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권활성화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5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 유통방안에 관한 소고 - 전통시장 상품권을 중심으로 - (Reflections on the Distribution of Gift Certificates for Stimulation of Traditional Markets - With a focus on gift certificates in traditional markets -)

  • 김유오;지해명;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4호
    • /
    • pp.37-45
    • /
    • 2009
  •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발생한 국내 경기침체에 따른 범정부적 민생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일자리를 통해 취약 계층의 생계를 지원하고 어려운 지역상권의 소득을 증대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정부 정책 중에 하나인 상품권 발행(온누리, 희망근로, 지역상품권)이 보다 효율적이고도 적절한 정책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특히, 지역상권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전통시장을 포함한 중소유통업자들에 대한 단기 처방전이 아닌 지역상권의 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내 중소유통업을 영위하는 중소상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활성화 제고방안을 연구한다.

  • PDF

동대문 패션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A Study on the Policie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DongDeaMoon fashion market)

  • 이지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257-272
    • /
    • 2010
  • 동대문 패션상권은 전국의 소매상을 위한 도매의 기능과 함께 현대화된 대형 쇼핑몰을 중심으로 소매의 기능까지 도맡고 있다. 또한 동대문 패션상권은 동대문 1km 반경 내에서 원부자재와 봉제공장, 패션상가 등 관련 산업이 집적되어있어 패션상품의 기획과 생산, 판매 및 유통이 완결되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대문 패션상권은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에 비해 급변하는 시장환경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으나 그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들을 살펴보고 그 정책들이 간과하고 있는 동대문 패션상권의 활성화에 대한 정책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 제안했다.

  • PDF

Analyzing the Factors of Gentrification After Gradual Everyday Recovery

  • Yoon-Ah Song;Jeongeun Song;ZoonKy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175-186
    • /
    • 2023
  • 본 연구는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상권 회복세와 함께 임대료가 급상승한 시점에 주목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분석 모형을 구축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팬데믹 이후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대규모 상권보다는 소규모 상권이 형성되었다. 바로 핫플레이스라고 알려진 골목상권이다. 핫플레이스는 다양한 미디어와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집객효과를 누리며 인기를 끌고 있다. 그에 따라 유동인구가 증가하면서 상권이 활성화 되고 임대료가 급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소상공인의 경우 임대료 급상승은 매출 증가로도 감당하지 못해 해당 지역을 이탈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권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임대료가 급상승하는 시점을 찾아 그 이전과 이후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젠트리피케이션에 관련하여 언급되는 토픽을 탐색하기 위해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한 후 LDA 토픽 모델링을 실시한다. 이를 참고하여 상권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젠트리피케이션 분석 모형을 구축한 다음 특징을 분석한다. 팬데믹으로 상권이 침체된 이후 재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에 본 모형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 분석이 소상공인 정책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장소 브랜드 관점에서 본 경리단길 및 유사상권의 특성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ridangil and Its Related Commercial Streets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ing)

  • 김주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34-346
    • /
    • 2019
  • 경리단길을 필두로 유사명칭 상권이 발생하여 브랜드처럼 작동하는 현상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인터넷 트렌드와 입지 여건, 업체 구성을 분석하여 상권 형성과정 및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해당 상권들은 인터넷 SNS 활성화에 힘입어 성장하면서 명칭 자체가 웹상에서 장소 이미지를 담은 브랜드처럼 변해갔음을 알 수 있었다. 입지 특성으로 볼 때 이들은 기존 중심상권과는 적절히 분리되고 제약요인이 많은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구성에 있어서는 기존상권과는 달리 요식업, 개별 창업 위주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장소 브랜딩 개념으로 특성들을 해석해보면, 이 상권들은 제약요인을 통해 오히려 독특한 장소성을 정체성화하고, 기존에 없던 소규모, 개성적 상권 영역에 포지셔닝하며, 이용자들에게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의 공급처라는 이미지로 다가감으로 효과적으로 브랜딩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용자 위치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상권분석 (Commercial Impact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User's Position-information Analysis)

  • 이상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42-448
    • /
    • 2012
  •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개선안이 연구되기 위해서는 먼저 전통시장의 현황을 정확히 분석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해 이용자위치분석방법을 통해 전통시장의 상권분석을 연구하였다. 사례지역으로서 평택의 전통시장은 최근 다양한 개발 및 계획들이 모색되고 있어, 전통시장의 변화를 많이 보여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곳으로 평가되어 선정하게 되었다. 이용자위치를 이용하여 설문을 진행한 결과 평택의 전통시장은 경쟁력이 있는 전통시장으로 판단되며, 현재의 상권범위를 확대하여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또한 자동차 접근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단위의 쇼핑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상권분석시스템을 통한 신뢰성 기반의 상가건물 권리분석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for a Reliable Auction Right Analysis System with a Focus on Commercial Zone Analysis)

  • 김상범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67-773
    • /
    • 2015
  • 본 연구는 신뢰성 기반의 상가건물 권리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기존의 권리분석 프로그램에서 진일보하여 보다 현실에 부합한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단순히 직전 3개월에서 1년 사이의 경매낙찰가율과 경매낙찰가를 예상하고 이를 토대로 권리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상권분석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상권활성화 정도를 권리분석프로그램에 입력변수로 활용하여 경매에서의 낙찰가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권리분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영국지역상권활성화정책:영국TCM과BID

  • 서용구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63-485
    • /
    • 2005
  • 2000년대 이후 영구 지방 정책의 목표는 지역의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최근 영국에서는 미국에서 도입된 BID 제도가 정부의 적절한 지원과 개발 주체들의 협업의 성공으로 영국 전역에 급속히 퍼지고 있다. 성공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이해관계와 참여를 조정하는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며 영국 TCM과 BID 제도의 핵심은 지역 마케팅(place marketing)이자 지역 브랜딩 (place branding)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영국형 TCM과 BID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섬세한 마스터 플랜과 프로젝트 ‘종합성과평가’(CPA)가 먼저 준비되어야 하며 동시에 지역 마케팅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제고 시켜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