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수원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Characteristics of Roadside Non-point Pollution and Applicability of Reduction Facilities in Paldang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내 도로비점오염의 특성 및 저감시설의 적용성 연구)

  • Cho, Hye Jin;Song, Meeyo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4
    • /
    • pp.294-299
    • /
    • 2020
  • Based on the combined results of field surveys and analyses of the road structure and traffic flow, we propose a new plan for reducing roadside non-point pollution in the Paldang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The results show that the soil surrounding the roads in Paldang is highly permeable, which mitigates the need for filtration facilities. Roads flanked by steep slopes are found to facilitate the reduction of non-point roadside pollution through vegetation and soils along road slopes without the need for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a flexible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plan for roadside non-point pollution, which can be tailored to compliment relevant regulations and design standard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oad.

A study on drinking water protect zone policy by social benefit analysis of upstream and downstream (상·하류 사회적 가치 추정을 통한 상수원보호구역 정책 고찰)

  • Ryu, Munhyun;Jeon, Dongjin;Kim, Sueyoung;Kwon, Kid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5
    • /
    • pp.357-362
    • /
    • 2023
  • The conflict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is a representative social conflict in Korea. It is important issues in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related to interests of property rights and water quality conservation. however, it is insufficient for studies on the economic damage and benefit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y policy. We studied validity for drinking water protect zone, one of the major water conflict in Korea, by comparison between social loss by property rights restriction in the upstream and social benefits in the downstream and we propos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olicy in basin level.

A Study for the development plan of Renewable Energy connected with Water Supply Sources, in Ulaanbaatar City, Mongolia (몽골 울란바타르시 상수도시설과 연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방안 고찰)

  • Choi, Hong-Yeol;Kim, Yung-Kuk;Kang, Dong-Hyung;Kim, Jong-Gye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64-1365
    • /
    • 2011
  • 울란바타르시는 몽골의 수도로 인구 110만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2030년에는 몽고 전체인구의 55.5%가 집중되어 도시의 밀집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몽골은 연평균 강우량이 250mm에도 미치지 못하는 건조한 지역이 대부분으로 전체 수원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인구증가에 따른 지하수 고갈 및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폭설, 한파 등의 영향으로 활용 가능한 수자원이 매년 줄어들고 있어 신규 상수원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시 하고 있다. 동절기 상수원의 결빙을 예방하여야 하나 어려운 전력난으로 전력대신 석탄 보일러를 이용하고 있어 심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각종 현상 및 문제점들에 대응코자 진행중인 울란바타르시 수자원개발 마스터플랜 및 상수원 추가 개발사업 가운데 조절지로 공급되는 관로의 잉여압력을 이용한 소수력과 추가되는 가압장의 여유부지에 시설되는 태양광발전의 개발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ecision of Permissible discharge Pollutional Load of Subbasin (소유역별 허용 배출오염부하량 결정에 관한 연구)

  • Park, Sung-Chun;Kim, Yong-Gu;Roh, Mo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23-1026
    • /
    • 2004
  • 우리나라는 토지이용이 고도화 되어 있고 상수원에 각종 오염시설이 이미 입지해 있으며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환경기초시설 확충 및 배출기준 강화 등 사후적 관리방법으로는 상수원의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수원수질보전을 위한 기존의 토지이용 규제정책도 일정 규모 이하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소규모 시설에 대한 효율적 규제가 안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규제에 의한 주민의 재산권 제한으로 민원도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오염원의 총량적인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주민이 스스로 오염원 총량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으로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수질관리 기법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을 대상하천으로 각 배수구역별 유황분석을 실시하고, 오염원조사, 부하량 산정, 수질모델링의 불확실성등 안전율을 고려하여, 오염원 총량관리 기본방침을 기준으로 오염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의 종류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에 대하여 2006년과 2011년의 장래수질예측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배수구역별 부하량을 할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