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류이송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New Treatment of Source Terms in Upwind Scheme (상류이송기법의 생성항 처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의 개발)

  • Kim, Won;Han, Kun Yeun;Woo, Hyo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371-375
    • /
    • 2004
  • 상류이송기법은 불연속 흐름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댐붕괴류, 천이류 등의 해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류이송기법은 생성항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불균일한 단면을 가진 자연하천에는 거의 적용되지 못하고 단순화된 하도에만 주로 적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항의 차분화를 위해서 정규화된 Jacobian을 사용하는 상류이송형 생성항 처리기법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두 종류의 상류이송기법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생성항 처리기법이 기존 생성항 처리기법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인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단순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다른 상류이송기법애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w Treatment of Source Terms in Upwind Schemes (상류이송기법에서의 새로운 생성항 처리 기법)

  • Kim, Won;Han, Kun-Yeun;Woo, Hyo-Seop;Choi, Kyu-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2
    • /
    • pp.155-166
    • /
    • 2005
  • Upwind schemes are very well adapted to the discontinuous flow and have become popular for applications Involving dam break flow, transcritical Slow, etc. However, upwind schemes have been applied mainly to the idealized problems not to the natural channels with irregular geometry so far because of the error due to source terms. In this paper, the new type of upwind discretization of source terms, which uses the normalized Jacobian to discretize the source terms, is proposed. As results of tests to flows with source terms by the upwind model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proved as efficient and accurate. This generalized method for differencing source terms is simple and might beapplicable to diverse type of flux upwind discretization scheme in finite difference method.

Application of a One-Dimensional Upwind Model for Natural Rivers (일차원 상류이송형모형의 자연하도에 대한 적용)

  • Kim, Won;Han,, Kun-Yeun;Woo, Hyo-S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5 s.154
    • /
    • pp.333-343
    • /
    • 2005
  • The upwind model is well known to simulate shockwaves, but it is rarely applied to natural rivers because of problems caused by the source terms. Although sever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al with the source terms, none of them has been applied to natural rivers. This paper deals with application of the upwind model to the natural river. An implicit upwind model is applied to a hypothetical irregular channel and a natural river with highly irregular bed, width, and hydraulic structures. Different types of the flows including steady-state flow, flood wave, dam-break wave, and bore are simulated to test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the implicit upwind model. It is proved that the model can simulate various types of flows in natural rivers with high accuracy and robustness.

Development of the Upwind McCormack Scheme (상류이송형 McCormack 기법의 개발)

  • Kim, Won;Han, Kun-Y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9 s.158
    • /
    • pp.727-736
    • /
    • 2005
  • In this study, the upwind McCormack scheme is introduced to combine the advantage of McCormack scheme, the second order accuracy and simplicity, and the advantage of the upwind scheme, to be applied to the discontinuous flows. This scheme also has another advantage of treating the source terms effectively. This model is approved through applying to the discontinuous flow case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he natural river with very strong source terms. Applications of the upwind McCormack scheme developed in this paper show good agreements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without numerical oscillation in existing McCormack scheme. Futhermore, applications to the natural river, the lower Han river with strong variation of bed and width, also show good results in case of both steady flow and unsteady flow. The upwind McCormack scheme i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analysis of flow in natural rivers effectively.

One-Dimensional Upwind Implicit Scheme for Estimating Flow Resistance by Tree (수목에 의한 흐름저항 평가를 위한 1차원 상류이송 음해기법)

  • Kim, Ji-Sung;Kim, Won;Lee, Hea-Eun;Kim, Eum-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22-826
    • /
    • 2009
  • 홍수터에 식재된 수목에 의한 운동량 교환은 흐름의 추가적인 흐름저항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목으로 인한 통수능의 감소로 부분적인 유속 상승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평균유속이 감소하며 수위는 상승하게 된다. 실무적 사용목적으로 홍수터 수목의 저항은 통합 매개변수인 합성조도계수가 사용되고 있으나, 정량적인 조도계수의 추정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으로 추정되는 비정량적 합성조도 계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무적으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수목에 의한 흐름저항 항을 분리한 1차원 상류이송 음해기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법의 평가를 위하여 균일한 단면에서 수행된 수리실험에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유량규모 및 식재조건에서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불규칙한 단면형상을 가진 실제 하천의 홍수터에 식재된 수목군의 경우를 가정하여 1/25 정상축척의 수리실험을 실시하였고, 100년 빈도 홍수량에서 수목식재 전후의 실측결과를 개발된 수치기법으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모든 경우에서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 없이 정확하면서 안정적인 해를 제공하였으므로, 흐름의 2차원 효과가 상쇄될 수 있는 광폭의 자연하천에서 수목의 식재기준 분석을 위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Bed Change Analysis for the Upstream Channel of the Hantan River Flood Control Dam Using the Hec-6 Model (HEC-6 모형을 이용한 한탄강 홍수조절댐 상류의 하상변동 분석)

