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출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8초

Pulmonary Cryptococcosis in Immunocompetent Patients: CT Findings

  • Lee, Jae-Ky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74-81
    • /
    • 2004
  • 서론: 면역기능 정상인 환자에서 폐효모균증의 전산화단층촬영상(CT)의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5명의 폐효모균증 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3명은 남자였고 12명은 여자였으며, 평균연령은 53.7세 였다. 주 증상은 기침, 가래, 및 호흡곤란이었고, 12명의 환자에서는 증상이 없었다. 결과: 결절 혹은 다수결절(10명 40%)을 보이거나 분절 혹은 이분절성 폐경결(9명 36%)이 가장 흔한 소견이었다. 주 침범부위는 하엽(57%) 늑막하부(92%)였다. 폐경결 내부에 공기관지 음영(79%)을 보이며 용적감소를 보인 경우(71%)가 흔하였다. 간질비후 음영(44%) 및 공동형성(44%)도 자주 보였으나, 임파절 종대(8%) 및 늑막삼출(4%)은 드문 소견이었다. 결론: 폐 하엽 늑막하 부위에 다수의 결절 혹은 폐경결성 병변이 면역기능 정상인 환자에서 폐효모균증의 가장 흔한 소견이었다.

  • PDF

삼출액과 감염이 동반된 창상의 치료에 있어 은 함유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드레싱의 역할 (Role of Silver-containing Carboxymethyl Cellulose Dressing in the Management of Exudative Infected Wounds)

  • 이지혁;이은상;강소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305-313
    • /
    • 2007
  • Purpose: Wound healing is a result of complex processes whose components, such as cells, extracellular matrix, proteolytic enzymes, and their inhibitors receive effects from immune compartments, cytokines, chemokines, and growth factors. Impairment of normal physiologic response to wounding makes nonhealing chronic wounds. Wound infection and exacerbated proteolytic process may induce uncontrolled tissue degradation or exudates formation, which may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a nonhealing chronic wound. Thus proper management of wound infection and exudates is critical to prevent and treat nonhealing w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s of Aquacel AG, silver-containing carboxymethylcellulose dressing on treatment for exudative infected wou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31 patients with nonhealing wound. Wound was dressed with Aquacel AG. The effect of dressing was investigated by serial bacterial culture and wound exudates assessment. Each infection and exudates control time was determin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Wound infection and exudates were effectively managed using Aquacel AG dressing. Mean infection and exudates control time were $3.4{\pm}1.2$ and $5.7{\pm}1.4$ weeks,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indicated that infection control time correlated positively to age and exudates control time (p<0.05). Conclusion: There is as yet no ideal dressing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chronic nonhealing wound. But silver-containing carboxymethylcellulose dressing can be used effectively for exudative, infected nonhealing wound.

포인터견에서 기관지연화증의 내시경적 진단 (Endoscopic Diagnosis of Bronchomalacia in a Pointer Dog)

  • 노성준;조규덕;강지훈;장진화;장동우;나기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8-81
    • /
    • 2012
  • 5세 수컷 포인터견이 만성 기침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좌측 폐엽으로 분지하는 기관지 내강은 점액농성 삼출물과 함께 70% 이상 허탈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주기관 내강에서는 점액성 결절들이 확인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는 좌측 폐엽으로 주행하는 기관지의 허탈을 재확인하게 하였다. 해당 검사결과들을 근거로, 환자는 만성기관지염과 함께 기관지연화증이 발병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본보는 만성기침을 보이는 대형견에서 기관지연화증을 진단한 증례이며, 기관지내시경검사는 기관지연화증의 발생 유무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법임을 보여준다.

개의 큰 사강을 갖는 창상에서 무세포성 진피기질의 적용 3례 (Acellular Dermal Matrix for Wound with Large Dead Space in 3 Dogs)

  • 엽경아;변예은;이선태;김희정;조지영;권오경;김진영;강계원;김완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9-301
    • /
    • 2010
  • 광범위한 사강과 함께 치유가 지연된 개의 창상에 무세포성 진피기질(Acellular human dermal matrix, ADM)을 적용하였다. 이 치료는 피하 사강을 갖는 창상과 근육면 사이의 창상에 특히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본 증례에서 ADM 적용시 사강의 크기와 삼출물의 양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사강이 사라지는 데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10일 이었다. 또한, 이 증례에서는 중증의 염증과 같은 복합증은 확인되지 않았다.

