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삶만족도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 삶의 만족도와 아동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김용회;한창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29-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아동의 삶의 만족도가 상호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2010년(초4)에서 2015년(중3)까지 총 6차년에 걸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이며, 분석에 사용된 사례는 총 1,963명이다. 본 연구목적인 아동 삶의 만족도와 부모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삶의 만족도와 부모 삶의 만족도의 자기회귀효과는 각각 시간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삶의 만족도가 아동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이전 시점의 부모 삶의 만족도가 이후 시점의 아동 삶의 만족도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아동 삶의 만족도가 부모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이전 시점의 아동 삶의 만족도가 이후 시점의 부모 삶의 만족도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 삶의 만족도는 아동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아동 삶의 만족도 역시 부모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자료를 통해 아동 삶의 만족도와 부모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우리나라 부모와 아동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여러 함의점들을 제시하였다.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관계의 탐색 (The Search of Causality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omain Satisfactions: Analysis throug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한정균;임성문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609-622
    • /
    • 2011
  •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의 구성 성분 가운데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입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인과성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즉 삶의 만족도의 두 구성 요소인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간 인과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7명의 대상자들로 부터 2주 간격의 연 이은 세 시점에서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수집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에는 구조방정식의 자귀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인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모형을 적용함에 있어서 연구자가 채택한 논리와 방식을 이론적 배경에 서술하였다. 본 모형을 적용하여 수집 자료를 통계 분석한 결과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가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원인 변인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 일차적 초점을 영역특정적 삶의 만족도 증진에 둘 때 전반적 삶의 만족도 또한 증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의 흐름을 따를 때 삶의 만족도 증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논의에서는 연구방법 상의 논점과 연구결과가 지닌 함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이 검토되었다.

경제활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mpa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 오영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71-280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주관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근거로 이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5세 이상의 노인 중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 306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로모형을 만들고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우울과 일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효과 크기는 우울(.38, p=.019)과 일 만족도(.22, p=.009) 모두 유의하였으며 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우울(.20, p=.009)의 효과도 유의하였다.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Z=7.17, p<.001)가 유의하여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한국의 방글라데시 이주 노동자의 직업만족도와 삶만족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Bangladeshi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 모스타피져 라만;강버들;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92-400
    • /
    • 2014
  • 2012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약 160만명이고, 그 중 방글라데시 노동자는 약 4.7%(한국고용정보원, EPS, 2012)라고 한다. 본 논문의 연구를 위하여 김해(100명), 마산(60명), 인천(40명)에 거주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이주 노동자 약 20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그들의 직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그들의 한국에서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직업 만족도의 ${\alpha}$ 값은 0.71, 삶의 만족도에 대한 ${\alpha}$ 값은 0.72 이었다. 직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은 Paul E. Spector(1985)가 고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은 Thomas M. Krapu외 4인이 연구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방글라데시 이주 노동자의 직업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는 강한 관련성이 있으며, 그들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단체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Social Support)

  • 임안나;박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75-682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에 조사한 국민연금연구원의 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부가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50대 이상의 중고령자 7,763명의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의 경우에, 주된 생활비를 본인과 부부가 마련하는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인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물질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일자리 확대, 지역사회조직과 노(老)-노(老)케어 그리고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성질환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esence of Chronic Illnesses)

  • 전해숙;강상경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247-1263
    • /
    • 2011
  • 현재 우리나라가 경험하고 있는 급속한 인구고령화 현상은 노년층 사이의 만성질환 및 의료서비스 이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의료서비스 이용은 궁극적으로 서비스 소비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노년기의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서 상이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 조사에 참가한 65세 이상 노인 3,94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분석(Multi-Group SEM)을 하였다. 관련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전체적으로는 외래서비스 이용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은 낮고, 입원일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반면,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수준은 만족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하지만 의료서비스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상이하였다.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입원서비스 이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없는 사람들은 입원일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질병이 있는 사람들은 건강 검진서비스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질병이 없는 사람들은 건강검진 서비스를 많이 받은 사람들의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외래서비스 이용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질명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의료서비스 이용이 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들과 없는 노인들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다집단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Parental Composi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 하규영;이민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1호
    • /
    • pp.39-63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정서행동문제(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구성(부모, 한부모)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네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4 패널 데이터 중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구성과는 상관없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셋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공격성)의 매개효과는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은 모든 집단에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 및 경로계수를 지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 문명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1-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의 질적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경제적 영역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영역과 관계탄력성, 활동성의 예측변인들이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관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촉진시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와 삶의 만족도 (Transition in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 백옥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01-308
    • /
    • 2018
  • 본 연구는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 궤적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종단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1-4차년도(2005-2011) 자료를 활용, 1-4차년도 조사당시 거주형태를 측정, 두 시점간 거주형태 변화 유형을 16개 유형으로 구분, 일반화추정방정식모형(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을 적용해 삶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는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었다. 전반적으로 마지막 조사시점에서 부부상태를 유지했던 집단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았다. 또한 노년기 자녀와의 동거여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결과 자녀와의 동거는 부부가 함께 동거였을 경우에만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았을 뿐 홀로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의 경우 독거를 지속한 가구보다도 오히려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의 궤적과 대표적 심리적 복지 개념인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는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 차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자료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Relations between Older People's Transfer incomes and Life Satisfactio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이전소득(공적이전, 사적이전 소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사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1,019.2만원(월평균 84.9만원)으로 공적이전 소득이 소득안정화 효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일반가구 노인의 공적이전 소득의 절반 수준인 508.5만원(월평균 4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비록 "마음이 편하지 않는" 소득원천인 사적이전 소득이 불안정한 소득안정화 부족분을 채워주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