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수도시설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Water Count Management System of Water Service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

  • Seak-Jae Lee;Jeong-Hee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04-306
    • /
    • 2008
  • 일상 생활 및 제반 활동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사회 기반 시설은 상수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상수도 관리의 기본이 되는 유량의 계측과 분배, 관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이 되는 상수도를 최적으로 관리하는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의 개발은 국민생활의 질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양질의 도시문화시설제공 및 수요자에 대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수도 기반 시설의 설계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Water Count Management System (효율적인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Seak-Jae;Hwang, Jeong-Hee;Ha, Eun-Sil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2
    • /
    • pp.169-175
    • /
    • 2010
  • The important society facility to maintain daily lives and the various activity is the water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water count management system for the measurement, distribution and control of water quantity. The proposed system for systematic facility management and effective water service administration is a design methodology for foundation facility of water service to provide good quality water and to prevent a leak of water, estimating the water capacity.

CAPACITY EXPANSION MODELING OF WATER SUPPLY IN A PLANNING SUPPORT SYSTEM FOR URBAN GROWTH MANAGEMENT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계획지원체계에서 상수도의 시설확장 모델링)

  • Hyong-B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5.12a
    • /
    • pp.9-21
    • /
    • 1995
  • A planning support system enhances our ability to use water capacity expansion as an urban growth management strategy. This paper reports the development of capacity expansion modeling of water supply as part of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such a planning support system (PEGASUS: Planning Environment for Generation and Analysis of Spatial Urban Systems) to incorporate water supply, This system is designed from the understanding that land use and development drive the demand for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ays in which land is developed and used. Capacity expansion Problems of water supply can be solved in two ways: 1) optimal control theory, and 2) mixed 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MINLP). Each method has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is study the MINLP approach is used because of its strength of determining expansion sizing and timing simultaneously. A dynamic network optimization model and a water-distribution network analysis model can address the dynamic interdependence between water planning and land use planning. While the water-distribution network analysis model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generated networks over time, the dynamic optimization model chooses alternatives to meet expanding water needs. In addition, the user and capacity expansion modeling-to-generate-alternatives (MGA) can generate alternatives. A cost benefit analysis module using a normalization technique helps in choosing the most economical among those alternatives. GIS provide a tool for estimating the volume of demanded water and showing results of the capacity expansion model.

  • PDF

Improvement Manual for Waterworks Facilities to Reduce the Damage of Volcanic Ash (화산재 피해 저감을 위한 상수도시설 대응매뉴얼 개선방안)

  • Yoon, Hyoung-Uk;La, Da-Hye;Lee, Gyeng-Bin;Kim, Min Gyu;Chung, Il-M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2
    • /
    • pp.267-276
    • /
    • 2018
  • Volcanic ash from volcanic eruptions spreads to vast areas hundreds of kilometers away, and when volcanic ash flows into surface waters, it will be damaged by water supply. In case of water supply facilities, it provides to people drinking water and domestic water, be consumed by the people cause social disorder when water supply is cut off due to damage such as water pollution caused by harmful materials of volcanic ash. However, when we looked at the disaster management manual, the establishment of a water supply facility manual to deal with the damage of volcanic ash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isting volcanic and water pollution related manuals were analyzed and problems were derived. In order to make quick situation judgment and response activities, we have suggested the scope of the water supply facility manual, disaster type, major missions and system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scenario of crisis situation by disaster type.

Integrated evaluation criteria for reinforcement priority of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s (상수도 시스템의 보강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통합평가 기술)

  • Kim, Min Jun;Ko, Mun Jin;Kim, Ryul;Choi, 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4-374
    • /
    • 2022
  • 상수도 시스템은 물을 수용가에 깨끗하고 충분하게 공급하는 사회기반시설 중 하나이다. 최근 상수도관로 노후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누수, 적수, 단수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수도관로 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고 관 상태를 평가하여 해당 요소에 대한 보수 및 보강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정비사업은 관 노후도를 고려한 보강계획을 수립하여 효과적인 상수도 시스템 정비를 위하여 상수도관로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 및 수질 평가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보강 우선순위 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시스템의 구조적, 비구조적 평가 인자를 동시에 고려한 시스템 보강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통합평가 기술을 제안하였다. 보강 우선순위 선정을 위하여 실제 상수도관로가 설치된 지역을 대상으로 상수도관로의 수리. 수질, 관 상태 등의 구조적 인자와 중요시설, 단수 시 피해인구 등의 비구조적 인자를 고려한 통합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조적 인자 중 수리 및 수질 인자는 수리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기준치 통과 여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상수도관로의 관 상태는 관로의 제원, 매설 깊이, 노후도 등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다기준의사결정법을 이용하여 상수도관로의 보강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본 통합평가는 상수도관로의 구조적, 비구조적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구조적 인자를 고려하여 기존의 평가방법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 PDF

An Study on Development of Water Systems Damage Management Standard Caused by Mt. Baekdu Eruption (백두산 분화로 인한 상수도 시설 피해 관리 기준 설정 연구)

  • Choi, Jung-Ryel;Kim, Min Gyu;Lee, Gyeng-Bin;Chung, Il-M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2
    • /
    • pp.259-26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tandards of water systems in Korea. The damage factors of the water systems were classified by accumulation, adsorption, and abras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volcanic ash, the management stage of the water systems was derived in four steps; VAD (Volcanic Ash Degree) I (0~1 mm), II (1~3 mm), III (3~5 mm), IV (over 5 mm). Finally, the management standards for water systems which consist of alarm levels, impacts of volcanic ashes, procedures and action plan to deal with the damage, are presented.