  • Han, Seung-Won;Lim, Jong-Chul;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40-746
    • /
    • 2009
  • 자연 상태의 하천의 하상은 흐름에 의해 끊임없이 변하지만 기록적인 홍수 등 특별한 자연 현상이 없는 한 유사이송에 평형을 이룬 상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와 골재 채취, 댐과 저수지의 건설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은 하천의 평형 상태를 파괴하고 유사이송문제 및 하상변화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따라서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고 홍수조절을 목적으로 계획하는 홍수조절댐의 경우 홍수 발생 기간 외에는 상류와 하류 하천 간의 흐름 차단을 최대한 억제하고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댐 상류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댐에 상시 개방되어 있는 배사관과 생태통로를 설치하도록 계획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임진강 유역에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한탄강댐의 건설이 계획되었으며 유사이송문제와 생태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배사관과 생태통로를 설치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HEC-6모형을 이용하여 대상 유역인 한탄강 홍수조절댐 상류하천에 대해 댐 건설 전과 후의 수위변화 및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지속 기간별 평수량과 연평균유량에 대한 장기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유량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1년 동안의 대표 유량수문곡선을 HEC-6 모의에 적용하여 유량변화가 연속적으로 발생했을 경우의 하상변화를 1년과 100년 기간에 대해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속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류 7.8 km에서는 퇴적과 침식 작용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댐 건설 전과 후의 하상 변화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연평균 유량 조건을 복합적으로 적용했을 때가 지속적인 연평균유량을 적용했을 때보다 하상변화가 더 크게 발생하였다.

  • PDF

Laboratory experiment on the adjustment processes of channel by weir removal (보 철거에 의한 하도 적응과정의 실험적 분석)

  • Kim, Gi Jung;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01-405
    • /
    • 2016
  • 중소하천에 기능을 상실한 하천 횡단 수리구조물이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리구조물 상류와 하류에 흐름 및 유사의 이송에 대한 연속성을 차단하고, 하천 교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수리구조물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철거하여 하천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된 상류의 지형이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흐름이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을 월류하면서 직하류에 세굴이 발생하고, 상류에서 델타를 형성하면서 퇴적되었다. 상류에서는 사주가 형성되었으며, 하류의 지형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의 상류에 형성된 델타는 하류로 일정하게 이동하고 있으며, 델타가 구조물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서 수리구조물하류의 세굴이 가장 깊게 나타났다. 수리구조물 철거 후, 상류에 퇴적된 토사는 흐름에 의하여 급격하게 하류로 유실되었다. 천급점은 상류로 이동하며, 두부침식을 일으켰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에 의하여 침식은 감소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하류에서 교호사주의 형상을 유지하며, 평형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for Bed Changes due to Sediment Transport Capacity Formulas and Sediment Transport Modes at the Upstream Approached Channel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낙동강하구둑 상류 접근수로에서의 유사량 공식 및 유사 이송형태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에 관한 연구)

  • Ji, Un;Yeo, Woon-Kwang;Han, Seu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6
    • /
    • pp.543-557
    • /
    • 2010
  • The effects of the selection for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and advection-diffusion equ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sediment transport modes on the modeling results of bed changes were analyzed using the CCHE2D and compared with field data in this paper. The most suitable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nd sediment transport mode for advection-diffusion equation were suggested for the upstream approached channel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The bed changes simulated by the Engelund and Hansen formula were very small in the modeling case for the low and high flow discharge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Ackers and White formula. Also, the numerical modeling with the actual hydraulic event in 2002 presents that the bed change result with the bed load transport type for advection-diffusion equation was close to the field measurement more than the suspended load type.

A Study for Riverbed Variation in Upstream of Dam (댐 상류 지역의 하상변화에 대한 연구)

  • Choi, Gye-Woon;Chang, Yun-Gyu;Ham, Myeong-Soo;Hwang, Yo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67-971
    • /
    • 2008
  • 하상변화는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 중에 하나이다. 이는 하상의 변화가 이 치수 및 생태계에 있어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적절하지 못한 하상변화의 예측은 기 축조된 하천구조물의 기능과 안정성을 위협하며, 이는 직접적으로 큰 경제적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인공적으로 지어지는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축조는 하천의 상 하류간의 연결성을 끊어놓음으로서 자연상태에서의 유사이송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하천의 급격한(자연상태와 비교하여 비교적 단시간동안 일어나는) 하상변화의 주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댐 축조에 의해 상류지역의 하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상지역으로 충주댐 상류 지역을 설정하였으며, 충주댐 축조 후 1996년 측량자료와 최근의 2007년 측량자료를 수집하여 충주댐 상류구간의 하상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하상토 입도분포 자료와 관련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Hec-Ras 와 Hec-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상변화에 대한 모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측량자료와 비교하여 댐 상류지역의 하상변화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Numerical Study of River Bed Morphology Based on Water Level Management on the Upstream of Dalsung Weir in Nakdong River (낙동강 달성보 상류관리수위 운영에 따른 하천지형 변화의 수치적 연구)

  • Yun, No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8-218
    • /
    • 2022
  • 본 연구는 TELEMAC을 이용한 수평 2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달성보 상류관리수위에 따른 하천 흐름 및 하천하상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하천의 하상변동을 모의한 결과를 토대로 장래 하상변화에 대한 적절한 상류관리수의를 검토하였다. 모의 결과, 낙동강과 금호강의 합류부, 그리고 하천의 곡류부에서 비교적 큰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관리수위가 낮아질수록 더 큰 하상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하상의 유사이동에 따른 입도분석 결과 0.062~0.25mm 범위의 모래 입자가 다른 입자에 비해 더 쉽게 하류부로 이동하여 위 범위의 모래 입자가 달성보 상류부에 퇴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치모의 결과에 따라 낙동강 달성보 상류부의 관리수위를 EL. 14.0 m 로 유지하는 것이 하천하상 변화를 최소화하는데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