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삽입형 전극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Impedance in Animal Tissue Using Gold Electrodes (금 전극을 이용한 동물 조직 내 임피던스 측정연구)

  • Kim, Min Soo;Cho, Young Chang
    • Journal of IKEEE
    • /
    • v.25 no.3
    • /
    • pp.445-450
    • /
    • 2021
  • Bio-impedance measurement is a measurement device that can be used to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and diagnose skin diseases using convenience, low cost, and low cost devices. In this study, the bio-impedance was measured using a direct dry gold electrode and a simulation study through animal bio modeling to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in a biometric form. Impedance was measured by inserting electrodes into subcutaneous areas of animal tissue and applying frequencies of 100 uA, 1-100 kHz using a two-electrode metho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s is measured high at 5 mm electrodes compared to 7.5 mm and 10 mm electrodes based on 5 mm electrodes. Based on the 5 mm electrode, an average difference of 1.49% was found for the 7.5 mm electrode in the total frequency range, and the impedance difference was confirmed to be 2.624% for the 10 mm electrode. In the fu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in designing and manufacturing electrodes for bio-inserted electrocardiogram sensors.

웨어러블/임플랜터블 스마트 의료기기

  • Kim, Mi-Gyeong;Lee, Hyeon-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6
    • /
    • pp.47-52
    • /
    • 2016
  • 의료기기는 다학제적 융합기술 분야이자 고 부가가치 산업으로 IT 기술의 발전과 초고령화 사회의 본격화로 높은 성장 가능성이 전망된다. 이 중 피부 부착형 (웨어러블) 및 인체 삽입형 (임플랜터블) 소형 의료기기는 포화된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성장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생체삽입형 및 부착형 소형 의료기기 중 생체삽입형 전극 어레이, 스마트 콘택트 렌즈, 피부부착형 헬스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개발 사례를 알아보고, 궁극적 소형 의료기기로 손꼽히는 복용형 디바이스에 대한 전망을 알아본다. 또한 각 유형별로 현재 극복해야 할 기술적 한계와 문제점을 짚어본다.

Protection Barrier Inserted High Reliability Window Unified Multi-layer Transparent Electrode. (보호층을 삽입한 기판 일체형 고내열, 고신뢰성 멀티레이어 투명전극)

  • Lee, Jun-Min;Choe, Ho-Yeol;Kim, Yeong-Hoe;Gwak, Yeong-Jin;Hong, Chan-Hwa;Jeong, 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97.1-97.1
    • /
    • 2018
  • 본 연구는 초고온 열처리 과정에서 멀티레이어 투명전극 박막의 고내열성, 고신뢰성을 얻기 위해 보호층을 삽입한 연구이다. 먼저 보호층의 고내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보호층을 삽입한 박막과 그렇지 않은 박막을 200, 300, 400, 500, $550^{\circ}C$로 각각 열처리하여 비교하였다. 보호층을 삽입하지 않은 박막은 $500^{\circ}C$에서 멀티레이어 박막이 응집하여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었다. 반면, 보호층을 삽입한 박막은 $550^{\circ}C$에서도 투과율 (%T) 89.5% (at 550nm wavelength), 면저항 $3.5{\Omega}/sq$로 투명전극으로서 뛰어난 특성을 보였다. 또한 고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대습도 85%, 온도 $85^{\circ}C$ 조건에서 120시간 동안 항온항습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보호층이 없는 투명전극의 박막은 산화가 일어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저하 되었으나, 보호층을 삽입한 투명전극의 박막은 전기적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멀티레이어 투명전극에서 보호층의 핵심적인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Brush Painting을 이용하여 제작된 ITO Nanoparticle/Ag Nanowire/ITO Nanoparticle 다층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특성 연구

