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Household Water Use during the COVID-19 Period: A Focus on the 33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and Incheon

COVID-19 시기 가정용 상수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의 자치구 33개를 대상으로

  • 송이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조항훈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흥순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2.10.14
  • Accepted : 2022.11.2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Clean water is an essential urban infrastructure in human daily life, and water plays a vital role in public health. Due to restrictions on outdoor activities during COVID-19, time staying at home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plausible to assume that large-scale disaster incidences such as COVID-19 will affect water consumpt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ousehold water use during COVID-19. The analysis period of the study is 2020, and the geographical scope covers Seoul and Incheon. A dependent variable was water consumption in the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and Incheon, and the factors reflecting urban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and Incheon. The finding confirmed that the pandemic situation caused an increase in water consumption. In addition, it supports policy for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use water without financial difficulty. It implies that a stable supply of clean water is essential for managing infectious disea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efficient water supply policies and efficient water supply management in the event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깨끗한 물은 필수적인 도시기반시설이며, 공중보건에서 물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COIVD-19와 같은 대규모 재난 상황이 물 사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COVID-19 상황에서 가정용 상수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0년을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과 인천으로 하였다. 서울과 인천 자치구의 상수도 사용량을 종속변수로, 도시 특성을 반영한 요인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분석단위는 자치구이다. 분석을 통해 팬더믹 상황이 물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에게 경제적인 부담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과 감염병 관리에 있어 깨끗한 물의 안정적 공급이 필수적이라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COVID-19 등의 감염병 확산 시 효율적인 물 공급 정책과 효율적인 상수도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포털, "용도별건물정보", 2021.12.22. 읽음. http://www.nsdi.go.kr.
  2. 김기범.김진근.구자용(2020),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상수도시설의 전염병 대응 매뉴얼",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2020: 20~20.
  3. 김시연.윤석민.장석현.조귀래.박노석(2021), "COVID19 바이러스 유행 및 대응책이 중소도시에서의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43(5): 357~366.
  4. 김주환.김화수.이두진.김기형(2007),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물 수요 특성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9(8): 864~869.
  5. 김하나.임미영(2015), "사회.경제적 요인의 에너지 빈곤 영향 분석: 노인포함가구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ECO」, 19(2): 133~164.
  6. 노상환(2007), "상수도 사용량 결정요인 분석", 「환경정책」, 15(1): 5~21.
  7. 노승철.이희연(2013), "가구부문의 에너지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국토계획」, 48(2): 295~312.
  8. 박현기.이호선.유정완.박형순.한국헌(2013), "SWG 적용을 위한 인구증감에 따른 상수도 사용량과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1662~1664.
  9.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수도조례", 2022.1.22. 읽음. https://www.law.go.kr/LSW//main.html.
  10. 신혜영.박소현.강성호.이금숙(2021), "정형.비정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OVID-19와 지역 경제의 관계 -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 「대한지리학회지」, 56(4): 421~435. https://doi.org/10.22776/KGS.2021.56.4.421
  11. 안영수.김기중.이승일(2014), "서울시 주택의 규모와 종류, 건축연도별 특성이 에너지 소비량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실증 연구", 「국토계획」, 49(3): 175~194.
  12. 양영준(2014), "서울시 오피스 매매가격 결정요인 분석-최소자승법과 분위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학연구」, 20(3): 89~101.
  13. 오미애.전진아(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보건.복지 Issue & Focus」, 376: 1~12.
  14. 오희진(2020), "계절별 가구 에너지 소비량 영향요인 분석",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21~435.
  15. 이시철(2020), "밀도와 안전의 공존 가능성 : 코로나 19 시대, 공간계획의 변화 방향 예측", 「국토계획」, 55(5): 134~150.
  16. 이윤재.이현수.박소윤(2011), "공동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 및 에너지 절약의식 분석",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2(6): 31~42.
  17.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수도급수 조례", 2022.1.22. 읽음. https://www.law.go.kr/LSW//main.html.
  18. 정성영.조세현.현대용.배수호(2012), "지방상수도 서비스의 생산비용 및 요금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지방행정연구」, 26(3): 287~309. https://doi.org/10.22783/KRILA.2012.26.3.287
  19. 질병관리청(2021), 「2020 감염병 감시연보」, 청주.
  20. 최은영.김아름.이민경(2017), 「안전한 영유아 보육. 교육 환경 조성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 연구 총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1. 행정안전부 중앙안전관리위원회(2019), 「제4차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세종.
  22. 환경부(2020), 「2019 상수도통계」, 세종.
  23. Ahn, Y., K. Kim and S. Lee (2014),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Difference of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3): 175~194. (in Korean)
  24. BBCNEWS코리아,"WHO,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2020.01.31. 읽음.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1291964.
  25. Campos, M. A. S., S. L. Carvalho, S. K. Melo, G. B. F. R. Goncalves, J. R. dos Santos, R. L. Barros, U. T. M. A. Morgado, E. S. Lopes and R. P. Abreu Reis (2021),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Water Consumption behaviour", Water Supply, 21(8): 4058~4067. https://doi.org/10.2166/ws.2021.160
  26. Dziminska, P., S. Drzewiecki, M. Ruman, K. Kosek, K. Mikolajewski and P. Licznar (2021), "The Use of Cluster Analysis to Evaluate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Daily Water Demand Patterns", Sustainability, 13(11): 5772. https://doi.org/10.3390/su13115772
  27. Feizizadeh, B., D. Omarzadeh, Z. Ronagh, A. Sharifi, T. Blaschke and T. Lakes (2021), "A Scenario-based Approach for Urban Water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a Case Study For the Tabriz Metropolitan Area, Ira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90: 148272.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21.148272
  28. Jeong, S., S. Jo, D. Hyun and S. Bae (2012), "Factors Affecting Local Water Supply Costs and Water Prices in Korea",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6(3): 287~309. (in Korean) https://doi.org/10.22783/KRILA.2012.26.3.287
  29. Kalbusch, A., E. Henning, M. P. Brikalski, F. V. de Luca and A. C. Konrath (2020), "Impact of Coronavirus (COVID-19) Spread-Prevention Actions on Urban Water Consumption",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163: 105098. https://doi.org/10.1016/j.resconrec.2020.105098
  30. Kim, S., S. Yoon, S. Jang, G. Jo and N. Park (2021), "A Study on Impact of Countermeasures on Water Consump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City", J. Korean Soc. Environ. Eng., 43(5): 357~366. (in Korean) https://doi.org/10.4491/KSEE.2021.43.5.357
  31. Ludtke, D. U., R. Luetkemeier, M. Schneemann and S. Liehr (2021), "Increase in Daily Household Water Demand during the First Wave of the COVID-1 9 Pandemic in Germany", Water, 13(3): 260. https://doi.org/10.3390/w13030260
  32. Noh, S. and H. Lee (2013),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Energe Consumption of the Household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2): 295~312. (in Korean)
  33. Oh, H. (2020), "Seasonal Determinants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KEPAS Academic Conference, 421~435. (in Korean)
  34. Park, H., H. Lee, J. Yoo, H. Park and K. Han (2013),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Water Supply Consumption for Applying Smart Water Grid:The Case of Incheon", KSCE Academic Conference, 1662~1664. (in Korean)
  35. Roh, S. (2007),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Piped Water Consumption Focusing on the Factor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Environment Policy, 15(1): 5~21. (in Korean)
  36. Shin, H., S. Park, S. Kang and G. Lee (2021), "Associations of COVID-19 and Local Economy Analyzed wit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A Case Study of Seongdong-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1~435. (in Korean) https://doi.org/10.22776/KGS.2021.56.4.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