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급안전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46초

해양안전 기초교육 실습교육 표준 모델 고찰

  • 양봉규;이광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49
    • /
    • 2015
  • 세월호 이후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해양안전 기초교육 표준 모델을 정립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해양산업계에서는 선원법에 의해 기초안전교육, 상급안전교육으로 법정 교육으로 강제하고 있으며, 해기사에 대해서는 BRM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이를 일반 국민에게 적용하기 위한 바다 물놀이 안전수칙, 선박 안전수칙, 재난선박 안전수칙에 대한 표준 교육 모델을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해양안전 문화확산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PDF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 인식 비교와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영향요인 (Comparison of Safety Percep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and Factors Affecting Nurse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 김연홍;최윤정;강다희;정지영;길초롱;장희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69-82
    • /
    • 2020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 인식을 비교하고,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상남도 J시 G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147명과 간호사 147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8년 7월 24일부터 9월 2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후 SPSS/WIN 23.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환자의 안전 인식이 간호사의 인식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근무형태, 의사소통, 환자안전 인식,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환자안전 지식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과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하위영역인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을 54.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 향상을 위해 간호사는 환자와 조직 구성원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관심 정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강조된다.

병원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Hospital Nurses' Performance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 최지유;정희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31-138
    • /
    • 2022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19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3월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연령(β=.25, p=.008), 근무부서(β=.15, p=.046) 및 병원안전문화(β=.17, p=.025)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8.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염예방행위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안전문화 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공정성과 서비스품질의 관계에 있어 상급자 신뢰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uperior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ty)

  • 안관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4-275
    • /
    • 2005
  • This paper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ior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ty in service food industry. Based on 302 data gathered in western Kangwon area, analysis result showed that procedural, interactional, and distributive justice have affirmative relation with trust, and also trust has close relation with service quality. Therefore, trust appeared to have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ervice qualify.

  • PDF

Ice Navigation Training 교육과정 개발

  • 이동섭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5-226
    • /
    • 2013
  • 우리나라는 2013년 5월 15일 "북극이사회"의 영구옵서버 자격을 취득하였으며, 2013년 후반기 국적선박을 북극해 항로에 투입 할 예정인 시점에서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국내 Ice Navigator 교육시장 선점과 세계적 교육기관으로 도약을 하기 위하여 Ice Navigation Training교육과정을 개설준비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북극해 항해기술, 극지 안전훈련, 북극해 최신 동향, 러시아의 북극해 정책, 통과절차 및 외국선박의 운항사례분석 등을 통하고, Ice Navigation Training 교육과정(Familiarization(친숙화), Professional(상급), Practical(직무), Crew Management등)이 이미 개설되어 있는 Russia Admiral Makarov State Maritime Academy측 교수진의 연수원 파견 및 한국적 선박의 북극해항로(North Sea Route, NSR) 통과시 승선실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 할 예정이며, 교육인증을 위한 협력(Makarov Academy측으로부터 교육과정에 대한 인증)도 추진 중이다. 이에 준비한 교육개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기상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상급 선박관제 (Advanced VTS by Weather Analysis)

  • 박위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9-131
    • /
    • 2011
  • 해상기상은 재박 및 운항 선박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관제구역에서 선박 안전운항을 관리하는 VTS에 있어 기상예보 및 국지적 실시간 기상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대상선박에 대해 사전 안전조치를 취하거나 실무 관제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해야 함이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서 절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겨울철 기압골 형성에 따라 동해안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는 북동방향으로 부터의 스웰 유입에 대해, 2011년 1월 1일 포항항에 큰 스웰 유입 당시의 해상기상에 대한 예보 및 실측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선박관제 운용에 있어 기상정보 활용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노력 하였다. 아울러,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세 기상정보를 선박관제 운용에 활용하고 있는 포항청 사례를 소개하여 타 항만에서도 해상기상 악화에 대비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선원 해상생존교육 실습시설 및 장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itability of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used on Seafarer's Sea Survival Training)

  • 이진우;김이완;이창희;이영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1
    • /
    • 2017
  • STCW협약에 따른 기초안전(재)교육 및 상급안전(재)교육 등과 같은 선원 해상생존교육은 해상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원들의 생존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필수교육이다. 그리고 IMO 모델코스에 따른 선원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원들이 다양한 안전장비에 대한 이론 및 실습교육이 병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IMO 모델코스에서 요구하는 해상생존교육과정에 근거한 실습시설을 파악하고, 국내외 교육기관의 운영 실례를 바탕으로 관련 시설을 비교 분석하여 선원 안전교육시설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첫째, 해상탈출설비(슬라이드, 슈트 등) 등과 같은 최신화된 교육장비를 비치하여, 선원들이 다양한 안전장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조파, 풍동, 강우, 암막장치 등과 같은 해상환경 재현시설의 설치하여 학습자가 현실적인 비상상황을 직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환경의 구축해야 한다. 셋째, 체험교육, 시청각교육, 시뮬레이터 교육과 더불어 가상현실 교육장비를 통한 층위별 맞춤교육을 개발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해양계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Toxic Chemicals of Maritime University Cadets)

  • 임명환;신호식;김홍렬;임긍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6
    • /
    • 2013
  • 해양계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은 승선하기 전 필요한 안전교육을 충분히 이수하고 승선해야 되지만 기초안전교육만 이수하고 승선을 하며 승선실습을 마치고 졸업 전까지 남은 학기 중 상급안전 교육과 탱커선 교육을 이수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대학교 실습해기사들은 선박회사 승선실습 과정 중에 위험에 노출되는 많은 작업들을 하게 된다. 이처럼 대부분의 상선들은 ISM관리 하에서 선박회사 및 승선하는 선박에서 각종 점검표에 의해 사전 교육을 행하고 작업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 결과 선박회사와 승선하는 선박 및 해양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유해화학 물질의 취급'은 승선 경험이 없는 실습해기사들에게 상당한 위험이 되고 있다. 또한 승선실습 해기사들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에 관한 개인안전과 취급에 관한 사전교육이 없이 승선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실습해기사들이 승선실습 중 유해화학물질 취급 부주의와 무지로 인해 신체적 손상을 입고 하선을 하거나 승선에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승선 실습 전에 해양대학교에서 이 부분의 철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선박회사에서는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안전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화가 체계적으로 갖추어져야하며, 각 선박에 맞는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을 위한 온라인 켄텐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선박회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안전점검일지를 만들어 관리감독하고, 선박에서는 이에 관한 교육을 이수한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안전교육과 관리를 하여야 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