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초 활성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초

Glyphosate의 살초효과(殺草效果) 증진(增進)을 위한 살포방법(撒布方法)에 관한 연구(硏究) II.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살포량(撒布量)과 강우요인(降雨要因)이 Glyphosate의 살초효과(殺草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Application Methods for Enhancing Phytotoxicity of Glyphosate II. Effects of Surfactants, Spray Volumes and Simulated Rain on Herbicidal Efficacy of Glyphosate)

  • 이증주;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4-73
    • /
    • 1987
  • 살포량(撒布量)과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차이(差異)가 glyphosate의 살초효과(殺草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첨가처리(添加處理)가 강우시간(降雨時間)에 따른 glyphosate의 살초효과(殺草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1.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L-77 및 Triton CS-7을 glyphosate에 첨가(添加)하였을 때 지시식물(指示植物)안 옥수수의 생장은 현저히 억제되었고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도 크게 감소되었으며, 낮은 glyphosate 농도(濃度)에서 L-77은 Triton CS-7 보다 옥수수에 대한 생장억제 효과가 높았다. 2. 쇠뜨기와 쑥에 대한 glyphosate의 살초효과(殺草效果)는 약량(藥量)이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L-77 및 Triton CS-7을 첨가(添加)하면 보다 높은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크로바에서는 Triton CS-7의 첨가처리(添加處理)에 의하여 glyphosate의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증대되었다. 3. Glyphosate 살포후(撒布後) 4시간 이내(以內)의 강우처리(降雨處理)에서는 쑥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가 크게 저하(低下)되었으나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L-77과 Triton CS-7을 첨가(添加)하므로써 강우(降雨)에 기인(起因)된 살초효과(殺草效果)의 저하(低下)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V)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V))

  • 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5-22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36과 55종 시료로부터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를 대상으로 살초활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55 시료 중 유채에 대하여 높은 살초활성($GR_{50}$ 값 < 1,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GR_{50}$값, 867 ${\mu}g\;g^{-1}$), 부용(Hibiscus mutabilis L; $GR_{50}$값, 988 ${\mu}g\;g^{-1}$),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A. P. DC.; $GR_{50}$값, 811 ${\mu}g\;g^{-1}$), 유카(Yucca recurvifolia; $GR_{50}$값, 857 ${\mu}g\;g^{-1}$),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GR_{50}$값, 778 ${\mu}g\;g^{-1}$)의 순으로 전체 식물종의 9.0%에 해당하는 5종이었다. 중정도의 살초활성(1,000 ${\mu}g\;g^{-1}$ < $GR_{50}$값 < 2,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28종이었으며, 살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식물은 23종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살초활성이 검정된 국내의 자생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살초활성물질은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II))

  • 김성문;김미성;이유선;김희연;최해진;허수정;권순배;김경희;한상섭;임상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18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38과 81종 시료로부터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에 대한 살초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81종 시료 중 높은 살초활성($GR_{50}$ 값 < 1,000 ${\mu}g\;g^{-1}$) 을 나타낸 식물은 곤드레(Cirsium setidens),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 남오미자(Kadsura japonica DUNAL), 살갈퀴(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K. KOCH),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Sieb. et ZUCC.), 암대극 (Euphorbia jolkini BOISS.), 얇은잎고광나무(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et MAXIM.), 조구나무(Sapium sebiferum), 좁은잎참빗살나무(Euonymus maackii RUPR.),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함박꽃(Paeonia aliflora Pall var. tricocarpa BUNGE)이었다. 자생식물 81종 중 50종 식물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1,000 ${\mu}g\;g^{-1}$ < $GR_{50}$ 값 < 2,000 ${\mu}g\;g^{-1}$), 20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초활성이 검정된 국내의 자생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살초활성물질은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2,3-dihydro-2,2-dimethylbenzothiophene-7-yl)-2-(1-(alkoxyimino)butyl)-3-hydroxy-2-cyclohexene-1-one 유도체의 구조와 살초활성 관계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on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5-(2,3-dihydro-2,2-dimethylbenzothiophene-7-yl)-2-(1-(alkoxyimino)butyl)-3-hydroxy-2-cyclohexene-1-one derivatives)

