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후운동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압력 생체 되먹임 훈련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 운동이 산후 여성에서 통증, 배가로근 수행력, 요통장애지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출산 후 1년 미만의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Effects of Abdominal Drawing-in using Pressure Biofeedback Training on Pain, Performance of Transverse Abdominis,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Women: Targeted at Women in their 30s Less than One Year Postpartum)

  • 송형봉;박근홍;김은비;김태원;박성두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3
    • /
    • 202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performed after abdominal drawing exercise using pressure biofeedback for 8 weeks on pain level, performance of transverse abdominis, back pain disability index,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in their 30s less than one year after giving birth. Methods: A total of 20 wom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less than one year after giving bir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was subjected to abdominal drawing exercise befor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abdominal drawing exercise using pressure biofeedback befor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hri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quadruple visual analog scale (QVAS), the performance of transverse abdominis,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KDOI), the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IFSAC), and the Short Form-12 item (SF-12)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Except for the Physical Components Summary Scale of SF-12,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QVAS, performance of Transverse abdominis , KDOI, and Mental Components Summary Scale of SF-1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elective deep muscle activation through abdominal drawing exercises using pressure biofeedback can help rehabilitation for women after postpartum.

  • PDF

뇌성마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ies of Cerebral Palsy)

  • 강원식;전경훈;손병희;김성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512-518
    • /
    • 2002
  • 목 적: 저자들은 뇌성마비의 임상양상과 원인인자를 관찰함으로써 본질환의 원활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발달 지연이나 자세이상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뇌성마비로 진단 받고 부설 소아물리치료실에서 추적 관찰한 10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뇌성마비 환아의 생리적 분류와 고위험요인 및 뇌단층 또는 뇌자기공명영상의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103명의 환아들 중 남아가 64명, 여아가 39명이었다. 2) 뇌성마비 환아들 중 미숙아 출생이 59명, 만삭아 출생이 44명이었다. 3) 대상 환아 103명의 생리적 국소학적 분류에서는 경직성 반신마비가 55례(53.4%)로 가장 많았다. 4) 대상 환아의 위험인자로 산전인자는 전치태반 1례(0.9%), 태반조기박리 1례(0.9%),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1례(0.9%)였다. 주산기 인자는 미숙아 출생이 59례(52.2%), 신생아 가사 12례(10.6%), 난산 2례(1.7%), 다태임신 5례(5.5%), 둔위분만 1례(0.9%)였다. 산후인자는 두부 외상 3례(2.7%), 뇌막염 2례(1.8%)였으며, 총 103명의 환아들 중 원인을 모르는 경우도 26례(23%)였다. 5) 대상 환아의 뇌단층촬영 및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미숙아군 59례 중 55례에서 관찰한 결과 37례(62.7%)에서 뇌실주위연화증이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도 6례(10.2%)였다. 만삭아군은 44례 중 33례에서 관찰한 결과 뇌위축이 15례(41.7%)로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도 6례(13.6%)였다. 6) 대상 환아 103명 중 29례(28.2%)에서 경련을 동반하였다. 결 론: 최근의 뇌성마비 원인인자와 임상양상 등 그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