopies)

  • 윤현기;;유기수;정명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2권3호
    • /
    • pp.173-180
    • /
    • 2008
  • Diurnal variation of the flow over a forest canopy on a mountain slope is simulated numerically. In the daytime, the earth surface is heated by the solar radiation and the flow goes up the mountain due to the buoyancy force, and during the night, the air is drained downward along the slope owing to the cooling of the surface by radiation. In this flow process the forest canopy that consists of leaf region and the trunk region plays a dominant role as a momentum sink to the flow, thus the modeling of the leaf area region and trunk region is critical to the successful flow simulation. In the present study, a field measurement in an experimental forest in the State of Oregon in the United States is numerically analyzed. The resistance to the flow in the leaf reg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leaf area density (LAD), and the trunk is modeled as a cylinder.

동굴내부중력장의 역성장고드름 생성 기구 (Formation of Retro-icicle Grown Backward Against Gravity Field in Cave)

  • 소대화
    • 동굴
    • /
    • 제70호
    • /
    • pp.1-8
    • /
    • 2006
  • 처마 끝에 열리는 고드름은 흔히 겨울철에 내린 눈이 지붕위에 쌓여 있다가 따사로운 햇살이 비치면 녹은 눈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영하의 찬 기류에 얼면서 성장하여 길게 매달린다. 그러나 땅바닥이나 물그릇 속에서 위로 자라 올라오는 역고드름은 특별히 그곳에서만 지상의 역 중력이 작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간단히 해석되기가 쉽지 않다. 겨울밤에 정안수를 놋그릇에 떠놓고 공불기도를 올리다가 물이 어면서 나타나는 기이한 역 고드름은 물이 얼면서 생긴 표면의 숨구멍을 통하여 물보다 저밀도인 얼음의 체적이 불어서 밀려나오면서 생길 수 있으나, 이 현상만으로는 역고드름이 그렇게 크게 자랄 수가 얼다. 따라서 이 경우는 주변에서 불어오는 찬 기류가 지형지물에 부딪히면서 회오리쳐 소슬바람을 일으킬 때 일시적인 부압이 작용하여 그릇속의 물이 숨구멍을 통해 나오면서 얼어 성장되는 현상이 부가적으로 상승작용을 일으켜 길게 자라 올라온 것이다.

조선 중기 이후 서울의 장마철 강수 평균과 극한강수현상의 변화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Changma-Period Precipitation Since mid-Joseon Dynasty in Seoul, Korea)

  • 최광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3-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측우기(1777~1907년)와 현대적 기상장비(1908~2015년)로 측정한 강우량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서울의 장마철 강수량과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난 장기간 변화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동아시아 영역의 종관 기후장에 나타난 변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약 239년 동안의 서울의 강수자료 시계열을 분석한 결과, 20세기 후반으로 올수록 장마철(6월 하순~9월 초순) 강수량이 증가하고, 경년변동성도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초반부터는 장마철 중에서도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와 장마 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 극한강수현상 중심의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면서 장마기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화가 뚜렷한 1990년 전후의 상층 종관기후장을 비교해 보면, 최근에는 북서태평양 주변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 강도가 강화되어 해양성 기단이 한반도 방향으로 더 확장하고, 유라시아 대륙 내부 몽골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고기압 편차핵이 형성되면서 고위도로부터 기류가 더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성질의 기류들이 강해지면서 이들 기류들이 만나는 북서태평양 연안 지역에 상승 기류 흐름이 활발해지면서 최근에는 서울의 장마철 강수평균 및 극한강수현상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 PDF

인도양 해수면 온도와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관계에 대한 장주기 변동성 (The Interdecadal Vari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Indian Ocea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East Asian Summer Monsoon)