  • Jeong, Jin-A;Jang, Yun-Jin;Kim, H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95-59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brush painting공법을 이용하여 인쇄형 유기태양전지에 적용이 가능한 ITO nanoparticle/Ag nanowire/ITO nanoparticle (Nano IAI) 다층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의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평균 25 nm 사이즈의 ITO 나노 입자로 구성된 ITO 나노 잉크와 직경 20~25 nm의 Ag nanowire 잉크를 기반으로 Brush painting 기술을 적용해 상온, 상압에서 낮은 면저항과 높은 투과도를 가지는 Nano IAI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을 제작하였다. Nano IAI 투명 전극 제작 시 일정한 두께에서 Ag nanowire 코팅을 위한 brush painting 횟수를 변수로 하여 최적화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Ag nanowire가 2번 brush painting 된 Nano IAI 다층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3.4{\times}10^{-3}$ ohm-cm의 비저항과 52.33 ohm/square의 낮은 면저항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Ag nanowire를 ITO nanoparticle 사이에 삽입할 경우,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지 않고 낮은 면저항을 가지는 인쇄형 투명 전극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Nano IAI 다층 하이브리드 전극은 83.83%의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삽입된 Ag Nanowire의 폭과 길이가 나노 사이즈이기 때문에 입사되는 빛이 흡수되기보다 대부분 투과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XRD 분석과 HRTEM 분석을 통해 Nano IAI 다층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의 전도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은 brush painting 기법으로 제작된 Nano IAI 다층 하이브리드 투명 전극의 인쇄형 유기태양전지 적용 가능성을 나타낸다.

  • PDF

Characteristics of Bio-impedance for Implantable Electrode Design in Human Skin (인간 피부에 삽입형 전극설계를 위한 생체임피던스 특성)

  • Kim, Min Soo;Cho, Young-Cha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4
    • /
    • pp.9-16
    • /
    • 2014
  • Electrode contact resistance is a crucial factor in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can be an accuracy limiting factor to perform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The electrical bio-impedance values can be calculated by the conductivity and permittivity of underlying tissue using implant electrode in human skin. In this study we focus on detecting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human skin layers such as the sebum layer, stratum corneum layer, epidermis layer, dermis layer, subcutaneous fat and muscl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btain optimal design for implantable electrode at subcutaneous fat layer through the simulation by finite element methods(FEM). This is achieved by evaluating FEM simulations geometrically for different electrodes in length(50 mm, 70 mm), in shape(rectangle, round square, sexangle column), in material(gold) and in depth(22.325 mm) based on the information coming from the subcutaneous fat layer. In bio-impedance measurement experiments, according to electrode shapes and applied voltage, we have ascertained that there was the highest difference of bio-impedance in subcutaneous fat layer. The methodology of simulation can be extended to account for different electrode designs as well as more physical phenomena that are relevant to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of skin and their interpretation.

고 선량율 근접 및 온열치료 병용 삽입관의 제작과 특성

  • 추성실;김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52
    • /
    • 2003
  • 악성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중 방사선과 온열요법은 가장 강력한 치료방법으로 연구되어왔으며 이를 병용함으로 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체조직에 41$^{\circ}C$ 이상의 열을 가하면 세포질의 단백질변성으로 세포에 손상을 주어 세포가 사멸하게 되며 세포의 생존율은 가열시간 즉 열량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온열은 세포주기중 방사선 저항성이 매우 큰 DNA 합성시기와 산도가 높을 때 감수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방사선과 병용요법은 상호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온열을 이용한 악성종양의 치료가능성은 생물학적 기초연구와 임상시험에서 경이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아직 까지 가열방법과 온도분포측정이 큰 과제로 남아있으며 주위건강조직의 가열을 피하면서 인체 깊은 곳에 존재하는 종양에만 집중 가열하는 방법인 삽입형 온열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방법은 주위 건강조직의 피폭을 최소로 줄이고 종양에만 집중 조사가 요구되며 자궁암, 유방암, 뇌암등 부피가 작고 집중적 치료를 요하는 종양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근접 삽입치료 (Brachyradiotherapy)가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방사선과 온열의 병행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삽입 치료에 사용한 선원 삽입관을 그대로 두고 삽입관 속에 방사성 동위원소 대신 온열 전극을 넣어 열을 가하는 방사선 온열 병용치료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방사선과 온열병용에 사용할 최적 삽입관의 제작과 이에 따른 온도분포의 측정과 최적삽입방법을 결정하였다. 방사선 삽입치료용 폴리에찌렌 삽입관의 외부에 금박을 입혀 라디오파 첨극을 삽입할 때 서로 연결되도록 고안 제작함으로서 방사선 삽입치료와 자입식 온열치료를 동시에 만족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병용삽입관 (Flexible thermoradiotherapy probes)을 제작하였다. 전도율이 큰 금박부위가 직접 조직에 접촉됨으로 라디오파의 전달이 용이하며 금박의 길이를 2 cm 에서 5 cm 로 구분제작 함으로서 종양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디오파를 이용한 온열분포의 측정은 인체조직과 전기적 특성이 비슷한 물질인 한천 팬텀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분포 측정은 열전대와 서머그람으로 시행하였다. 생체조직 내에서의 온도분포와 온열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직접 개의 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43$^{\circ}C$로 50분간 가열하고 일주일후 개를 회생시켜 개 뇌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팬텀 표면에서 중앙부로 안테나 길이가 2 cm 인 4 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반경 1.25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종단면상 삽입관의 길이에 따라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졌다. 전극을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1.75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으나 전극의 간격이 증가하면 전도율이 떨어져서 전극 중심부에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하였다. 동물실험에서 정상 개의 뇌 실질에 자입하여 직접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유지하며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liquefactive necrosis, pyknosis of neuronal element 및 polymorphonuclear leukocytes들의 회백질에서 급성기에 관찰되었고 liquefactive necrosis 주위에 lipid-laden macrophage들이 관찰됨이 공통적인 특정이었으며 후기변화로 괴사조직 주위로 신경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 PDF