  • 성낙도;송종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9-71
    • /
    • 2000
  • 5-(2,3-dihydro-2,2-dimethylbenzothiophene-7-yl)-2-(1-(alkoxyimino)butyl)-3-hydroxy-2-cyclohexene-1-one 유도체중 azomethine 질소 원자상 alkoxy (RO)-기들이 변화함에 따른 논과 밭 조건에서 살초활성을 측정하고 기질분자(S)의 구조와 살초 활성과의 관계 (SAR)를 검토하였다. 특히, i-propoxy-치환체, 5는 4kg/ha의 농도에서 발아전에 벼(Oryza sativa)에는 아무런 살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논피 (Echinochloa crus-galli)에만 살초효과가 보이는 선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R분석 결과, 살초활성은 전자효과 (${\sigma}^*$)가 소수성 (logp)보다 2:1의 비율로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이 같은 근거에 따라 alkoxy-기는 강한 전자밀게 (${\sigma}^*<0$)이고 소수성이 큰 (logp>0) alkyl기로 대체되어야 살초활성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살초활성 탐색 (Screening of Korean Native Plant Extracts for Herbicidal Activities)

  • 박예원;장준혁;김건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2-8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자원식물들의 살초활성을 조사하여 식물생장억제물질을 활용한 환경친화형 제초제 개발에 요구되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자생 식물 101종을 식물체 부위별로 나누어 MeOH로 추출하여 획득된 시료 129점에 대해 돌피(Echinocholoa crus-galli P.B. var. formosensis Ohwi)를 이용한 살초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소량의 methanol로 녹여 직경 5.5cm petri dish 상의 Whatman No. 2 여지에 균일하게 흡착시킨 후, fume hood 내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1mL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돌피 종자를 15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8^{\circ}C$, 5,000lux의 growth chamber에 치상하고, 7일 후 시험구 당 균일하게 자란 10개의 유묘를 선발해 초장 및 근장을 조사하였으며, 살초활성 평가를 위해 대조구 개체의 초장과 근장에 대한 생장억제율을 산출하였다. $1,000{\mu}g/mL$ 농도에서 101종 129점 MeOH 추출물들의 돌피 유묘 뿌리 생장에 대한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80% 이상을 나타낸 식물 시료는 가죽나무 줄기, 누린내풀 지상부, 단풍취 뿌리, 두릅나무 지상부, 백양꽃 전초, 백양꽃 지하부, 병조희풀 경엽부, 산사나무 잎 가지, 삽주 뿌리, 상사화 전초, 상사화 지하부, 석산 뿌리, 애기송이풀 전초 등 17점이었다. 이들 중 90% 이상 고활성을 나타낸 단풍취 뿌리, 두릅나무 지상부, 백양꽃 전초, 상사화 지하부, 석산 뿌리 유래의 추출물에는 새로운 환경친화형 제초제 개발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는 살초활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

  • 김희연;최해진;임상현;허수정;한상섭;김도순;황기환;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8-25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73과(科) 200종(種) 시료로부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 (Brassica napus L.) 에 대한 살초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200종 식물 중 6종 식물 -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등나무(Wistaria floribunda), 산마늘(Allium victorialis), 소리쟁이(Rumex crispus),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참느릅 나무 (Ulmus parvifolia)는 높은 살초활성을 나타내었고 ($GR_{50}$ 값, < $1,000{\mu}g\;g^{-1}$), 17종 식물 - 갈퀴덩굴(Galium spurium), 느티나무(Zelkova serrata), 능소화(Campsis gradiflora), 두충(Eucommia ulmoides), 마가목(Sorbus commixta.), 물참대(Deutzia glabrata),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산오리(Alnus hirsuta),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죽단화(Kerria japonica),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편백(Chamaecyparis obtusa),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GR_{50}$ 값, $1,000-2,000{\mu}g\;g^{-1}$), 나머지 177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높은 살초활성을 나타낸 식물로부터 분리되는 천연활성물질들은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 제공, 상호대립억제 작용성을 갖는 작물 품종 개발 혹은 개량에의 활용, 그리고 친환경 유기농업용 잡초방제에의 활용이 기대된다.

