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화-환원특성

Search Result 68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AM and AEM Oxides Behavior in a SF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사용후핵연료 전기환원 공정에서의 알카리, 알카리토 금속 산화물들의 거동 분석)

  • 박병흥;강대승;서중석;박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68-277
    • /
    • 2004
  • process (ACP),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high heat-generating alkali and alkali earth oxides in molten salt were measured and the behavior of those elements were analyzed. The reduction potentials of Cs, Sr, and Ba in a molten LiCl-$Li_2O$ system were more cathodic than that of Li and closely located one another.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alkali and alkali earth would not hinder the reaction mechanism which is via lithium reduction. Alkali and alkali earth metals are likely to recycle into molten salt when the process is operated beyond metal reduction potentials and the effect of electric current on the mass transport is also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molten salt phase at different current conditions.

  • PDF

Characteristics of Three-Component Carbonate Electrolytes in Terms of Oxygen Reduction and NiO Dissolution (산소환원 및 산화니켈의 용해거동으로부터 본 삼원계 탄산염 전해질의 특성)

  • Lee, C.G.;Taniguchi, T.;Uchida, I.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6 no.3
    • /
    • pp.178-182
    • /
    • 2003
  • The oxygen reduction and NiO dissolution behaviors in Li-Na-K three component carbonate melts have been investigated with various compositions through electrochemical and chemical ways. The oxygen reduction currents and NiO solubilities were measured at $650^{\circ}C$ and atmospheric condition in Li-Na-K =47.4-32.6-20, 60-20-20, 50-40-10, $40-40-20 mol\%$ carbonate melts. The oxygen reduction currents showed dependence on the composition, indicating oxygen solubility is a function of carbonate composition. At the composition of $ Li-Na-K=50-40-10 mol%$, a broader peak was observed, suggesting different oxygen reduction mechanism probably prevails in this composition. In contrast, insignificant differences of NiO solubility were obtained among the compositions.

Characterization on corrosion damage of nickel alloy for nuclear energy instrument by chemical decontamination solution (원전기기용 니켈합금강의 화학제염용액에 따른 부식손상 특성 규명)

  • Park, Il-Cho;Yang, Ye-Jin;Jeong, Gwang-Hu;Lee, Jeong-Hyeong;Han, Min-S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5-135
    • /
    • 2017
  • 제염기술은 원자력발전소의 순환계통장치 및 기기류의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 원전의 설계 수명 및 유지보수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작업 전 작업자의 방사선 피사량을 극소화하기 위한 제염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제염 방법에는 크게 기계적 제염과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화학제염이 있다. 그 중 화학제염은 복잡한 구조의 제염 대상물에 대한 큰 효과 및 간단한 공정 때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제염 시 방사성 산화물과 오염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강산 또는 강알칼리의 화학용액이 사용된다. 강한 화학약품을 사용함으로써 큰 제염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금속 재료의 부식에 대한 구동력도 커지게 된다. 금속 재료의 경우, 강한 부식성 환경에서 공식(pitting corrosion) 및 입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형태의 손상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제염공정 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에 대한 재료의 건전성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전기기용 재료인 니켈합금강 Inconel600의 화학제염 시 시험공정 3가지에 대한 부식손상 특성을 규명하였다. 산화공정은 $HMnO_4$ 실험용액을 공통으로 사용하였으며, 산화공정 종료 후 환원공정은 각 시험공정에 따라 환원공정 1은 2000ppm $H_2C_2O_4$, 환원공정 2는 1500ppm $H_2C_2O_4$ + 500ppm $H_8C_6O_7$, 그리고 환원공정 3은 3000ppm $H_2C_2O_4$ 실험용액을 각각 투입하여 수행하였다. 산화, 환원공정을 1Cycle로 하여 온도 $75^{\circ}C$로 유지된 용액에 각 2시간씩 침적하였다. 각 시험공정 별로 총 5Cycle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공정 Cycle종료 후 시험편을 취외하여 무게감량측정,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분석, 3D현미경분석 그리고 타펠분극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니켈합금 Inconel600에 대한 화학제염 시 시험공정에 따른 부식특성을 규명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Nano-Sized ZnO Powder by Utrasonic Spray Combustion Synthesis (초음파 분무연소 합성법에 의한 나노크기 ZnO 분말의 제조)

