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대적 위치 변동성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pplication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n Oversea's Flood Data (해외 홍수량 자료에 대한 지역빈도해석 적용성 검토)

  • Lee, Young Seok;Cho, Han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5-405
    • /
    • 2021
  • 지점빈도해석은 수문자료의 관측기간이 짧은 경우 확률수문량 산정의 신뢰도가 낮은 경향이 있으므로, 지점 내 충분한 수의 자료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빈도해석은 지점 자료가 부족한 경우 또는 미계측 지점에서 확률수문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으로서, 자료수가 부족한 경우 지역빈도해석을 사용하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간 국내 수문자료를 적용한 지역빈도해석에 대해 많은 검토가 이루어져 왔으나, 해외 수문자료에 대해서는 구하기 어려운 점 등의 이유로 상대적으로 검토가 부족했던 바, 본 검토에서는 해외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 및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의 기법으로는 지수홍수법 및 지역형상추적법을 적용하였으며, 적용한 지점의 L-변동계수, L-왜곡도계수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는 지역형상추적법이 지점빈도해석과 지수홍수법의 절충형으로, 확률수문량 산정결과도 지역형상추적법의 결과가 지점빈도해석과 지수홍수법의 사이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어떤 경우에서는 그렇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지역빈도해석은 가급적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적용한 뒤, 설계자가 자료의 특성에 따라 판단하여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에 비해 자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해외 수자원사업의 경우, 적은 자료수에서도 안정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지역빈도해석의 적용이 필수적으로 판단되며, 해외 자료를 이용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s in Global Container Ports' Throughput(2003~'19) based on Top 100 Container Ports in the World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2003~'19) - 세계 100대 컨테이너 항만을 대상으로)

  • Lee, Choong-bae;Lee, Young Shin;Liu, Yanfe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7 no.3
    • /
    • pp.55-74
    • /
    • 2021
  • The role of container ports contributes greatly to international trade and national 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supporting maritime transportation and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the supply chain connecting sea and land. The performance(traffic volume) of a port generally depends on geographic, economic, and operational factors etc.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container port volumes have grown with fluctuation. This study amis to analyze how global ports have undergone changes in terms of cargo volume by region, size and period. For the analysis, only the volumes of global top 100 ports were used. Shift-share analysis and BCG matrix analysis were employed as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ve volatility of port traffic over the past 16 years as a whole was found to be limited. On the other hand, ports in China and Southeast and Southwest Asia, which are economically growing for the last decades, showed growing trends, while ports in Northeast Asia and Europe appeared to be in a stagnant or declining phase. It also shows that most of the global ports maintain limited changes in cargo volume because they are already positioned as central ports in the reg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global port volum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in the economic capability of the relevant region or country.

Calculation of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oncrete Caisson of Vertical Breakwater Considering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직립방파제 콘크리트 케이슨의 기대활동량 산정)

  • 홍수영;서경덕;권혁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1
    • /
    • pp.27-38
    • /
    • 2004
  •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design method developed by Shimosako and Takahashi in 1999 for calculation of the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the caisson of a vertical breakwater is ext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such as directional spreading of waves, obliquity of the deep-water design principal wave direction from the shore-normal direction, and its variation about the design value. To calculate the transformation of random directional waves, the model developed by Kweon et al. in 1997 is used instead of Goda's model, which was developed in 1975 for unidirectional random waves normally incident to a straight coast with parallel depth contours and has been used by Shimosako and Takahashi. The effects of directional spreading and the variation of deep-water principal wave directions were minor compared with those of the obliquity of the deep-water design principal wave direction from the shore-normal direction, which tends to reduce the expected sliding distance as it increases. Especially when we used the field data in a part of east coast of Korea, considering the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s reduced the expected sliding distance to about one third of that not considering the directional variability. Reducing the significant wave height calculated at the design site by 6% to correct the effect of wave refraction neglected in using Goda's model was found to be proper when the deep-water design principal wave direction is about 20 degrees. When it is smaller than 20 degrees, a value smaller than 6% should be used, or vice versa. When we designed the caisson with the expected sliding distance to be 30㎝, in the area of water depth of 25 m or smaller, we could reduce the caisson width by about 30% at the maximum compared with the deterministic design, even if we did not consider the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s. When we used the field data in a part of east coast of Korea, considering the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s reduced the necessary caisson width by about 10% at the maximum compared with that not considering the directional variability, and is needed a caisson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deterministic design in the whole range of water depth considered (10∼30 m).

