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가시설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건축전력시설물의 설계 및 감리(하)

  • 이선형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80 no.8
    • /
    • pp.22-33
    • /
    • 1997
  • 전기설계 및 감리자는 그 건축물의 목적과 사용용도 그리고 계획설계자의 의지를 충분히 파악하지 않으면 좋은 설계와 감리가 될 수 없다. 건축물이란 일단의 대지 위의 지붕과 벽 또는 기둥으로서 거주 작업, 저장, 등의 용도에 쓰이는 것을 말한다. 또 여기서 부속되는 대문, 담장, 굴뚝은 물론 지하실, 지하상가와 같은 지하구축물과 탑비, 기념상, 선전탑, 기타 지붕과 벽 등이 없는 것이라도 여기에 포함된다.

  • PDF

A Study on Type Classification and Evacuation Safety in Aged Shopping Building of Traditional Market for Specific Management Type (특정관리대상 재래시장 노후 상가 건축물 유형분류 및 피난안전실태에 관한 연구)

  • Lee, Young-Do;Na, Wook-Jung;Choi, Jun-Ho;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52-56
    • /
    • 2011
  • 국내 재래시장 상가건축물은 타 상업지역 보다 노후화된 상업건축물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밀집도 또한 높다고 할 수 있어 화재발생 시 화재확산 속도가 빠르고 화재진압이 어려워 인명 및 재산 피해의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재래시장을 특정관리대상으로 지정하여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고 있으나 소방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난계획 및 피난설비에 대해서는 적절한 성능평가 및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소재의 특정관리대상으로 지정된 재래시장 상가건축물을 조사하여 재래시장의 평면유형분류를 하였고, 각 유형이 가지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대상건축물 피난설비의 실태조사를 통해 경년변화에 따른 설비의 노후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omotion of Plaza in Underground Passage Shopping Centers : Focused on underground shoppping center connecting with subway station in Suwon (지하도상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수원시 지하철역 연계 지하도상가를 중심으로)

  • You, Hak-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2 no.3
    • /
    • pp.33-38
    • /
    • 2011
  • This study is find out the how promotion is handled by understanding the no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pass market in the underground space by comparing those of other ours. However, the underpass market of suwon needs to remodeling. Most of all, there are problems on not having enough ensured environment.

Simulation analysis for evacuation safety countermeasure in underground facilities (지하공간시설에서의 피난안전대책을 위한 시뮬레이션 해석)

  • Kim, Bong-Chan;Kim, Se-Jong;Kim, Gyeong-Gu;Lee, Ju-Hee;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00-1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밀도가 높은 지하상가는 공간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다량의 유독가스의 발생 및 연기의 이동경로와 인간의 피난경로 일치로 인하여 피난안전에 큰 위험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지하철 역사와 연결되어 있는 지하상가를 선정 후, 일본 피난안전성평가수법과 FDS(Fire Dynamic Simulator) 및 SIMULEX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화재발생 후 6분이 경과 시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에 대한 대책으로 자연 배연구를 설치하여 시뮬레이션 수행을 한 결과 가시도확보 및 각 출구에서의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내장산 집단민원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41
    • /
    • pp.23-27
    • /
    • 1988
  • 1967년 우리나라에 국립공원제도가 도입실시된 이래 20년동안 전국의 국립공원은 주무부처인 건설장관으로부터 각시.도지사가 관리권을 위임받아 해당 시장.군수에 의해 실질적으로 관리돼 왔었다. 1970.9.9 설악산, 1980.8.8. 내장산 그밖의 자연공원에 케이블카가 시설된것도 잘아는 일, 또한 탐방객이 많은 공원일수록, 심지어 대가람의 코밑에까지 집단시설등 용도지구가 설계되고 용돼 왔다. 내장산의 내장사 지구의 경우는 12년전 관리소에서 2.7km 떨어진 아래로 집단시설지역을 변경, 강제이주시킨후 그자리에 "케블카" 를 시설했고, 철거된 잔디녹지가 음성적인 상가로 둔갑되어가도 관리소로선 잡상근절책을 세우지 못한채 작년 8월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인도됐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공단관리소들은 지자단분가 물려준 어려운 숙제를 넘겨받아 큰시련을 겪고 있다. 그당시는 심묵또는 양해가 됐던 똑 같은 문제도 공단이 관리를 맡은이후 부터는 몹시 따갑게 비판해 오고 있다. 사사건건제동을 걸고 있는듯 하기고 하고 어차피 해결해야할 문제들도 많아 노출된 것부터 하나하나 단편적일지라도 파고들어 소리의 진의를 듣고 냉정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본다.

  • PDF

Implementing Special Transportation Management Zone System for Dongdaemoon Garment District (동대문 의류밀집상가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사례연구)

  • 황기연;엄진기;이종운;조용학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7-1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Special Transportation Management Zone system (TZ) when it is applied to Dongdaemoon commercial zone located in downtown Seoul.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 the legal components of TZ and the case study on Dongdaemoon district. The case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f current traffic situation on the study zone, the design of implemention alternative for each component of TZ, the framework of impact analysis system, and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finds, if 2,000 won mandatory parking fee on drivers parking in the buildings only with over 10 parking spaces and over 3.000$m^2$ in floor area, strong illegal parking enforcement, and Pro-hibition of parking passenger cars whose last digit plate number matches with the last digit of date, are implemented in the zone simultaneously, the traffic speed increases to 20.56km/h which is above the target set in the zone. In conclusion, we find that TZ2 can be an effective tool relieving traffic congestion in Seoul,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introducing TZ in Seoul that relevant laws should be revised and expecting problems should be overcome.

  • PDF

An Introduction to Application of High Strength Concrete for the Construction of High Rise Complex Structure (초고층 주상복합구조물에 적응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례)

  • Kim, Dong-Seok;Park, Sang-Jun;Won, Cheol;Lee, Sang-Su;Kim, Yeong-Jin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5
    • /
    • pp.54-58
    • /
    • 2002
  • 대도시의 인구집중에 따라 토지의 고도이용을 위하여 건물의 고층화 및 복합화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으며, 도심지에서의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망에 대한 욕구가 더 한층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주거용 아파트에도 초고층 빌딩 개념이 도입되고, 상가 및 커뮤니티 시설 등이 추가되는 주상복합건물의 건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중략)

Analysis of Aldehydes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대중교통 수단 및 교통시설 내부에서의 알데하이드 오염도 분석)

  • 이병규;유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0-291
    • /
    • 2002
  • 오늘날의 도시인들의 생활은 대부분 집이나 아파트,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실내공기는 자연 회석율이 부족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되고 있다. 현대 도시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약 90%)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다는 실정이지만,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 노력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