대장 내시경 생검으로 진단된 결핵성 복막염 1례 (A Case of Tuberculous Peritonitis Diagnosed by Colonoscopic Biopsy)

  • 박혜진;이수민;김선미;정대철;정승연;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131-135
    • /
    • 2004
  • 결핵성 복막염은 소아에 있어 드문 결핵이다. 영양실조, 결핵유행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행려자, HIV감염이 위험인자이며, 복통, 체중감소, 구토, 병색소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복수는 삼출액이며 전산단층촬영과 초음파 검사상 두꺼워진 대망과 복막, 격벽화된 복수 소견 보이고, 치료는 isoniazid, rifampicin, pyrazinamide, streptomycin으로 하며 치료에 반응 잘 한다. 저자들은 위험인자 없었으며 체중감소나 병색소견 없이 7일간 열을 동반한 복부팽만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복수 검사상 여출액 소견이였으나 전산단층촬영과 초음파 검사상 결핵성 복막염 의심하에 시행한 대장내시경 조직검사로 결핵을 확진하였고 항결핵제 투여 및 보존적 치료로 호전보인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산재성 송아지 백혈병 (bovine leukosis)

  • 임금기;장현철;강문일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150-150
    • /
    • 2002
  • 40두 규모의 농장에서 사육된 홀스타인 종, 4개월령의 수컷 송아지에서 거세 후 고열, 식욕부진, 기침 등의 증상과 함께 전신 체표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어 백혈병으로 잠정진단 하고 도태를 권유하였으나 축주가 치료를 원해 항생제와 해열제 및 기타 대증요법을 실시한 후 치료반응이 없어 폐사하여 부검을 실시하였다. 혈액 검사상 이상핵과 다형핵을 가진 다수의 림프구 및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및 단핵구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백혈병 바이러스에 대한 분리 및 PCR 검사는 음성이었다. 부검 소견으로 체표 림프절, 슬관절 부위 및 비장과 간의 종대가 관찰되었으며 비장 중심에 12x11 cm의 종괴와 폐의 전엽부 유착 및 폐문, 종격동 림프절의 심한 종대가 관찰되었다. 견갑전 림프절을 비롯하여 대퇴골 전, 서혜, 폐문, 이하림프절 등 전신 림프절의 종대 및 소성의 연한 황색의 매끄러운 절단면을 보였다. 전지 관절의 종대와 관절강 내부는 증가된 농성 활액을 보였으며 고관절 강 내에 농성 활액의 증가와 공기 노출 후 젤리양 응고를 보였다. 심장은 장액성 위축과 함께 섬외막성 점상출혈이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비장은 지주 주변에 미성숙형의 세포들의 침윤이 보이며 유사분열상이 다수 관찰되었고 백색 수질에도 유사분열상의 증가와 함께 림프아구성 세포들이 다수 나타났다. 이들 주요한 비정상 세포들은 다형성의 큰 핵을 가진 다양한 림프아구의 형태를 지녔으며 핵내 공포가 인정되었다. 비장의 종괴 주변에는 증식된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미세농양 형성되어 있고, 일부 석회화가 진행된 부위도 있었다. 간소엽성 중심성 울혈과 가벼운 간세포내 지방침윤, 혈관 내 림프아구 형태의 세포와 소수의 호중구가 관찰되었다. 간삼조 주변에는 가볍거나 중등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미만성으로 관찰되었다. 폐에서는 중등도의 기관지 폐렴과 함께 일부는 무기폐가 관찰되었으며 폐포강과 세기관지내에는 염증성 삼출물이 다량 들어 있었다. 다병소성 미세농양과 함께 괴사가 있었고 실질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있었다. 또한 중등도의 간질성 신장염과 림프절은 지주 주변에 간극 내 비정상 림프구 세포의 형태는 비장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며 적수와 백수의 구이 힘들며 림프소절이 증가되어 있었다. 한 시야에서 유사분열상이 6-8 개로 그 지수가 매우 높으며 이와 더불어 큰 림프구가 전반에 걸쳐 침윤되어 있었다. 주변부 동(sinus)에는 많은 물질들이 침윤되어 있으며 렴프소절내 미만성의 성상현상이 관찰되었다. 회장은 파이어판내 심한 림프구 소실이 나타났다. 이상의 소견을 바탕으로 본 증례는 산재성 송아지 백혈병으로 진단되었다

  • PDF

전통 황칠 도료 개발에 관한 연구 (II) - 황칠나무 수피 추출물 및 삼출액의 화학적 조성과 도료용 오일특성 - (Studies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olden Varnish (Hwangchil)(II) - Chemical Composition and Coatings-oil Characteristics of the Exudates and Bark-extractives of Hwangchil-namu(Dendrogapax morbifera Lev.) -)

