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포 농도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5초

2·4-D 처리(處理)에 의(依)한 아카시아 맹아억제(萠芽抑制)에 관(關)한 시험(試驗) (Studies on the suppression of Robinia pseudacacia sprouts by 2·4-D)

  • 손원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
    • /
    • 1962
  • (1) acacia 맹아(萠芽) 억제(抑制)에 대(對)한 2,4-D 살포(撒布)의 효과(効果)에 관여(關與)되는 조건(條件)을 시험(試驗)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a. 2,4-D 농도(濃度)${\cdots}{\cdots}{\cdots}$ 3,4,5 두식(斗式)의 범위에서는 3 두식(斗式) 최고농도(最高濃度)의 효과(効果)가 가장 크다. b. 살포시기(撒布時期) 5월(月) 상순(上旬)부터 7월(月) 하순(下旬)까지 순별(旬別) 시기(時期)를 분할(分割)하여 시험(試驗)한 즉 후기(後期)로 갈수록 효과(効果)가 컸다. c. 살포시간(撒布時間) 오전(午前) 10시(時), 오후(午後) 1시(時) 오후(午後) 4시(時) 중(中)에서 오후(午後) 1시(時) 가장 효과적(効果的)이었고 오전(午前) 10시(時) 가장 효과(効果)가 적었다. d. 살포(撒布) 계속년(年) 및 살포(撒布) 회수(回數) 계속 살포(撒布)할수록 효과(効果)는 누진적(累進的)이었다. (2) 다음과 같은 2,4-D 처리(處理)로 acacia 맹아(萠芽)는 억제(抑制) 됨을 알았다. a. 3두식(斗式) 농도(濃度)로 7월(月) 상순(上旬)~7월(月) 하순(下旬) 1년(年) 1차(次)씩 (1차(次)는 3일(日) 3회(回)) 계속 살포 3년간(年間)계속 살포(撒布). b. 3두식(斗式)로 오후(午後) 1시(時)에 5월(月) 상순(上旬)부터 1순(旬) 3회(回)씩 7월(月)까지 계속 살포(撒布).

  • PDF

사과 '후지'에서 유기 칼슘화합물의 수관살포가 과실의 무기성분 농도, 동녹 발생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e-spray of Organic Calcium Compounds on the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Russet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in 'Fuji' Apple at Harvest)

  • 문병우;이영철;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47-59
    • /
    • 2012
  • 사과 '후지'에서 유기 칼슘화합물(ACa)을 수관살포 농도별 및 생육후반기 횟수별 처리한 후 과실의 칼슘농도, 동녹 발생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중 ACa 수관살포의 적정농도는 엽에는 125배에서 1,000배, 과실에서는 125배 이었다. 생육기간중 ACa 500배 수관살포 적정횟수는 엽에는 1회 (9월 25일) ~ 3회 (9월 25일, 10월 5일, 15일), 과피에는 1회 (9월 25일), 과육에서는 2회 (9월 25일, 10월 5일) ~ 3회(9월 25일, 10월 5일, 15일)이었다. ACa 생육후반기 농도 및 살포 횟수 수관살포에 의한 약해발생은 육안으로 발견하지 못하였다.

액상 첨가제 살포 방법에 의한 밀폐형 돈사에서의 분진 저감 평가 (Assessment of Dust Reduction in the Enclosed Pig Building by Spraying Method with Liquid Additives)

  • 김기연;고한종;김치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7-104
    • /
    • 2008
  •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활용되었거나 새로이 제안된 액상 첨가제를 돈사에 살포하여 분진 농도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여 제거 효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도출했다. 1. 살포 전 밀폐형 돈사내 분진 농도는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시 전반적으로 낮았다. 2. 온도의 경우는 살포 후 24시간까지 돈사 내부와 외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상대습도는 살포 후 1시간까지 증가하여 외부와 약 10% 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3. 평가대상 모든 액상 첨가제들의 살포직후 분진 평균 저감율은 살포 전 농도 대비 약 30%로 나타났다(p<0.05). 4. 살포 3시간 이후부터는 콩기름을 제외하고 다른 액상 첨가제들의 분진 농도에 대한 경시적 저감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5. 평가대상 모든 액상 첨가제들 중 콩기름의 살포가 제거 효율성 및 안전성 측면 모두 돈사 분진 제어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첨가제였다.