  • 이상원;천승호;공현식;전병세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6-126
    • /
    • 2003
  • 산화아연은 높은 열전도도와 열용량을 갖으며, 결정 부피의 44%만이 아연 및 산소 이온으로 채워져 있어 결함의 생성이 다양하여 여러 가지 전기적, 광전기적, 촉매 특성등을 부여할 수 있어 산업전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분무 연소합성법을 이용하여 Zinc nitrate hexahydrate를 산화제로, Carbohydrazide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연소합성을 위한 에너지를 최대희 얻기 위해 산화수와 환원수의 비율이 1:1이 되게 조절하여 전구체의 산화ㆍ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액적의 체류시간, 농도, 온도, filtering 효과등을 조절하면서 액적 단위로 연소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부가적인 하소과정이 필요없이 상전이가 완료된 구형의 나노크기 ZnO 분말을 in-situ로 제조하여 입자의 크기와 형 태, 결정상등을 분석하였다.

  • PDF

환원확산법을 이용한 영구자석제조용 Nd-Fe-B계 미세분말 제조

  • 전동민;최영석;노재철;윤대호;서수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Conference
    • /
    • 1997.10a
    • /
    • pp.63-67
    • /
    • 1997
  • 환원확산법은 저렴한 Nd 산화물을 환원제를 이용하여 환원시키고 환원된 Nd가 Fe, FeB와 확산하여 주상인 Nd$_2$Fe14B가 만들어지는 공정으로 환원제로 사용된 CaO나 미반응 Ca 및 잔존 산소함량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아직까지는 상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원확산법을 이용하여 Nd-Fe-B계 영구자석에 사용될 미세분말을 제조하고 그 자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 PDF

Electrochemical Studies on Some Substituted Thiadiazoles (몇 가지 치환 Thiadiazole에 대한 전기화학적 연구)

  • El Maghraby, A. A.;Abou-Elenien, G. M.;Abdel-Reheem, N. A.;Abdel-Tawab, H. R.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0 no.4
    • /
    • pp.307-314
    • /
    • 2006
  • The redox characteristics of 2-ketohydrazono-3-phenyl-5-substituted-2,3-dihydro-1,3,4-thiadiazoles and its derivatives (1a-h) has been investigated in nonaqueous solvents such as 1,2-dichloroethane (DCE), dichloromethane (DCM), acetonitrile (AN), tetrahydrofuran (THF), and dimethylsulfoxide (DMSO) containing 0.1 mol.dm-3 tetra n-butylammonium perchlorate (TBAP) as supporting electrolyte at platinum ectrode. Through controlled potential electrolysis, the oxidation and reduction products of the investigated compounds can be separated and indentified. The redox mechanism is suggested and proved. It was found that all the investigated compounds are oxidized in two irreversible one-electron processes following the well known pattern of EC-mechanism. On the other hand, these compounds are reduced in a single two electron or in a successive two one electron processes following the well known pattern of EEC-mechanism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ubstituent

Carbon nanofiber and metal oxide composites for photovoltaic cells

  • O, Dong-Hyeon;Gu, Bon-Yul;Bae, Ju-Won;An,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412-412
    • /
    • 2016
  •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는 식물의 광합성원리와 매우 유사한 작동원리를 갖고 있는 전지이며, 간단한 구조, 저렴한 제조단가, 친환경성 등의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빛을 받아들인 염료분자가 전자-홀 쌍을 생성하며 전자는 반도체 산화물을 통해 이동되고 전해질의 산화환원 과정을 통해 염료 분자가 다시 환원되는 순환메커니즘을 따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밴드 갭 에너지가 큰 반도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작업전극,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자를 염료로 보내는 전해질, 환원 촉매역할을 하는 상대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대전극으로는 우수한 촉매특성과 높은 전도성을 갖는 백금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고 요오드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용화에 큰 장애물이다. 따라서, 백금을 대체하기 위해 저가의 탄소나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그 중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fiber, CNFs)는 높은 표면적과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으로 촉매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촉매물질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전극에 탄소나노섬유기반 복합체를 합성하였고, 성공적으로 저가격 및 고성능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이때, 지지체인 탄소나노섬유는 전기방사법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금속산화물을 담지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탄소나노섬유-Fe2O3 복합체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그리고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통해 구조적,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전기화학적 특성 및 광전변환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cyclic voltammetr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그리고 solar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본 학회에서 위와 관련된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PDF

