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변화열전달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lectromagnetic and Thermal Analysis of Phase Change Device with Structure Charge (구조에 따른 상변화 소자의 전자장 및 열 해석)

  • Lim, Young-Jin;Jang, Nak-Won;Lee, Seong-Hwan;Lee,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37-3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상변화소자의 구조 변화에 따른 열전달 현상과 reset 전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상변화소자의 상변화재료의 profile에 따른 주울열의 발생 및 reset 전류의 변화량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하부전극에서부터 도포되는 상변화재료 박막의 두께가 2000[A]인 경우는 541($^{\circ}C$)로 현저하게 발열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저항체로 쓰이는 상변화재료의 저항 감소로 인해 발열량이 적게 되고 상변화재료를 통해 전달된 열이 상부전극 텅스텐과 접촉하면서 외부로 쉽게 전달되면서 빠져나감에 따라 온도가 많이 올라가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Note on Direct Contact Exchangers (직접방식 열교환기와 전달특성)

  • 김석현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9
    • /
    • pp.829-835
    • /
    • 1995
  • 통상의 열교환기에서 전열면이 제거된 형태의 직접열교환을 통하여 제작비나 열전달 특성에 큰 효과를 얻을 수도 있어 에너지이용 합리화에 기여하는 특성과 사례를 언급하였다. 또한 통상의 열교환기 설계와 다른 매질간의 공유계면에서 발생 가능한 전달특성을 위주로 설계상의 일부 유의사항을 기술하였다. 직접열교환의 기술축적은 상변화를 동반하는 열전달(two phase heat transfer) 문제의 기초지식은 물론, 염수플랜트(desalination)의 기본 요소설계, 원자로의 냉각계 통사고(LOCD)대책, 기타 냉각탑, 탱크가열, 증발기(evaporator), 건조장치(drier), 각종 기계, 화공 공정장치 설계 등 매우 광범위한 기술파급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관련 기술자들의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

  • PDF

수치해석을 이용한 대류열전달의 국내 연구동향

  • 이택식;이재헌;최영기;유재석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4
    • /
    • pp.394-402
    • /
    • 1989
  • 열전달 분야 중에서도 대류열전달에 관련된 수치해석적 연구가 현재 국제적으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므로 이번 기회에 국내에서 수치적 방법을 이용한 대류열전달 분야의 연구동 향을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 대류열전달 분야를 소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자연대류 열전달", "강제대류 열전달" 그리고 "상변화 열전달"의 세 가지로 분 류하였으며 위의 분류에 명확히 속하지 않는 것이라고 유사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다. 상기 각 분야에서의 기술 순서는 대략적으로 발표년도 순서를 따랐다. 본 연구동향의 조사에서는 국내 학술 문헌중 "대한기계학회논문집"을 중심으로 하여 이외에 관련된 학술지로서 "공기조화. 냉동 공학", "태양에너지"등에 수록된 논문을 발췌 요약하였다.uot;공기조화. 냉동 공학", "태양에너지"등에 수록된 논문을 발췌 요약하였다.된 논문을 발췌 요약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Accelerating Phase Change Heat Transfer (상변화 물질의 상변이 촉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박설현;오율권;차경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6 no.1
    • /
    • pp.23-29
    • /
    • 2002
  • Solid-liquid phase change (i.e. melting or solidification) occurs in a number of situations of practical interest. Some common examples include the melting of edible oil, metallurgical process such as casting and welding, and materials science applications such as crystal growth. Therefore, due to the practical importance of the subject, there have been a large number o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f problems involving phase change during the past few decades. Also, this study presented the effective way to enhance phase change heat transfer.

Storage of Heat Energy (熱에너지의 貯藏)

  • 노승탁
    • Journal of the KSME
    • /
    • v.18 no.4
    • /
    • pp.27-34
    • /
    • 1978
  • 열에너지의 저장시스템은 축열채조, 열전달기기와 용기 및 보온재의 3개 주요부로 이루어진다. 축열재료는 현열계의 경우 온도가 상승하거나 잠열이용의 경우 상변화가 생기는 재료를 말한다. 열전달기기는 열에너지를 열원으로부터 축열재로 건열시키거나 축열재로부터 열부하측으로 열에 너지를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온이 된 용기는 축열재를 외부로부터 열차단이 되도록 하여 외부로의 에너지 손실이 없도록한다. 열에너지저장시스템의 주성능득성은 용량, 에너지전달원, 저장온도에 의하여 주어진다. 여기서 용량은 축열재가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뜻하고 열 전달율은 에너지원으로부터 축열재료로 또는 반대로 축열재료로부터 에너지부하측으로 전달시킬 수 있는율을 의미한다. 축열온도는 현열계에서는 축열재의 온도가 된다. 이 해설에서는 최근 발간 된 수 개의 자료를 발췌하여 간략히 그 내용을 알리고자 한다.