  • PDF

생장 조절제(B995.CCC) 산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B995 and CCC on the Growth arid Yield of Soybean)

  • 위성옥;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290
    • /
    • 1984
  • 대두에 왜화제인 B 995와 CCC를 살포시기별(본엽 4, 5, 6 매), 농도별 (500, 1000, 2000, 3000 ppm)로 엽면살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별로는 경장에서만, 살포시기별로는 결협율에만, 그리고 농도별로는 경장, 분지수, 결협율, 주당협수와 수량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견장의 단축은 CCC보다는 B 995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결협율은 본엽4 매시의 살포에서 가장 높았다. 3.농도별효과를 보면 저농도보다는 고농도인 3,000ppm에서 경장의 단축, 분지수, 결협율 그리고 주당협수의 증가와 수량의 증대를 나타냈다. 4. 주경절수, 경건중, 엽록소와 100입중은 약제살포시기 및 농도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5. 수량은 경장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분지수, 주당협수, 결협율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6. 왜화제의 엽면살포는 주요수량구성 요소증대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 PDF

Triazole계 살균제의 살포 및 훈증처리에 의한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tator)의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Uncinula necator) in Vineyards by Spraying and Vapor-Action Treatments of Triazole Fungicides)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6-323
    • /
    • 1996
  • 비가림재배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에 대하여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penconazole, triflumizole, triadimefon의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처리구의 이병과방율과 이병엽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들의 방제가는 과방에서 약제에 따라 94.7∼97.9%, 잎에서 85.5%∼90.9%였으며 대조약제인 polyoxin B의 방제가와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 공시살균제의 보호효과는 살균제를 병발생 1주일전에 살포하는 경우, 살포 3주 후에 방제가는 약제에 따라 72.2∼90.5%였으나 4주 후에는 21.2∼41.6%로 감소하여 대조약제 polyoxin B의 52.5%보다 감소시켰으나 myclobutanil의 발아억제 효과는 약제 농도증가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살균제에 침지한 cheesecloth를 포도원 선반에 매달아 조사한 공시살균제의 훈증효과는 살포농도의 2배로 처리했을 때 처리점으로부터 반경 30cm이내의 포도송이에서는 약제에 따라 57.2∼71.1%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전체 식물체에서는 49.1∼65.8%로서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것 보다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 PDF

포도 '캠벨얼리'에서 유기칼슘제 수관살포에 의한 엽병과 과피의 무기성분 농도 및 과실품질 (Effects of tree-spray of organic calcium agent on the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of petiole, fruit skin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in 'Campbell Early' grapevine)

  • 문병우;이영철;남기웅;구자준;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2011
  • 포도 '캠벨얼리' 품종에서 유기칼슘제(ECa)를 수체살포하여 엽병과 과피의 칼슘농도, 과실품질 및 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칼슘제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농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염화칼슘 0.4%, ECa 250X 및 MCa 500X 처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ECa 시기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농도는 개화 7일후 및 14일후 처리가 무처리 및 21일 후처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ECa 농도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함량은 500X 및 무처리에 비하여 250X 및 125X 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ECa 수체살포는 시기별, 농도별 과실품질 및 과방의 크기, 탄저병 및 열과 발생율은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할만한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ECa 농도별 수체살포에 의한 약해발생은 육안으로 발견하지 못하였다.

황토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iodinium종의 제거효과 (Removal Efficiency of Cochi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Loess)

  • 최희구;김평중;이원찬;윤성종;김학균;이흥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9-113
    • /
    • 1998
  • 황토에 의한 Cochlodinium 종의 제거효과실험을 실내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내실험은 Cochiodinium 적조생물을 배양하여 황토 및 이를 산처리로 활성화시켜 살포농도를 $2\;g/\ell$에서 $10\lg/\ell$로하여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황토의 적조생물제 거효과는 살포농도 $2\;g/\ell$에서 $43\%$, $6\;g/\iota$에서 $64\%$로 점차 향상되기 시작하여 $10g/{\ell}$에서는 살포 60분후 $88\%$의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현장조사는 Cochlodinium 적조가 빈발한 통영 활목-오비도해역에서 1996년 9월에 2회 실시되었다. 황토살포 전후로 해서 실시된 조사에서도 역시 황토살포 30분후에 Cochlodinium 적조생물이 $72\~83\%$가 제거됨으로써 좋은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수질인자중 수온과 pH는 살포전후 변화가 없었으나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클로로필 a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였고 부유물질은 증가하였다. 부영양화 인자중 용존무기인은 살포전후 농도변화가 없는 반면, 용존무기질소는 살포후가 살포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따라서 황토살포는 $10\;g/{\ell}$전후로 살포하는 것이 적조생물 제거효과에 바람직하며 수질에도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붕소 엽면시비가 참깨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Boron on Growth and Yield in Sesame)