  • 김원모;전종갑;문병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성과 1970년 중 후반 이후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전반기의 인도양 해수면 온도는 동아시아 여름강수편차(EASRA), 북서태평양 몬순지수(WNPMI)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지만 후반부에서는 인도양 전 부분에 걸쳐 상관관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와 동아시아 몬순과의 상관성 관계는 봄철과 여름철 각각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봄철의 경우에는 적도 인도양을 중심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반면 여름철의 경우에는 벵갈만 근처의 인도양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수십년 주기의 변동성은 ENSO의 변동성보다 동아시아 여름 강수편차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ENSO보다도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성이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수십년주기의 변동성 차이(후반기 해수면 온도와 전반기 해수면 온도의 차이)를 모델의 강제력으로 주고 AGCM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델 실험 결과 실제 전 후반기 강수량의 차이 패턴인 동아시아 북부의 강수 감소, 한반도와 일본 남부의 강수 증가, 중국 남부의 강수 증가의 패턴이 보였다. 특히 8월의 북서태평양고기압의 확장으로 인한 강수의 증가는 실제 기후변화 차이를 나타낸다. 인도양 해수면 증가로 인한 모델상에서의 대기 순환은 벵갈만-인도양과 북서태평양의 상승기류 중심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주며 북서태평양에는 고기압성 기류를 강화시키고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저기압성 기류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승기류 중심을 북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인도양 해수면 온도의 증가 효과는 동아시아 지역과 북서태평양 지역의 반대위상의 변화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양지역별 해수면 온도의 민감성 실험에서는 적도인도양의 강제력의 경우에 북서태평양 상승기류을 강화하여 동아시아 여름몬순에 영향을 주었다.

기류방출형 정전기제거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이동훈;박훈규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7-172
    • /
    • 2003
  • 액정판넬(LCD) 및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정전기 발생으로 인하여 미세한 먼지가 LCD 및 반도체 웨이퍼에 부착되거나, 정전기 방전에 의해 반도체소자 및 LCD 유리기판상의 패헌의 파괴를 야기하여 제품의 수율을 저하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현재 이러한 제조공정에서 정전기를 위한 대책으로 코로나방전에 의한 이온바(Ion Bar) 및 이온브로어(Ion Blower)를 제전설비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장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을 발생시키고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 내기 위하여 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대류 시킨다.(중략)

  • PDF

국내 카메라 및 사진관련 시장 동향

  • 박지연
    • 광학세계
    • /
    • 통권109호
    • /
    • pp.28-34
    • /
    • 2007
  • 90년대 중반 국내 시장에 본격 보급된 이래, 폭발적인 인기를 모으며 연평균 20% 이상의 상승곡선을 그리던 디지털카메라가 올해를 기점으로 점차 주춤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 디지털카메라 시장은 220-230만대 내외로 추정되는 가운데 기존 콤팩트 디카 시장의 포화현상으로 인해 신규시장을 형성하려는 카메라 업체들간의 전략과 새롭고 다양한 기능의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층의 기대확산 등이 맞물리면서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시장 기류가 형성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디카 성능의 표준화에 따라 업체들은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심리를 끌어내기 위해 자신만의 특징적인 제품개발에 집중하는가 하면 그동안 사각지대로 불렸던 여성 소비자를 겨냥하여 소형.경량화된 DSLR마케팅에 집중하는 등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고층 건축물 연돌효과 저감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ducing Method for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

  • 김진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66-66
    • /
    • 2011
  • 중위도 이북의 건물에서 고층건물의 혹한기 연돌효과는 건물의 여러 가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승강기 승강로는 화재시 차압 때문에 연기의 주된 전파통로가 된다. 외피의 밀폐성능을 높여 건물 내부의 연도효과를 줄일 수 있으나, 외피의 밀폐기능은 비상시 피난을 위해 피난경로를 개방하는 순간 일시에 무력화된다. 또한 건물 외피의 밀폐성능이 우수할수록 연돌효과 그 자체로써 건물외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이 커진다. 고층부의 연돌효과는 외피를 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이므로 풍하측에서는 마이너스 풍압에 더하여 건물 외피에 부담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고층건물에 발생하는 혹한기 연돌효과의 영향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bullet}$ 건물 외벽 및 창문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bullet}$ 제연 시스템의 기능 저해 ${\bullet}$ 승강기 문 개폐 장애와 소음 등 설비 기능의 부정적 영향 ${\bullet}$ 공조기능 장애 ${\bullet}$ 화재시 승강기 승강로 등 수직 샤프트를 통한 연기 전파 혹한기 건물 안팎의 온도차가 40K일 때 높이 600m인 초고층 건물 최상층에 발생하는 연돌효과에 의한 차압은 풍속으로 환산할 때 32m/s에 달한다. 그러므로 초고층 건물 설계시에는 최상층의 풍하측에 설계상의 예상 최대풍속에다 이러한 환산풍속을 더한 고속 풍력이 창문을 밖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공조 및 환기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차압을 고려하지 않으면 고층부에서 환기 성능이 무력화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연돌효과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1) 계단실의 연돌효과 저감 방법 계단실에 발생하는 연돌효과에 의한 차압은 계단실에 상승기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차압과 상승기류는 계단실 상하부를 개방하면 자연적으로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별도의 제어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상하부 외벽의 개구부를 열어두게 되면 피난상황에 따라 문이 여닫힘으로써 발생하는 압력상태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2) 승강기 승강로의 연돌효과 승강로의 상하부에 대규모 개구를 두면 대규모의 외기가 도입되어 상승 유동 후 배출되므로 승강로 내부 온도 저하로 연돌효과가 저감되고, 승강로로 유입된 연기는 대규모의 외기에 희석되어 농도가 낮아지고 대부분 외부로 배출된다. 3) 샤프트 복합효과를 이용하는 방법 거실 평면적에 비해 승강기나 계단이 아주 많고 누설틈새 등 개구의 면적 합계가 크면 샤프트들이 서로 복합효과를 이루어 연돌효과에 의한 차압이 줄어든다. 연돌효과 제어용 샤프트를 하나 더 보조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보조샤프트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으로 거실을 가압 혹은 감압하여 문제가 되는 차압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다.

