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반신 제스처인식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HMM-based Upper-body Gesture Recognition for Virtual Playing Ground Interface (가상 놀이 공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HMM 기반 상반신 제스처 인식)

  • Park, Jae-Wan;Oh, Chi-Min;Lee, Chil-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8
    • /
    • pp.11-17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HMM-based upper-body gesture. First, to recognize gesture of space, division about pose that is composing gesture once should be put priority. In order to divide poses which using interface, we used two IR cameras established on front side and side. So we can divide and acquire in front side pose and side pose about one pose in each IR camera. We divided the acquired IR pose image using SVM's non-linear RBF kernel function. If we use RBF kernel, we can divide misclassification between non-linear classification poses. Like this, sequences of divided poses is recognized by gesture using HMM's state transition matrix. The recognized gesture can apply to existent application to do mapping to OS Value.

Face Detection Algorithm for Driver's Gesture Recognition (운전자 제스처 인식을 위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

  • Han, Cheol-Hoon;Yang, Hyun-Chang;Sim, Kwee-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7-10
    • /
    • 2008
  • 자동차의 수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도 그 만큼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졸음운전이나 부주의한 운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Real-Time으로 운전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졸음운전이나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보다 안전한 운전을 돕는 서비스가 필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제스처 인식에 전처리 과정으로 운전자의 상반신에 대한 영상데이터에서 Adaboost를 이용하여 복잡한 배경과 다양한 환경에서 강인하게 얼굴 영역을 찾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 PDF

Virtual Flight Experiment Contents using Pose Recognition (포즈 인식을 이용한 가상 비행 체험 콘텐츠)

  • Park, Jae-Wan;Jo, Byeong-Su;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55-358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의 포즈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가상 비행 체험 콘텐츠에 대하여 기술한다. 사용자의 포즈를 인식하기 위해서 제스처를 구성하는 상반신의 포즈를 식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콘텐츠는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가상공간에서 정의된 포즈를 사용하여 가상 비행을 체험할 수 있고 인식된 포즈는 OS-Value 이벤트를 이용하여 가상 비행 체험 콘텐츠에서 인터페이스로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