  • 임기표;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7-13
    • /
    • 1998
  • In order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technology of Korean golden varnish(Hwangchil) made from the exudates of D. morbifera, this study in the second step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il properties of the exudates for coatings and bark extractives made from the trees of D. morbifera more than 20 years old grown in Wando and Jejudo island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season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exudates appeared to be a phytoalexin because it exudated after several days in tapping only in summer season. 2. Both the exudates and bark-extracts with acetone contained 50~60% unsaponifiables and 30~50% saponifiables 3. A major component of essential oil in bark-extractives was ${\beta}$-cubebene and reached to 60~80%, while that of exudates included only 34% ${\beta}$-cubebene and some other compounds such as ${\beta}$-cadinene of 12%, aromadendrene of 9%, ${\beta}$-selinene of 9%, CAS030021-74-0 of 10%, etc. in GC-MS spectrometer. 4. A mjor component of fatty oil fraction in bark-extractives was linoleic acid and reached to more than 60%, while the exudates had mostly other components such as terpenes and phenolics instead of fatty acids accordint to GC-MS spectrometer. 5. Iodine value of samples after oil refining had 214mg/g in the exudates and more than than 150mg/g in bark-extractives, so the latter belonged to a drying oil.. 6. Therefore, the exudates from D. morbifera for traditional Korean golden varnish seems to have beeen used to a good varnish because it has some specific compounds different from its bark-extractives or general varnishes.

  • PDF

Tc-99m MDP 골 스캔에서 우연히 발견된 악성 심낭 삼출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Incidentally Detected by Tc-99m MDP Bone Scintigraphy)

  • 임석태;손명희;곽재용;임창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1-292
    • /
    • 2001
  •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originated from adenocarcinoma of the lung incidentally diagnosed by bone scintigraphy, prior to echocardiographic detection. A 76 year-old man with adenocarcinoma of the lung underwent Tc-99m MDP bone scintigraphy to evaluate skeletal metastasis. Anterior images of the chest of the bone scintigraphy unexpectedly showed diffuse increased activity in the region of the heart surrounded by an oval-shaped band of increased 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ardiac silhouette (Fig. 1). There was no evidence of bony metastasis. Pericardial effusion was confirmed by echocardiography (Fig. 2) and malignant cells were revealed by subsequent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pericardial fluid. Bone scintigraphy using Tc-99m phosphate compounds is commonly used to detect bony metastasis in cancer patients. Tc-99m phosphate compounds occasionally accumulate in extra-osseous sites, including $pleural^{1,2)},\;pericardial^{3,4)},\;and\;ascitic\;fluids^{5,6)}$.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ir accumulation in serous effusions should strongly suggest $malignancy^{1-6)}$. The exact mechanism for accumulation of Tc-99m phosphate compounds in serous effusions is unclear. Several investigators have proposed that the radiopharmaceuticals exuded directly from peripheral vessels to the serous cavity due to increased vascularity and vascular permeability, and bleeding by disruption of blood vessels due to cancerous $infiltration^{5,6)}$.

  • PDF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 피해 정도에 따른 차이-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Difference by Damage Level -)

  • 권성민;전근우;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84-92
    • /
    • 2008
  • 강원도 양양 지역 산불 피해 소나무 목재의 피해 정도에 따른 해부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해 정도에 따라 수피의 탄화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목질부까지 탄화가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수지의 삼출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산불 피해목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건전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심재의 경우에는 건전재보다 피해목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생재밀도는 피해재 심재가 건전재 심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변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형성층대를 관찰한 결과,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경우 형성층의 활동이 일어나지 않았고, 비교적 피해를 약하게 입은 경우에는 형성층의 활동이 관찰되었으나 세포분열 속도는 건전재보다 느렸다. 산불 피해를 강하게 입은 목재에서는 에피델리움세포와 방사조직의 세포벽이 짙게 염색되고 세포내에 과립형태의 물질이 관찰되었으며, 최외각 연륜 부위의 결정화도는 산불 피해재가 건전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너스바 제거 후 발생한 급성 대동맥 손상 -치험 1예- (Acute Aortic Injury after Nuss Bar Removal -A case report-)

  • 이양행;박재민;한일용;윤영철;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68-871
    • /
    • 2006
  • 흉벽 기형의 일종인 누두흉의 수술방법인 Nuss 술식은 비교적 안전하고 교정 만족도가 높아 최근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며 합병증으로는 기흉, 막대 편위, 창상 감염, 심낭염, 흉막 삼출, 혈흉, 심장 천공 등이 있다. 본원에서는 30세 남자 환자에서 Nuss 수술 3년 후 막대 편위로 인한 제거 수술 중 발생한 급성 흉부대동맥 손상을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편위된 막대는 별 저항 없이 뽑혔으나 양측 수술 창을 통해 동맥혈이 뿜어져 나와 양손으로 출혈을 막고 신속하게 대퇴동-정맥 환류로 체외 순환을 시행하면서 정중 흉골절개를 가하고 초저온 순환 정지 하에 대동맥궁 기시부의 열상 부위를 봉합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13일째 별다른 문제 없이 퇴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