  • PDF

강화(수도권 풍상측) 지역 오존농도 계절변화 특성과 고농도 사례분석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Ozone and Characteristics of its Episodes at Kangwha Background site in Korea)

  • 김유근;오인보;황미경;황선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1-202
    • /
    • 2002
  • 최근 국외 여러 연구에서 지역 및 종관규모의 기류움직임과 연계된 오염물질 수송이 풍하측 도시 또는 배경지역의 오존농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침을 밝히고 있다 (Lam et al, 2001; Chan and Chan, 2000). 한반도 역시 중국과 동아시아 주요 국가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해 대기질의 변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장거리 수송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중국의 북경을 중심으로 한 황해연안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오염물질은 (Streets and Waldhoff, 2000) 편서풍대의 풍하측에 위치해 있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초근 심각한 대기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오존농도 상승에도 기여하게 된다. (중략)

  • PDF

배수관내의 공기압력 변동의 완화방법

  • 유건석;이용화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2권10호
    • /
    • pp.27-30
    • /
    • 2003
  • 배수관내의 공기의 압력변동을 완화시키는 방법의 하나인 통기밸브 등에 대해 소개한다. 배수설비의 목적은 위생기구로부터의 오배수를 건물 밖으로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배수관내에 악취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침입하여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도 한다. 하수가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형상의 배수트랩을 설치하는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트랩내의 봉수는 파괴되기도 한다. 봉수파괴 원인 중에서도 가장 큰 영 향을 미치는 사이 폰 작용에 의한 봉수 파괴는 배수 수직관 및 수평주관내의 공기의 압력변동이 원인(유도사이펀 현상)이 되어 발생하거나 배수자신(자기사이펀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배수관내의 압력은 배수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배수에 의한 공기의 이동 등에 의해 변동하며, 배수가 없어도 배수관 접속부의 기압변동이나 상승기류에 의해 변동된다.(중략)

  • PDF

장마전선상에서 하층제트 유입으로 인한 한반도 집중호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vy Rainfall Events accompanied by Low Level Jet inflow of the Changma Front in Korea Peninsula)

  • 최지영;김창모;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2-94
    • /
    • 2010
  • 최근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부는 제트류(jet stream)가 장마 전선에 유입되면서 다량의 수증기 공급으로 인한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집중 호우는 상, 하층 제트류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상층 제트류는 제트류의 남쪽과 하층에서 상승기류를 유발하는 역할을 하고 하층 제트류는 남쪽 및 남서쪽에서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를 북쪽 및 북동쪽으로 수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 하층 제트류가 교차되거나 근접할수록 상하층의 온위차가 커지고, 연직시어도 증가되며, 또한 두 제트류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2차 순환이 강화되어 호우가능성이 높아진다. 한반도의 경우는 지리적으로 경압성이 강한 동아시아에 위치하여 전반적으로 잘 구조화된 하층제트를 형성하여 호우의 제반 여건을 형성하므로, 하층제트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관계한 집중호우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