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분포

Search Result 4,90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f Mechanical Response of Two-phase Polycrystalline Microstructures with Distinctive Topology of Phase Clustering (2상 다결정 미세구조의 상 분포 위상에 따른 역학적 거동 분석)

  • Chung, Sang-Yeop;Han, Tong-Seok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4 no.1
    • /
    • pp.9-16
    • /
    • 2011
  • An approach to understand the phase distribution in a multi-phase polycrystalline material is important since it can affect material properties and mechanical behaviors. A proper method is needed to describe the phase distribution. For this purpose, contiguity and probability functions(two-point correlation and lineal-path functions) are investigated for representing the phase distributions of microstructures. The mechanical behaviors are evaluat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probability functions and mechanical reponses of virtual samples are represented. It is confirmed that the topology of phase clustering affects the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and that the strength is reduced as the clustering size increases.

Reconstruction and Response Analysis of Multi-phase Polycrystalline Microstructures (다상 다결정 미세구조의 재구성 기법과 거동 분석)

  • Chung, Sang-Yeop;Han, Tong-Se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6-29
    • /
    • 2009
  • 매크로 스케일(macro-scale)에서 구조재료의 거동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조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마이크로 스케일(micro-scale)에서의 미세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다결정을 가진 다상재료는 상(phase) 분포 상태에 의해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 분포에 따른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의 상 분포 특성을 묘사할 수 있는 상관관계 함수를 이용하여 미세구조의 상 분포 상태를 나타내고, 이를 활용한 미세구조 재구성 방법을 사용하여 2상 미세구조에서 특정 미세구조와 유사한 상 분포를 가진 미세구조를 생성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상 분포를 가진 미세구조들에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미세구조의 역학적인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미세구조를 모델링 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러한 미세구조들 간의 역학적 거동은 서로 거의 동일함을 확인하여 미세구조 재구성 기법이 재료의 역학적인 거동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Reconstruction of Two-phase Polycrystalline Microstructures of Mechanical Isotropy (역학적 등방성을 가진 2상 다결정 미세구조의 재구성 기법)

  • Chung, Sang-Yeop;Han, T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31-37
    • /
    • 2011
  • Understanding of the phase distribution in a multi-phase polycrystalline material is important because it can affect material properties and mechanical behaviors significantly. In this research, probability functions (two-point correlation and lineal-path functions) are used to represent the phase distributions of microstructures. The two-phase microstructures with random phase distribution are reconstructed using probability functions and compared with original samples. Mechanical behaviors of the virtual samples for different directions are evaluated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It is confirmed that microstructures with the sam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can be generated using the reconstruction method.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ability functions and mechanical reponses between the original and reconstructed microsturctures are statistically identical.

A Study on the Selection of Optimum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Rainfall Frequency Analysis (강우빈도해석 시 최적분포형 선정에 관한 연구)

  • Choi, Hong-Geun;Kim, Jin-Young;Kwon, Young-Ju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2-412
    • /
    • 2017
  • 강우빈도해석을 위해서는 확률분포선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용상의 편리상, 기존 해석결과와의 연속성 등을 이유로 Gumbel 확률분포가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포형 선정에 따른 확률강수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해석상의 편리성을 기준으로 분포형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강우빈도해석 시 분포형 선정은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주로 KS검정, 검정 등 적합도 검정을 통해 고려된 분포형의 통계적 유의성만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적 분포형 선정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유의성 검정보다는 정량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확률분포형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자료의 설명력이 가장 우수한 분포를 정량적 지표를 기준으로 추정하는 것이 수문통계학적으로 적합성을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도함수, BIC 및 AIC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주요 강수지점에서 대해서 최적 분포형을 선정하고, 기존 Gumbel 분포를 기준으로 산정된 확률강수량과의 양적차이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Microphytobenthos Distribution in the Geunso Bay Tidal Flat Using Remotely Sensed Data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퇴적환경 및 저서미세조류 환경 분석)

  • Choi, Jong-Kuk;Ryu, Joo-Hyung;Eom, Jin-Ah;Roh, Seung-Mok;Noh, Jae-H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67-78
    • /
    • 2010
  • Surface sedimentary facies and the change of microphytobenthos distribution in Geunso Bay tidal flat were monitored using remotely sensed data. Sediment distribution was analyzed along with the spectral reflectance based on the in situ data, and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microphytobenthos occupied was examined. A medium to low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 was not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changes in the study area due to its ambiguity in the sedimentary facies boundary, but the seasonal changes of microphytobenthos distribution could be obviously detected. However, area of predominance of sand grains and seagrass distribution could be distinctly identified from a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 From this, it is expected that KOMPSAT-2 satellite images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study on the surface sedimentary facies and detailed ecological mapping in a tidal flat.