  • 정병관;김동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1-449
    • /
    • 1996
  • 붕소의 엽면살포에 따른 참깨의 생육, 수량 및 여러 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평휴, 휴고(15cm) 처리별로 구분하고, 붕소의 농도를 무살포, 0.2%, 0.4%별로 주경 11절기에 각각 전엽면에 살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 살포에 의한 엽면적의 증가는 평휴, 휴고 15cm모두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5절엽과 11절엽에서 증가 효과를 나타냈고, 경태는 평휴에서만이 붕소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건경엽중은 붕소 엽면살포에 의하여 평휴, 휴고 15cm 모두 증가효과를 가져왔다. 2. 주당 꼬투리수는 평휴에서만이 붕소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1,000립중은 평휴 처리시 중단부위 이하의 꼬투리에서 붕소살포농도와 비례적으로 무거워진 경향이었으나, 휴고 15cm에서는 0.2% 농도에서 만이 증가경향을 나타냈다. 3. 종실중은 평휴, 휴고 15cm 처리 모두 붕소 살포농도가 증가할수록 건경엽중, 주당 꼬투리수, 1,000립중 등의 증가로 증수되었고, 이 경향은 평휴에서 현저하였다. 4. 붕소 엽면살포 효과를 절위별 꼬투리내 종실중비로서 보면 상단부위의 종실중은 평휴보다 휴고 15cm에서 7%가 무거워진 경향이었고, 붕소 엽면살포에 의한 종실중 증가와 유관한 형질들은 평휴 처리시 엽면적, 경태, 주당 꼬투리수 및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 등이었고, 휴고 15cm 처리시는 건경엽중 뿐이었다. 5. 붕소 엽면살포에 의한 여러 형질들 간의 상호관계를 보면 평휴에서 경태는 엽면적 및 하단부위의 천립중과 그리고 엽면적은 주당 꼬투리수, 건물중 및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 등과, 건물중은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과 유관하였으나, 평휴 15cm는 엽면적과 주당 꼬투리수 간에 비례적인 상호관계가 있을 뿐이었다.서 높았으며, 두처리 모두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무경운재배에 비하여 경운재배에서는 시일의 경과에 따라서도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함량도 낮았다. 6. 양이온함량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_x$는 $Co_3O_4$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_3O_4$의 외부표면이 $Co_2TiO_4$$CoTiO_3$ 같은 $CoTiO_x$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 PDF

식물생장조절자의 처리가 모시풀의 생육 및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bberellin and Atonic Acid on Growth and Fiber Yield of Ramie Plant)

  • 정동희;김상곤;권병선;황종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3-218
    • /
    • 1993
  • 모시풀의 생장촉진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적정 살포시기, 회수 및 농도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시풀의 생장점에 Gibberellin을 살포하면 줄기의 신장에 효과가 켰으며 경장 50cm 때의 1회 살포에 비하여 경장 50및 100cm때의 2회, 50, 100 및 150cm 때의 3회로 살포회수가 많을수록 그 신장도가 켰으며 생육초기보다 후기살포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2. Gibberellin 농도는 50ppm 보다는 100~300ppm액 살포에서 줄기의 신장이 뚜렷하였으며, 이는 절간장의 신장에서 연유되었고, 절수의 증가는 거의 없었다. 3. 어느 농도에서나 1회 살포의 경우는 엽의 생장도 다소 좋아지는 경향이나, 2회, 3회로 살포회수가 많고 농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엽의 생장에 저해를 받는듯 하였다. 4. 섬유수량은 Gibberellin 100ppm 3회 살포의 경우 가장 다수였으며 섬유비율에 있어서도 무처리구의 4.6%에 비하여 5.3%로서 가장 높았다. 5. Atonic은 모시풀의 줄기신장 효과가 Gibberellin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생장조절제 처리는 모시풀의 인피섬유의 발달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혼용된 2종의 살균제 살포 농도 및 간격에 따른 잔디 동전마름병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n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s and Intervals with Two Mixed Fungicides)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408-412
    • /
    • 2013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일반적이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잔디 병 중 하나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과 boscalid를 혼합제로 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혼합제의 약량은 기준량과 기준량의 1/2량, 2/3량으로 하였고, 살포간격은 각각 10일과 15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반복별 평균 48.3, 60.0%의 발생을 보였다. 각 처리구는 1개의 처리구(기준량의 1/2 처리구로 15일 간격 살포)를 제외하고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농약회사에서 추천하는 기준량의 농도보다 낮은 농도(기준량의 2/3 및 1/2 농도)로 15일 간격으로 살포하게 될 경우 기준량에 준하는 약효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살포 농약량, 인력,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등을 낮추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