Redox Property of Self-Assembled Viologen Monolayers with Various Concentration using QCM (수정진동자를 이용한 Viologen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농도변화에 의한 전하이동 특성 연구)

  • Park, Sang-Hyun;Lee, Dong-Yun;Kang, Hye-Young;Park, Jae-Chul;Kwon, Yo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63-6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광에너지를 화학적인 에너지로 변환할 때, 디바이스의 전하전달 매개를 위한 electron transfer mediator로서 널리 이용되는 Viologen이 자기조립화된 수정진동자률 전기화학법의 하나인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을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 (redox reaction) 특성과 주사속도와 피크전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수정진동자를 친수 처리한 후, 메탄올 용액과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섞은 용매에 Viologen 분자를 자기조립 (self-assembly)하여, 전해질 용액의 농도 변화에 따른 산화 환원반응 특성과 피크전류의 값을 측정하였다 주사 속도를 2 배씩 증가하여 피크전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선형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가역적인 반응(reversible reaction)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화 환원 반응과 동시에 측정된 수정진동자의 공진 주파수(resonant frequency) 변화로부터 전하이동(charge transfer) 특성에 의해 반응에 참가한 이온의 질량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heat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aekseolgi made with arrowroot flour (열처리가 칡가루 및 이를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영향)

  • Yeom, Juhee;Surh, Jeonghe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1
    • /
    • pp.83-91
    • /
    • 2018
  • Baekseolgi made with arrowroot flour (AF, 0 to 15% of rice flour) was steamed to examine the effect of heating on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Despite the presence of abundant dietary fiber and superior water-holding capacity of AF, moisture in baekseolgi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could partly be attributed to AF having 50% less moisture content than rice flour. Hence, hardness of baekseolgi was also not significantly altered. Total reducing capacity and flavonoid content of baekseolgi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increase in AF addition. However, these values were lower than the predicted values calculated fro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eated AF, which was more apparent in total reducing capacity. This indicated that the stability of non-phenolic reducing compounds in AF was lower than that of the phenolic compounds. Thermally processed baekseolgi made with 9% AF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without noticeable loss in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rm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utilization of M-ferrite (M=Co,Ni,Mn) (M-ferrite를 이용한 열화학적 수소제조 (M=Co,Ni,Mn))

  • Cho Mi-Sun;Kim Woo-Jin;Woo Sung-Woong;Park Chu-Sik;Kang Kyoung-Soo;Choi Sang-Il
    • New & Renewable Energy
    • /
    • v.2 no.2 s.6
    • /
    • pp.69-74
    • /
    • 2006
  • 본 연구는 페라이트의 Fe 양이온 일부를 Ni, Mn, Co등으로 치환하여 M-ferrite를 제조하여 열화학적 2단계 물 분해 반응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고, XRD, SEM, GC등의 분석으로 각 금속산화물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M-ferrites 는 고상법으로 제조하였다. 각각의 M-ferrite에 대한 열적환원은 1573K 에서 진행하였고 물 분해 반응은 1273K 에서 실시하였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가스는 전량 포집하여 GC를 통해 분석하였다. 반응 전후의 시료에 대하여 SEM, XRD를 분석하여 GC결과와 함께 금속산화물의 산화환원반응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서 물 분해 반응 후 M-ferrite (M=Co, Ni, Mn)의 생성을 XRD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고, 물 분해 반응과의 비교결과 격자상수의 증대가 M-ferrite내의 산소의 환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EM결과에서는 4cycle의 물 분해 반응 후 Mn-ferrite의 심한 sintering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