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화환원전위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155 seconds

Correlation between Redox Potential and State Variables in Batch Cultures for Ornithine Production. (오르니틴 생산을 위한 회분식 배양에서 산화환원전위와 상태변수들간의 상관관계)

  • 이태호;나정걸;장용근;정봉현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26 no.2
    • /
    • pp.167-172
    • /
    • 1998
  • In batch cultures of Brevibacterium ketoglutamicum for the L-ornithine production in which the pH and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were regulated constant, the profiles of redox potential were observed in parallel with the profiles of state variables such as cell, glucose, and ornithine concentrations. It was found that the redox potential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cell concentration and was also affected by ornithine concentration. The effects of ornithine and glucose on redox potential were examined in a separate series of experiment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 correlation of redox potential to glucose, cell and ornithine concentrations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correlation can be used for on-line estimation of ornithine concentration from on-line data of redox potential, glucose concentration, and cell concentr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of Phosphorus and Redox Potential in an Experimental Paddy Field (필지논에서의 인(P) 과 산화환원전위(Eh)의 변화 특성)

  • Kim, Young-Hyeon;Kim, Jin-Soo;Ja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02-607
    • /
    • 2009
  • 논에서 수질변화특성에 관한 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하다. 영양물질의 농도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농활동에 따른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다양한 측정 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논에서 토양의 산화환원에 관한 연구 자료는 많지 않기 때문에 그의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대학교 부속농장 필지논에서 2008년 영농기간을 중심으로 논에서의 영양물질인 총인(TP), 인산성 인($PO_4-P$) 및 산화환원전위(Eh)의 변화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논으로부터의 영양물질 유출제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08년 6월부터 10월까지 필지논에서 논 표면수의 TP 와 $PO_4-P$의 농도변화와 토양의 산화환원전위(Eh)와의 관계 특성을 파악하였다. 관개기의 논에서 인은 분얼비 시기에 인성분이 시비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분얼비 직후와 분얼비 1주일 후에 TP농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담수의 영향으로 논이 환원상태로 되어, 논바닥에 침전된 철이온에 흡착되어 있던 인이 철이온의 환원으로 함께 용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산화환원전위(Eh)는 높아지면 산화경향을, 낮아지면 환원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기간 동안의 산화환원전위(Eh) 값은 비 관개기에 $201^{\sim}405$ mV로 높게 나타났고, 관개기에는 $93^{\sim}195$ mV로 낮게 나타났다. 필지논 표면수의 인농도는 분얼비 직후 1주일후까지 TP 와 $PO_4-P$ 농도는 같이 상승하다가 TP농도는 약 2주일까지 더 상승하여 2008년 최대값을 나타냈고 $PO_4-P$농도는 하강하였는데 이는 논 토양이 환원상태로 되면서 바닥에 있던 입자성 인이 논 표면으로 떠올랐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 후에 담수가 끝나는 시점까지 농도는 낮아졌다. 강우량이 적은 관개초기에 인의 농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강우량이 많은 여름에는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물질 섭취 등으로 인농도가 낮게 나타나 논은 인의 유출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인의 유출특성 및 산화환원전위(Eh)의 변화에 따른 논에서의 유출부하 특성이 규명된다면, 환경부하가 적은 효과적인 물관리가 가능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Ponded Water on Variation of Redox Potential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in a Paddy Field (논에서 담수가 토양 산화.환원전위 변화와 인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Hyeon;Kim, Jin-Soo;Ja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61-16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대학교 부속농장에서 2009년 영농기간을 중심으로 담수된 논에서의 산화환원전위(Eh)의 변화와 시비에 따라 영양물질인 인(P)의 농도변화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논으로 부터의 인의 유출제어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09년 5월부터 11월까지 논에서 담수의 총인(T-P)과 인산염 인($PO_4$-P)의 농도변화와 토양의 산화환원전위(Eh)와의 관계 특성을 파악하였다. 관개기의 논에서 인은 분얼비 시기에 인성분이 시비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T-P농도가 0.68 mg/L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담수의 영향으로 논이 환원상태로 되어, 논바닥에 침전된 철이온에 흡착되어 있던 인이 철이온의 환원으로 함께 용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높은 Eh는 산화경향을, 낮은 Eh는 환원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기간 동안의 Eh 값은 연속적으로 담수되었던 7월 중순까지는 74~112 mV 가량 나타냈고, 그 이후에는 담수상태가 아닌 경우가 많아 179~636 mV로 높게 나타났다. 논 담수의 T-P와 $PO_4$-P 농도는 분얼비 직후 1주일후까지 같이 상승하다가 T-P농도는 약 2주일까지 더 상승한 반면 $PO_4$-P 농도는 하강하였는데 이는 논 토양이 환원상태로 되면서 바닥에 있던 입자성 인이 논 표면으로 떠올랐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 후에는 담수가 끝나는 시점까지인 농도는 낮아졌다. 관개초기에 인의 농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7월 이후로는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물질 섭취 등으로 인 농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7월 이후의 논은 인의 유출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논 담수위의 증감에 따른 $PO_4$-P 농도와 Eh 값을 회귀분석 한 결과 각각 정의 상관관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논 담수 및 시비에 따른 인의 유출부하 특성과 산화환원전위(Eh)의 변화 특성이 규명된다면, 향후 환경부하가 작은 물관리가 가능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dox control in break-point chlorination of ammonia (산화환원전위제어법에 의한 수도원수의 불연결점 염소처리)