Nonstationary Surrogate Model for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Based on In-situ Temperature Data (온도인자를 활용한 비정상성 기준증발산량 대체모형 개발)

  • Kim, Ho-Jun;Nguyen, Thi Huong;Kang, Dongwo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6-96
    • /
    • 2021
  • 수문기상인자 중 하나인 증발산량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 시 고려되며, 특히 물수지 모형 등의 입력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 기상청 및 국제기구에서는 직접 관측이 아닌 FAO56 Penman-Monteith(PM)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출하고 있다. FAO56 PM 방법은 복사(radiation), 대기온도(air temperature), 습도(humidity), 풍속(wind speed) 등의 기상인자로부터 기준증발산량(reference evapotransipiration)을 추정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FAO56 PM 방법은 많은 기상인자를 요구하므로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일부지역에 대한 증발산량 자료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준증발산량의 특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비정상성(nonstationary)을 고려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인자 기반의 대체모형(surrogate model)을 개발하여 기준증발산량의 비정상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한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기준증발산량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Bayesian 추론기법을 통해 매개변수를 시간에 따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체모형으로 산정된 증발산량을 활용해 가뭄지수인 EDDI(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를 제시하였다. 가뭄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안내를 위해 개발된 EDDI를 활용하여 기존 가뭄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초단기 가뭄(flash drought)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미계측 지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수자원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ime Series Patterns and Clustering of Rotifer Community in Relation with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Lentic Ecosystems (정수생태계의 지형적인 요인 변화와 윤충류 출현 종 수 및 개체군 밀도 변동에 대한 연구)

  • Oh, Hye-Ji;Heo, Yu-Ji;Chang, Kwang-Hyeon;Kim, Hyun-W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4 no.4
    • /
    • pp.390-397
    • /
    • 2021
  • The time series data of rotifer community focusing on the species number and total density were collected from 29 reservoirs located at Jeonnam Province from 2008 to 2016 quarterly. The reservoirs had similar weather condition during the study period, but their sizes and water qualities were different. To analyze the temporal dynamics of rotifer community, the medians, ranges, outlier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 of rotifer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were compared. For the temporal trend analysis, time series of each reservoir data were compared and clustered using the dynamic time warping function of the R package "dtwclust". Small-sized reservoirs showed higher variability in rotifer abundance with more frequent outliers than large-sized reservoirs. On the other hand, apparent pattern was not observed for the rotifer species number. For the temporal pattern of rotifer density, COD, phytoplankton abundance fluctuation, and cladoceran abundance fluctuation have been suggested as potential factor affecting the rotifer abundance dynamics.

A Trend Analysis of Market Structure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 Industry (타일지수와 이동지표를 활용한 미디어 시장구조 분석 전국종합일간지 시장을 중심으로)

  • Oh, Jeongh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78
    • /
    • pp.141-17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of market structure from 2001 to 2015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 industry using concentration and mobility measure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ustry's total asset shows a U-shaped trend, despite the downward trend of the industry's total sales revenue. Second, the market concentration, measured in terms of assets, shows the trend of an inverted-U shape. The relatively small firms, measured in terms of assets, have on average gained in market share while the relatively large firm have lost. Third, market concentration, measured in terms of sales revenues, shows a U-shaped trend. the relatively small firms, measured in terms of sales revenues, have on average gained in market share while the relatively large firm have lost. My central argument has been that it is desirable to supplement traditional concentration measures with mobility statistics and trend analyses in investigating and regulating market structure.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Requirements of Socioeconomic GIS Data (사회경제적 지리정보 활용 및 데이터 요구조건에 관한 연구)

  • Nam, Kwang-Woo;Kim, Ho-Yong;Lee, Sung-Ho;Lee, Sang-Hak;Ha, Su-Wook;Choi, 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3
    • /
    • pp.44-54
    • /
    • 2005
  • Most advanced countries in GIS field have established and managed georeferenced socioeconomic data systematically and made a great profit on various social and economic areas. In Korea, however, socioeconomic geographical information is relatively poor compared to systems related to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This is main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from the construction to the utilization of socioeconomic data. That is, from the stage of data construction, socioeconomic data require solutions for frequent changes compared to data on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and, because of difficulties in marking the positions of individual entities, information is built up through setting appropriate spatial units of aggregation. In the stage of data utilization, the data often need to b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socioeconomic data due to the complexity of socioeconomic phenomena. Thus, the this study examined usability of GIS in socioeconomic fields and the spatial dimension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through representative cases of GIS in developed countries an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data requirements for socioeconomic GIS found i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ata and proposed solutions for the requirements.

