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수도 정책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분리막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용제 폐수의 분류처리공정 개발

  • 황영하;이은영;추종만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2.10a
    • /
    • pp.63-73
    • /
    • 1992
  • 환경오염이 심각해 질수록 수자원에 대하여,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환경오염 기준치 이내로 처리후 단순 방류하는 소극적인 방법에서 보다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처리 방법으로 개선하는 적극적인 인식의 전환을 요청받게 된다. 이것은 생산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며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건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더욱이 정부에서는 수자원의 고갈로 상수도 과다 수요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오,폐수의 중수도화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며, 세금및 상수도료 감면 혜택등으로 실질적인 상수도 절감을 유도하고 있으며, 금년 12월 부터 시행키로 발표된 바 있어, 이와 관련되는 기술의 관심이 그 어느때 보다 높아 지고 있다. 오,폐수 재사용의 기술은, 분류 처리 기술과 고도 처리 기술, 난분해성 폐수의 처리 기술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당사가 반도체 도금 공장인 A 산업체에 적용한 분리막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 용제 폐수의 처리 공법에 대한 연구 개발 실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hange of Water Consumption Results from Water Demand Management (수요관리에 따른 물 사용량 변화)

  • Seo, Jae-Seung;Lee, Dong-Ryul;Choi, Si-Jung;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6-366
    • /
    • 2011
  • 수자원 관리 정책은 한정된 수자원의 재배분과 효율적 이용, 수요관리에 의한 물 절약 정책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면서 물 부족의 사회적 대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00년에 "물 절약 종합대책(2000.3)"발표를 시작으로 시 도별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였고,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9)"수립에서는 수요관리 시나리오에 따른 장래수요량을 예측하여 발표하였다. 그러나 수요관리에 따른 절감량 산정 및 정량화된 수요량 평가 시스템의 부재로 수요관리 정책수립이나, 장래 용수수요량 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물 수요관리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장래수요량 예측 및 물 수급전망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수요관리 계획 및 추진결과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요관리 계획과 추진전후의 상수도 관련 지표를 비교하여 합리적인 수요관리 계획 수립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물 절약 종합대책 및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수립이후 1인1일당 급수량의 증가가 대체로 둔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수요관리 계획을 수립한 일부 지자체는 과도한 계획수립으로 인하여 계획대비 수요관리 추진 효과가 미비한 곳도 있었다. 이러한 지자체는 현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수요관리 계획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래 용수수요량 예측이나 물수요관리 정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Legitimacy of Discourses on the Waterworks integration in Japan: Focusing on the Case of Toyonakasi (일본에 있어서 상하수도 통합논의의 정당성 -풍중시(豊中市) 사례를 중심으로-)

  • Yi, Young-Geun;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0-230
    • /
    • 2012
  • 일본의 상하수도 사업은 국토교통성(하수도)과 후생노동성(상수도)으로 크게 양분되어 있으며, 환경성이 수질을 담당하는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수량과 수질을 분리하고 있는 우리나라와도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중앙에서의 다원적인 분리와는 또 다른 차원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상하수도 통합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라는 지구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해외 물산업에 대한 경쟁력이 밑바탕이 되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즉, 아시아의 신흥국을 중심으로 급격한 경제발전에 따른 인구가 증가하면서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건설과 더불어 누수 및 도수(盜水) 문제가 현재화하면서 이에 대한 운영관리기술의 도입이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기술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의 지방자치단체가 해외 물산업을 전제로 지자체 내의 상하수도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이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 상하수도 업무의 법제도적 차이를 살펴보고, 특히 지자체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하수도 통합과정의 동향과 의의를 풍중시((豊中市)토요나까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풍중시(豊中市)는 2008년 상하수도 통합을 천명하면서 기존의 운영방침에서 크게 탈각하는 정책을 취하게 되었고, 이 정책을 통하여 시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위기관리체제를 일신하고, 나아가 기후변화에의 대응력 강화에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지자체의 상하수도 통합논의가 가속화되는 반면, 일본 중앙 정부에서는 아직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지는 않고 있다. 이는 부처간의 이견차이가 큰 부분인 만큼 쉽사리 제도적인 변경으로 움직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밑으로부터의 이러한 거대한 개혁움직임과 그 동인의 정당성을 확보해가고 있는 과정을 감안한다면 정부차원의 상하수도 통합이 완전히 부정되기도 어렵다. 상하수도 통합논의와 관련한 일본의 사례는 향후 우리나라 상하수도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Factors Affecting Household Water Use during the COVID-19 Period: A Focus on the 33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and Incheon (COVID-19 시기 가정용 상수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의 자치구 33개를 대상으로)