Introduc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Technologies in Dhulikhel Municipality, Nepal (네팔 둘리켈시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방안)

  • Dong Woo Jang;Seo Hyun Cheon;Joo 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7-77
    • /
    • 2023
  • 네팔은 6천여 개가 넘는 강이 존재하며 불안정한 기후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노후된 상수도 시설 문제도 있어 효과적인 물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네팔 카트만두 인근의 소도시인 둘리켈시를 대상지역으로 하여 스마트 물관리 도입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물관리(SWM)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상수도 관리 기술이 둘리켈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에서 수량·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주요 연구로 국내 스마트물관리 기술의 네팔 적용성 분석, 수운영 자료및 현황 조사, 스마트 물관리 도입을 위한 수도 시설의 설계 방향을 수립하였고, 기술 도입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기술의 적용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리 계측데이터의 분석, 수원지, 정수장, 주요 관로에서의 수질을 분석하였다. 이외에 관망수리해석을 기반으로 대상지역 내 공급가능한 수량을 산정하였고, 상수도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추가시설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조건에서의 상수도 운영,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의 개선 및 보완 방안,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가능성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물관리 인프라가 둘리켈시에 도입될 경우, 물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수질 안정성 확보, 상수관망에서 수질 및 누수 사고에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인근 카트만두를 비롯한 지방 소도시에도 스마트 물관리 기술적용에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the Use of Rainwater During Fire Suppression (화재진압시 빗물이용에 관한 연구)

  • Gu, Dong-Uk;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1-191
    • /
    • 2011
  • 최근 빗물이 우리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빗물이용이 더욱 요구되어졌다. 특히 빗물의 이용 저류 침투를 목적으로 하는 우수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화재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증가는 소방력 활동의 증가로 귀결되는데 현장활동 인력과 장비 그리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방용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을 소방용수로 즉, 화재진압시 활용 가능성과 수자원 절약, 화재 사각지역 해소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계분석, 현장조사, 기존 빗물이용시설 및 향후 완공 예정인 우수유출저감시설 활용과 소방용수 미설치 지역과 소방관서 옥상에 빗물이용시설 설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공공서비스 확대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빗물이용시설을 소방용수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주 용도로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수 측면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용수로서 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해당 건물관계자나 소방대원들이 빗물이용시설을 인식을 못하고, 사용과 접근성 불편으로 상수도와 연결된 소화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둘째, 상수도시설이 없는 지역은 빗물이용으로 소방용수를 확보해야 한다. 섬, 산간, 고지대, 농촌지역 등 상수도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은 화재발생시 수원확보곤란으로 인명과 재산피해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서비스 확대차원에서 화재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지붕면을 이용한 각 가정마다 또는 공동 빗물저장소와 지형의 비탈면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로 소방용수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소방관서 신설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설치한다. 화재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소방차 출동대기부터 화재진압까지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먹는 물 즉, 상수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자원 절약과 화재진압에 사용된 물은 재생 불가능이라는 환경보전 측면에서 빗물이용으로 해답을 찾아본다. 따라서 빗물을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옥상, 부지 등 집수면적을 확대하고 이에 적합한 저류시설을 갖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중요한 만큼 빗물을 소방용수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 어디에서나 현장 접근성, 사용 편리성, 충분한 수량을 고려해야한다.

  • PDF

Application of Direct Current Voltage Gradient(DCVG) to Water Supply Pipeline Survey (상수도 관로 조사에 대한 피복손상탐측기술(DCVG)의 적용)

  • Jong Sik Kim;Chang Gun Shin;Bong Gu Cho;Kyung Ju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3-493
    • /
    • 2023
  • 매설배관의 피복손상부 탐측법은 CIPS법, DCVG법 등 여러 방법이 있으며, 그중 우리나라에서는 DCVG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피복손상탐측기술(DCVG)은 매설된 관로에 대하여 직류 전류로 인해 배관주변에 발생하는 전위구배를 측정하여 비굴착상태에서 관로의 피복손상부를 찾아내는 기술이다. 본 기술을 광역상수도 정밀안전진단 및 성능평가에 적용하였으며, 탐측된 위치에 대하여 위험도(%IR)를 예측하였다. 또한 손상의심부에 대한 굴착을 통해 피복손상부를 확인하였다. 본 기술의 신뢰성 및 상수도 분야에 큰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관경, 현장여건 등에 따른 조사 및 굴착에 일부 한계점을 보였으나, 향후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설된 관로의 손상을 사전에 확인하여 관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기술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