진노랑상사화 인경으로부터 살초활성 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 from Bulbs of Lycoris chinensis var. sinuolata K.H.Tae & S.T.Ko)

  • 장호진;김건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7-444
    • /
    • 2010
  • 본 연구는 진노랑상사화 인경에 함유된 allelochemical의 살초활성을 조사하고, 활성 발현에 관련된 살초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Silica gel flash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 일련의 크로마토그래피법들을 통해 진노랑상사화 인경의 MeOH 추출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HPLC에 의해 최종 획득된 활성분획에 대한 GC/MS 분석결과, isoquinoline alkaloid인 montanine($O^2$-methyl pancracine)이 동정되었다. Montanine은 $50{\mu}g\;mL^{-1}$ 농도에서 돌피 유묘의 생장을 100%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 물질 Chrysophanic acid의 제초 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 Chrysophanic Acid)

  • 장현우;서보람;황현진;김재덕;김진석;김성문;전재철;최정섭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3-152
    • /
    • 2010
  • 살초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 물질 chrysophanic acid에 대하여 온실조건 하에서 살초 특성을 조사하고, 다른 천연 제초활성 물질과의 합제 처리를 통한 살초 작용성 증진 평가를 통해 천연물 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Chrysophanic acid는 토양처리 살초 효과는 없었고 경엽처리 효과만 나타내었으며, 바랭이에 대한 생육시기별 살초력은 파종 7~14일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작물에 대한 약해는 토양처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엽처리에서는 아주 심하게 나타나 작물 선택성은 없었다. Caryophyllene oxide와의 합제처리에서는 고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어 chrysophanic acid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상적인 조합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2원 또는 3원 합제를 통한 보다 광범위하고 고활성의 천연 제초활성 물질을 발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chrysophanic acid는 광엽 및 화본과 초종에 관계없이 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형기술 개발을 통해 고활성, 비선택성 천연물 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잔디밭 잡초 바랭이와 민들레 방제를 위한 살초활성 약용식물의 탐색 (Screening for Herbicidal Medicinal Plants against Digitaria Sanguinalis and Taraxacum Platycarpum in Turf)

  • 김대호;강재영;김인섭;전민구;이재득;김익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잔디밭 문제 잡초인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와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에 대한 약용식물 추출물 23종의 살초활성을 조사하였다. 페트리디쉬 검정에서 효과가 나타난 약용식물 추출물을 선발하여 포트에서 발아전 처리를 하였으며, 그 결과 바랭이에서는 울금(61%)과 천궁(62.5%) 추출물에서 발아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민들레에서는 가죽나무(77.8%) 추출물에서 발아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경엽처리에서는 두 초종 모두 가죽나무 추출물에서 살초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핵산 분해효소로서 몇 가지 유기금속 화합물들의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me organometalic compounds as artificial nuclease)

  • 성낙도;김대황;권병목;김태영;서일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37
    • /
    • 2000
  • 인공핵산 분해효소로서 일련의 3,6-bis(6'-methyl-2'-pyridyl)pyridazine, ($L^{1}$)과 3,6-bis-(2'-pyridyl)pyridazine, ($L^{2}$)을 리간드로 한 몇가지 전이금속 착화합물, $1{\sim}8$을 합성하여 X-ray 결정구조를 확인한 다음, 핵산 모델 화합물과의 가수분해 반응성을 위시하여 논잡초에 대한 살초활성과 식물성 병원균에 대한 살균활성 등을 각각 검토하였다. 그 결과, $L^{2}$-Zn 착물, 8이 무촉매시 보다 빠른 가수분해 반응성을 나타내었으며, 살초활성에서는 $L^{2}$-Ni(II) 및 Co(II) 착물인 5와 6이 벼 (ORY, Oryzar sativa L.)에 대한 선택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올챙이고랭이(SCP, Scriptus juncoids)에 높은 살초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살균활성에서는 $L^{1}$-Co(II) 및 Zn(II) 착물인 2와 4를 위시하여 특히, $L^{1}$$L^{2}$가 도열병균 MAG (Magnaporthe grisea)에 대하여 90%이상의 살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