  • PDF

A Study of Discharge Rating Method in the Reach on River Works (하천공사 영향 구간 내에서 유량환산 기법 연구)

  • Kim, Chi-Young;Lee, Ki-Sung;Kwon, Dong-Seok;Oh, Chang-Ryeo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88-493
    • /
    • 2010
  • 하천 유량자료는 조사 목적에 따라 시간, 일, 월 등 다양한 시간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유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에 유량측정을 시행하는 것은 경제적,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연속적인 유량생산은 상대적으로 연속측정이 용이한 수위자료를 연속측정하고, 간헐적인 유량측정을 통하여 수위-유량관계를 수립하여, 수립된 관계를 연속적으로 측정된 수위자료에 대입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준설에 의한 하상변동, 가물막이 등 하천횡단 구조물 설치에 따른 통제특성 변화, 공사 등에 의한 하천경사 변화 등에 의해 수위-유량관계의 연속적인 변화가 발생할 경우 하나의 수위-유량관계로 연속적인 유량환산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자연현상 및 각종 공사에 의해 하도 특성이 변화할 경우 신뢰도 높은 유량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구간에 위치한 유량관측소에서 전통적인 수위-유량관계 곡선법, 기간분리에 의한 방법, Stout 방법, 비유량법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연속 유량자료를 생산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s for the Youngsan River Basin (영산강유역의 면적우량감소계수 산정)

  • Lee, Jae-Hyung;Koh, Won-Joon;Lee, Yoon-Young;Kim, Dae-G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0 s.171
    • /
    • pp.813-822
    • /
    • 2006
  • By analyzing the concurrent rainfall data from rainfall gauges positioned in the Youngsan River basin, the areal reduction factors related to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san River basin are estimated. The estimated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the Han River basin, and show that the rate of decrease of the areal reduction factors of the Youngsan River basin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Han River basin as the basin area is increasing. That is especially true for short-term duration storm events. These findings reveal that the spatial variations in the Youngsan River basin's storms are smaller than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 storms In the Han River basin, due to the size of the two basin areas in addition to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rainfall distributions.

강원도 태백지역의 캄브리아기 세송층에서 나타나는 SPICE 구간에 관한 연구

  • Im, Jong-Nam;Jeong, Gong-Su;Park, Tae-Yun;Lee, Gwang-Si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0-20
    • /
    • 2010
  • 강원도 태백 지역에 위치한 조선누층군의 세송층을 대상으로 암상변화, 해수면 변화, 안정탄소동위원소 층서를 조사하였다. 세송층은 중기에서 후기 캄브리아기에 속하는 지층으로서 직동지역과 사군다리지역에서 조사하였다. 직동지역의 세송층은 수평층리 이회암상, 리본 석회암상, 단괴 석회암상, 수평층리 사암상, 석회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내부완사면, 중부완사면, 외부완사면의 세개의 상조합으로 분류되었다. 세송층의 하부로부터 약 30m 까지는 리본석회암상과 석회역암상, 일부 단괴석회암상이 나타나는 구간으로 중부완사면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며, 약 30m부터 42m 까지는 점차 이회암상의 비율이 증가하여 상향 세립화의 경향성을 보이는 구간으로 외부완사면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사군다리 지역은 세송층의 상부가 나타나는 곳으로 평행엽층리사암상과 단괴석회암상이 관찰되며 중부완사면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세송층의 석회암은 하부 이암, 중부 와케스톤, 상부 와케스톤과 팩스톤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송층에서의 안정탄소동위원소 잘량 분석결과 양의 값(2.5-3.0‰)을 보이는 Peak 구간이 하부로부터 25m 높이 부근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Steptoean 시기(약 496 Ma)에 전 지구적으로 발생했던 안정탄소동위원소 값의 양(positive)의 변동을 반영한 SPICE(Steptoean positive carbon isotope excursion) 구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SPICE 구간은 세송층의 중상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와케스톤, 팩스톤의 석회암을 포함하는 석회역암상, 단괴 석회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를 지시한다. 이러한 SPICE는 큰 규모의 전 지구적 탄소순환의 변동을 대표하며 대륙 간의 대비를 용이하게 하고 퇴적당시의 환경적 변화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북중국과 북미 Laurentia의 안정탄소동위원소 값을 비교해보면 두 지역 모두 세송층과 유사한 값을 보인다. 다만 북중국 지역은 Chuangia Zone에서 SPICE가 나타나는 반면 세송층은 Prochuangia Zone에서 SPICE가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