  • Song, Yiseul;Jo, Hanghun;Kim, Heungso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4
    • /
    • pp.1-12
    • /
    • 2022
  • Clean water is an essential urban infrastructure in human daily life, and water plays a vital role in public health. Due to restrictions on outdoor activities during COVID-19, time staying at home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plausible to assume that large-scale disaster incidences such as COVID-19 will affect water consumpt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usehold water use during COVID-19. The analysis period of the study is 2020, and the geographical scope covers Seoul and Incheon. A dependent variable was water consumption in the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and Incheon, and the factors reflecting urban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and Incheon. The finding confirmed that the pandemic situation caused an increase in water consumption. In addition, it supports policy for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use water without financial difficulty. It implies that a stable supply of clean water is essential for managing infectious disea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efficient water supply policies and efficient water supply management in the event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e research on the water fee effect of SWC project (SWC 사업의 지방상수도 요금영향 연구)

  • Jang, Seokwon;Kim, SangMoon;Park, Imsu;Choi, Hanju;Lee, B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2-132
    • /
    • 2016
  • 수돗물에 대한 국민적 불신과 불안의 해소는 K-water의 정책목표로서 지난 10여년 동안 추진되어온 중점과제이다. 특히 수돗물에 불신으로 직접 음용하는 비율이 1~6% 내외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K-water에서는 수돗물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14년부터 건강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스마트워터시티(Smart Water City, 이하 SWC) 구축사업을 시작하였다. SWC사업은 권역별로 거점 도시를 구축해 추진 중이며, 북부권(파주시, 송산그린시티), 중부권(세종시), 남부권(부산에코델타시티) 중 수도권지역본부는 파주시를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실시하였고 전국적 확산을 위해 2015년 '건강한 물 공급 확대 및 SWC 구축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였는데 2024년까지 총 2,94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SWC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충분한 재원의 확보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수도 요금 인상요인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수도 요금의 설정방법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SWC 사업이 위수탁대가 및 상수도 요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WTP)과 함께 가계소득과 가계지출을 기반으로 한 수익자의 "지불가능금액"(Affordability to Pay : ATP)을 추계하여 적정 상수도요금 수준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Improving the Detection of the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상수도 지하시설물 탐사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Jae-Myeong;Lee, Byung-Woon;Choi, Yun-Soo;Yoon, Ha-S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4
    • /
    • pp.23-32
    • /
    • 2010
  •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are essential components to make up urban infrastructure. In order to manage these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d been constructed. For the sake of construction of GIS for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an exact underground dete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DB (Data Base) for buried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ways to improve exact detection rate of data,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causes of detection raw degradation was done, and standardization methods of detection through a case study were suggested, When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were measured, the detection of non-metallic water pipes was not carried out. The reason was that the results of detection was uncertain and detection was difficult because the assessment of public measurements was vulnerable. Moreover, due to the absence of standardized operating regulations for detection, systematic surveys weren't conducted. In this study, methods to standardize works over the detection of water mains underground facilities were presented so that we can improve the detection rate when we are doing that. As the proposals to improve detection rate, eff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over non-metallic pipes were presented, and related issues to supplement work regulations of public survey were described systematically.

An adaptive buffer flush policy for Linux-based storage servers (리눅스 저장 서버를 위한 적응 제어 버퍼 플러쉬 정책)

  • 박상수;김태웅;신현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97-99
    • /
    • 2001
  • 대용량 데이터 및 사용자간 데이터 공유의 증가로 네트워크 저장 서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리눅스는 네트워크 저장 서버의 운영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디스크 쓰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버퍼 플러쉬 정책이 다양한 디스크 입출력 부하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리눅스 기반 네트워크 저장 서버를 위한 디스크 입출려 부하에 따른 적응 제어 버퍼 플러쉬 정책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equ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local water supply services in Korea (지방상수도 서비스의 형평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Ko, Hyeo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6
    • /
    • pp.393-407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focusing on local water supply services, identifying equity and influencing factors, and analyzing the results. Using the Coulter model for 152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equity was measured for six variables, including average unit price, rates of recovering costs from water price, revenue water ratio, water supply rate, number of employees, and customer satisfaction. Among them, the level of inequality in the average unit price was the highest.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the degree of equity of most variables decreased. In addition, through Tobit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equity such as financial independence, local tax burden, and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were confirmed. In order to provide equitable water supply services, institutional changes such as rate increases are needed. An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ust pursue various water supply plans.

Case Study on the Jeollabuk-do Local Water Supply Efficiency by using DEA and Malmquist Index (DEA 및 맘퀴스트 지수를 이용한 전라북도 지방상수도 효율성 사례분석)

  • Choi, Kyoung-Ho;Cho, Jung-K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2
    • /
    • pp.571-580
    • /
    • 2014
  • Korea's water supply efficiency is low, due to weak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small scale, regional disparities in the management and services, unreasonable problem in a use and management of interregional water resources.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roductivity of Jeollabuk-do local water supply service by using analysis of efficiency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lmquist Index Analysis. As a result, 6 office is showed that the value of scale efficiency is 1 and productivity index per gun in mainly seemed below average. Therefore these offices should strive to increase their productivity.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arlier studies in the aspect of measuring change of productivity by not only DEA but also Malmquist productivity analysis.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productivity of water supply in Jeollabuk-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