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차원 스캐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경로 예측에 기반한 이동로봇을 이용한 가상 현실을 위한 삼차원 실내 환경 모델의 자율 복원에 관한 연구 (Autonomous Reconstruction of 3D Indoor Environment for Virtual Reality using a Mobile Robot based on the Observation Planning)

  • 문정현;유범재;김학배;오상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74-27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이동로봇에 삼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장착하여 삼차원 데이터의 수집, 수집된 데이터의 정합,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이동로봇의 경로계획 및 장애물 회피주행 등 모든 작업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실내 환경에 다한 삼차원 모델을 자율제작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스캔순서최적화를 통한 빠른 동적 물체 정보의 제거, 계층적 육면체 맵과 기하학적맵을 이용한 최적 경로 예측에 의한 다음 스캐닝 위치의 결정, 오도미터 정보와 명암 정보를 이용해 수정된 ICP 알고리즘을 통한 데이터의 정합을 통하여 이동물체와 관계없는 실내환경에 대한 삼차원 모델의 자율복원 한다.

  • PDF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체표면적 측정방법과 삼차원 스캐닝에 의한 체표면적 측정방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Alginate Method and 3D Whole Body Scanning in Measuring Body Surface Area)

  • 이주영;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507-151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methods of measuring body surface area (BSA). The BSA of Korean adults was measured using both three-dimensional (3D) scanning and an alginate method. Two males (one overweight and one lean) and one overweight female participated as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3D scanned BSA of all three subjects was smaller than the BSA measured using the alginate method by as much as $6-14\%$. The difference in methods was greater in the overweight participants than in the lean subject. Second, the results comparing the BSA obtained using these two methods and the BSA estimated by 10 previously developed formulas, showed that the 3D scanned BSA was the smallest among the 12 BSAs. Third, in compa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methods, the regional BSA of the lean subject (male 2)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overweight subjects (male 1, female 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th, the biggest difference in regional BSA obtained through these two methods was in the hand, for all three subjects. The 3D scanned hand surface area was smaller than the hand surface area measured by the alginate method by as much as $24-34\%$. Fifth, in the percentage of regional BS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two methods. The reasons for the underestimation in the 3D scanning might be because: 1) the 3D scanner can not recognize the folding and shading of body parts, such as the finger, toe, ear, armpit, crotch and breast, 2) 3D patching and smoothing processes depend on researchers. However, the 3D scanning method is applicable to the estimation of the entire BSA, if the surface area of the hands is known, and the participant is not overweight.

컴퓨터 원용 결함진단을 위한 그래픽 솔루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Graphical Solution for Computer-Assisted Fault Diagnosis: Preliminary Study)

  • 윤한빈;윤승만;한종철;조민국;임창휘;허성근;손철순;김성식;이석희;이석;김호경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6-42
    • /
    • 2009
  • 역공학의 한 방법으로 엑스선 전산 단층촬영 장치에서 획득한 삼차원 데이터를 CAD(computeraided design) 데이터로 변환하여 쾌속조형 모델을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삼차원 가시화를 통해 피검사체의 오차를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검증을 위하여 산업 및 의료용 샘플들에 대한 전산 단층촬영 스캐닝을 수행하고 CAD 데이터 변환 및 컴퓨터 원용 결함진단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컴퓨터 원용 결함진단의 산업 및 의료분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a Multi-Layered Metallic Disk Array Structure for Shaping of Flat-Topped Element Patterns)

  • 엄순영;박한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985-99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pm$20$^{\circ}$의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삼차원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의 최적화 설계 변수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형 도파관 여기에 의한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의 각 방사 소자는 입력 원형 도파관, 임피이던스 정합용 원형 도파관, 방사 원형 도파관 그리고 그 위에 적층된 유한개의 원형 도체 배열층들로 구성되며, 각 방사 소자들은 원추형 빔 스캐닝에 적합한 정육각형 격자 배열 구조를 이룬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에 대한 해석 알고리듬을 제시하고, 이것을 프로그램 코드화하여 최적화 설계 변수 추출을 위한 다양한 설계 변수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의 구형 빔 패턴 및 반사 계수에 대한 대역폭 특성을 살펴 보았으며, 그 결과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는 최소한 5.6 %의 주파수 대역폭내에서 $\pm$20$^{\circ}$의 양호한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 측량기준점을 이용한 LiDAR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 (Evaluation of Airborne LiDAR Data using Field Surveyed Ground Control Points)

  • 위광재;양인태;서용운;심정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통권38호
    • /
    • pp.11-18
    • /
    • 2006
  • 본 논문은 항공 LiDAR 데이터의 정확도를 수평과 수직으로 구분하여 현지의 측량기준점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항공 LiDAR 측량은 좌우 스캔방식에 의한 레이저 포인트를 취득하므로, 미리 측량된 점과 정확히 일치하는 포인트를 획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지 측량점 주변에 위치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평위치의 정확도는 LiDAR 포인트로부터 각 건물면에 대한 평면방정식을 구성하여 모서리 점에 대한 좌표를 산출하여 현지 측량점과 비교한 결과, 평균오차 19cm, RMSE 21cm로 나타났으며, 16점 중에서 15점이 20cm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수직위치의 정확도는 총41점에 대해 현지에서 측량한 검사점의 높이값을 이용하여 수직위치를 평가한 결과, 평균오차 10cm, RMSE 14cm로 나타났으며, 총 검사점의 75%가 15cm 이내로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치지형도 수정 갱신, 기본지리정보 및 삼차원공간정보 구축 등 LiDAR 데이터의 정확도에 따른 활용범위를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