플라즈마에서 볼츠만 관계식의 실험적 검증

  • Kim, Yeong-Cheol;Lee, Hyo-Chang;Hwang, Hye-Ju;Kim, Jun-Yeong;Kim, Dong-Hwan;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61-561
    • /
    • 2013
  • 볼츠만 관계식을 아르곤과 산소 플라즈마에서 공간상의 전자 전류 측정과 전자에너지 분포함수의 측정을 통해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전자의 에너지 분포가 볼츠만 관계식을 따를 때, 탐침의 전위를 고정시켜 각 위치마다 측정 할 경우 탐침과 플라즈마 간의 전위차의 감소와 플라즈마 밀도 감소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로 인해 공간상에서 전자전류가 일정하게 측정이 된다. 또한 볼츠만 관계식을 전자역학적으로 해석할 때, 전자에너지 분포함수의 비국부적 특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공간상에서 전자에너지 분포함수가 일정하게 측정된다. 낮은 압력에서 전자전류는 공간상에서 일정하였고, 전자에너지 분포함수 또한 전체 에너지 상에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자가 아르곤과 산소 플라즈마에서 각각의 경우에 볼츠만 관계식을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압력이 높을 때, 산소 플라즈마인 경우 볼츠만 관계식 따르지 않았지만 아르곤 플라즈마에서는 여전히 볼츠만 관계식을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산소기체의 경우 분자기체에서 비탄성 충돌을 유발하는 반응들이 다양한 전자에너지 영역에 대해서 존재하여, 전자의 에너지 특성이 비국부적 영역에서 국부적 영역으로 전이가 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챔버 벽면으로 빠져나가는 전자에 대해서도 볼츠만 관계식을 실험적으로 검증을 해 보았고, 플라즈마 내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in the Yellow Sea off Baegryeong Island, Korea (한국 황해 백령도 주변해역 후 제4기 퇴적작용)

  • Cho, MinHee;Lee, Eunil;You, HakYoel;Kang, Nyen-Gun;Yoo, Dong-Ge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6 no.3
    • /
    • pp.145-153
    • /
    • 2013
  • High-resolution chirp profil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cho types of near-surface sediments in the Yellow Sea off the Baegryeong Island. On the basis of seafloor morphology and subbottom echo characters, 7 echo types were identified. Flat seafloor with no internal reflectors or moderately to well-developed subbottom reflectors (echo type 1-1 and 1-2)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tudy area. Flat seafloor with superposed wavy bedforms (echo type 1-3) is also distributed in the middle part. Mounded seafloor with either smooth surface or superposed bedforms (echo type 2-1, 2-2, and 2-3) occurs in the middle part of the study area. Irregular and eroded seafloor with no subbottom reflectors (echo type 3-1) is present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tudy area off the Baegryeong Islan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sedimentary facies of echo types, depositional environm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distinctive areas: (1) active erosional zone due to strong tidal currents in the northern part; (2) formation of tidal sand ridges in response to tidal currents associated with sea-level rise distributed in the middle part; and (3) transgressive sand sheets in the southern part. Such a depositional pattern, including 7 echo types, in this area reflects depositional process related to the sea-level rise and strong tidal currents during the Holocene transgression.

Distribution and Failure characteristic of Cut Slopes on Highways (고속도로 절토사면 분포현황 및 붕괴특성)

  • 유병옥;황영철;전기성;김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b
    • /
    • pp.199-209
    • /
    • 2000
  • 산악지를 절취하여 형성된 국내의 고속도로 상에 분포하는 절토사면은 그 분포갯수가 많아 분포현황 조차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며 체계적인 관리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본 논문은 지난 1년동안 현장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국내 고속도로상에 분포하는 절토사면의 현황을 파악하고 노선별로 절토사면에 대한 현장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각암종별 사면의 붕괴유형 및 붕괴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Deviation of Threshold Voltage and Conduction Path for the Ratio of Top and Bottom Oxide Thickness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비대칭 DGMOSFET의 상하단 산화막 두께비에 따른 문턱전압 및 전도중심의 변화)

  • Jung, Hak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765-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상하단 게이트 산화막 두께 비에 대한 문턱전압 및 전도중심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한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는 상하단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어 문턱전압이하 영역에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요소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상하단 게이트 산화막 두께 비에 대한 문턱전압 및 전도중심을 분석하기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하여 해석학적 전위분포를 구하였다. 이때 전하분포는 가우스분포함수를 이용하였다. 하단게이트 전압, 채널길이, 채널두께, 이온주입범위 및 분포편차를 파라미터로 하여 문턱전압 및 전도중심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문턱전압은 상하단 게이트 산화막 두께 비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냈다. 특히 채널길이 및 채널두께의 절대값보다 비에 따라 문턱전압이 변하였으며 전도중심이 상단 게이트로 이동할 때 문턱전압은 증가하였다. 또한 분포편차보단 이온주입범위에 따라 문턱전압 및 전도중심이 크게 변화하였다.

  • PDF

Microvasculature of Human Menisci (정상 반월상 연골의 혈관 분포)

  • Kim Sang Hoon;Cho Hong Sik;Lee Han Young;Lee Ki-Bum;Min B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7 no.1
    • /
    • pp.52-57
    • /
    • 2003
  • Purpose : To evaluate the morphologic measurement and microvasculature of the normal human meniscus in Korea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microvasculature according to the age and anatomical 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 Menisci of 21 cadavers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age. Each meniscus was divided into 10 parts of which the width and area of microvasculature were measured. Results : The average width of the medial and lateral menisci were $10.49{\pm}02.92mm$ and $10.55{\pm}2.05mm$, respectively. The average area of the microvasculature measured $20.29{\pm}8.44\%$ in the medial meniscus and $18.99{\pm}7.03\%$ in the lateral meniscus. The microvasculature of the medial meniscus was most abundant in the anterior horn and least abundant in the posterior horn (p<0.05). The lateral meniscus showed the most vessels in the posterior horn (p<0.05). The microvasculature of popliteal hiatus was not avascular but hypovascular. The area of microvasculatu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in all parts of the medial meniscus and body and posterior horn of the lateral meniscus (p<0.05). Conclusion : Differences in the anatomical distribution of the vessels were noted of both the medial and lateral menisci. The area of microvasculature generally de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age in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