Fabrication of CPW(coplanar waveguide) Electrode for Optical Modulator and Fluctuation of Effective Index for Electrode Thickness (광변조기용 CPW 전극제작 및 전극 두께에 따른 유효굴절율 변화)

  • Im, Young-Sham;Park, Gye-C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d
    • /
    • pp.1131-113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LiNbO_3$ 변조기에 사용되는 진행파형 coplanar-waveguide 형 전극을 제작하였다. 전극 전극두께를 변화시켜 전극을 제작하여 마이크로파 유효굴절율을 조사하였다. $LiNbO_3$ 광변조기 도파로의 유효굴절율과 정합되는 조건인유효굴절율 2.2에 근접합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행파형 전극의 반사손실$(S_{11})$, 삽입 손실($S_{21}$) 등을 측정하여 광변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조건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PDF

Performance of the Negative Carbon Electrode Prepared with Graphitic Carbon and Nongraphitic Carbon Material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흑연계 및 비흑연계 탄소로 조합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탄소부극 특성)

  • Kim, Hyun-Joong;Lee, Chul-Tae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9 no.7
    • /
    • pp.1065-1069
    • /
    • 199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mprove peformance of carbo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carbon electrode was prepared by mixing with graphitic carbon material, natural graphite, and nongraphitic carbon material, petroleum cokes, which was heat-treated at $700^{\circ}C$ for l hour. Its electrochemical and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were tested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different two types of carbon material. The carbon electrode prepared with various mixing ratio showed both charateristcs of two different types of carbon materials and the best characteristics as carbon electrode was demonstrated at mixing ratio of 1:1.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grid electrode (그리드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 연구)

  • Seo, Hyun-Woong;Son, Min-Kyu;Lee, Kyoung-Jun;Kim, Jeong-Hoon;Hong, Jitae;Kim, Hee-J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283-1284
    • /
    • 2008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투명성과 광입사각 둔감성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미래 태양전지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고효율 연구뿐만 아니라 대면적화를 통한 용량의 증대 연구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재료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내에 그리드 전극을 삽입함으로써 전자 및 홀의 이동 개선과 확산 이동의 최소화에 의한 손실 감소를 통해 효율 향상을 시도했다. 또한, 투명전극의 레이저 식각을 통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내부 저항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투명전극의 표면 저항도 줄이고자 했다. SEM을 통해 투명전극의 식각 상태를 확인하고, radio frequency 스퍼터를 통해 그리드 전극을 증착한 결과, 기존 셀보다 향상된 출력전류 및 fill factor를 얻을 수 있었고, 약 1%의 효율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nagative carbon electrode properties of hybrid carbon for lithium ion batteries (리튬이온전지용 하이브리드형 탄소의 탄소부극 특성)

  • Yang, Dong-Bok;Park, Y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1199-1202
    • /
    • 2004
  • 리튬이온전지 음극활질용으로 Hybrid of pitch based graphite impregnating natural graphite와 Hybrid of pitch based carbon impregnating natural graphite로 탄소전극을 제작하여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Natural graphite에 pitch based graphite나 pitch based carbon의 혼합은 흑연의 이론용량인 372 mAh/g를 초과하는 고용량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극소공동에 리튬종의 삽입과 탈삽입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충 방전이 계속 진행되면서 방전용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X-선 회절분석 결과로부터 Hybrid of pitch based carbon impregnating natural graphite 탄소전극에는 amorphous carbon이 상대적으로 다량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리튬의 삽입된 상태의 전위에 분포가 있어 충 방전시에 완만한 전압의 구배를 만들며, 비가역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