  • PDF

Reset current characteristics of PRAM with thickness of GST thin film (상변화 박막의 두께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지우기 전류 특성)

  • Choi, Hong-Kyw;Jang, Nak-Won;Kim, Hong-Seung;Lee, Seong-Hwan;Lee, Dong-Young;Mah, Suk-B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357-13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상변화 재료의 두께에 따른 열전달 현상과 지우기 전류의 변화량을 3차원 유한요소 해석 도구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상변화 메모리의 하부전극과 상변화 소자의 접촉 부분에서 발생한 주울열은 상변화재료를 통해 상부전극 텅스텐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변화 재료 박막의 두께가 $200[{\AA}]$인 경우는 상부전극을 통해 빠져나가는 열이 커지게 되어 상전이를 일으키는 지우기 전류가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 PDF

Thermal Stress Analysis for Life Assessment of Small Steam Turbine Rotor (소형 기력발전용 터빈로터의 수명평가를 위한 열응력 해석)

  • 이진상;백운봉;윤기봉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3
    • /
    • pp.184-19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MW급 기력발전소의 소형 터빈 로터에 대한 응력 해석을 실시하였다. 터빈 로터의 기하학적 형상, 증기의 온도 및 압력 등의 기동조건 변화, 로터 재료의 온도에 따른 물성값 등을 고려하여 대류 열 전달계수를 계산하는 사용자 부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열해석을 실시하여 로터의 온도 분포를 결정하였다. 이 온도분포 조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열응력 해석을 실시하여 로터의 응력 분포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취약부위에서의 응력변동 범위 및 가동중 정상상태 응력수준을 결정하였다. 이 취약부위의 응력값과 운전이력을 이용하여 크리프 수명과 피로수명을 계산하고 로터의 잔여수명을 결정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 PDF

Measurement Method Using Change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wo-Layered Piezoelectric Transducer (2층 구조 압전 트랜스듀서의 주파수 특성 변화를 이용한 물리계측법의 제안)

  • Kim Joung-Ho;Kim Moo-Joon;Ha Kang-Lyeol;Lee Chae-Bong;Kim Chun-Duck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65-368
    • /
    • 2002
  • 수중에서와 같이 전자기파의 사용이 곤란한 환경에서 정보의 전달 방법으로 초음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음파의 전파 경로 상에 있어서 잡음, 온도, 음속 등의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적 용량으로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2층 구조 압전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전기적 용량 변화에 따른 공진 모드간의 효율 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파 경로 상의 환경 변화에 독립적인 원격 물리 계측법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Numerical Analysis on the Thermal Protection System Applied Phase Change Material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열방어체계의 수치해석 연구)

  • Oh, Chang-Mook;Yoo, Yung-Joon;Min, Seo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6 no.4
    • /
    • pp.80-86
    • /
    • 2012
  • This study is for figuring out a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the thermal protection system(TPS) for temporary us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improving a design of the future TPS. On this purpos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system has been simplified: the boundary conditions consist of a internally heating surface and a externally heated surface which is simulating the external high temperature condition.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s simplified as a hexahedon. Melting characteristics of the phase change material(PCM) and air temperature variation of TPS with or without connector have been numerically analyzed and compared.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the heat from the internally heated surface could not be effectively transferred. Therefore, temperature of inner space has been increased.

원자력공학에서 2상유동의 연구현황

  • 이광원;김무환;장순흥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4
    • /
    • pp.341-357
    • /
    • 1990
  • 기존의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및 안전한 운전과 가상되는 중대사고 진행과정을 해석하여 더욱 안전한 원자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2상유동에 관련된 현상을 보다 잘 이해하여야 함이 명확하다. 지금까지의 실험적 연구를 더욱 확장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험식이 도출된 실험들의 스케일 효과를 규명하고, 2상유동의 측정방법의 개발이 더욱 진행되어 보다 정확한 실험결과를 도출하여야 한다. 한편으로, 2상유동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도 계속되어야 한다. 특히 원자력공학에서는 비등 및 응축과 같은 상변화 및 비등 열전달과 같이 열의 전달현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계속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