  • 하성룡;제등방정
    • Water for future
    • /
    • v.23 no.3
    • /
    • pp.363-371
    • /
    • 1990
  • Foundational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redox control in brak-point chlorination of ammonia on drinking water purification. Through the research, the behauial affects by ph and temperature to a chloromine forming reactions are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redox control in breakpoint chlorination is recoguized by drawing up the titration curve in terms of redox potential and $C{\ell}_2$/N ratios.

  • PDF

Changes of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Groundwater by the Biogeochemical Activity of Indigenous Bacteria (토착미생물의 생지화학적 활동에 의한 지하수의 산화/환원전위 변화 특성)

  • Lee, Seung Yeop;Roh, Yul;Jeong, Jong Ta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1
    • /
    • pp.61-69
    • /
    • 2014
  • As we are trying to in-situ treat (purify or immobilize) heavy metals or radionuclides in groundwater, one of the geochemical factors to be necessarily considered is the value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of the groundwater. A biogeochemical impact on the characteristic ORP change of groundwater taken from the KAERI underground was observed as a function of time by adding electron-donor (lactate), electron-acceptor (sulfate), and indigenous bacteria in a laboratory condition. There was a slight increase of Eh (slow oxidation) of the pure groundwater with time under a $N_2$-filled glove-box. However, most of groundwaters that contained lactate, sulfate or bacteria showed Eh decrease (reduction)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hen 'Baculatum', a local indigenous sulfate-reducing bacterium, was injected into the KAERI groundwater, it turned to become a highly-reduced one having a decreased Eh to around -500 mV. Although the sulfate-reducing bacterium thus has much greater ability to reduce groundwater than other metal-reducing bacteria, it surely necessitated some dissolved ferrous-sulfate and finally generated sulfide minerals (e.g., mackinawite), which made a prediction for subsequent reactions difficult. As a result, the ORP of groundwater was largely affected even by a slight injection of nutrient without bacteria, indicating that oxidation state, solubility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contaminants, which are affected by the ORP, could be changed and controlled through in-situ biostimulation method.

Seasonal Variation of Redox Potential in Jinkwannaedong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진관내동 생태계보전지역에서 산화환원전위(Redox Potentia)의 월별 변화)

  • Kim, Jae-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2
    • /
    • pp.65-71
    • /
    • 2004
  •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f excess water in wetlands is the isolation of the soil from the atmosphere and the prevention of O2 from diffusing into soil. The blockage of atmospheric O2 induces biological and chemical processes that change soil from oxidized into reduced state. When dry soil develop into hydric soil, redox potential is dropping. The redox potential is a indicator of hydric soil and affect chemical function of wetlands.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wetland soil, redox potential was measured in Jinkwannaedong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from May in 2003 to March in 2004. Redox potentials in May ranged from 5 mV at 25 cm depth to 200 mV at 10 cm depth. It decreased to about -200 m V at all depths and continued until October. In winter, redox potential was slowly increased; it was the highest at 5 cm depth and lowest at 20 cm depth. Annual variations of redox potential in 20 cm depth showed the same pattern at 5 sites; low in growing season and high in non-growing season. This results indicates that soils of study sites are in hydric state and methanogenesis is occurring in Jinkwannaedong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 PDF

울산광산 내 비소로 오염된 광미의 자연저감 능력에 대한 pH와 산화-환원 전위 영향

  • Park Maeng-Eon;Seong Gyu-Yeol;Lee Pyeong-Gu;Kim Pil-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182-185
    • /
    • 2005
  • 울산광산 내 지표수와 토양 중의 공극수에 함유되어 있는 비소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 pH와 산화-환원 전위 값의 변화에 따른 자연저감 능력을 평가하였다. 유비철석을 비롯한 비소함유 광물은 높은 산화-환원 전위 값과 낮은 pH 조건에서 해리되며, 이후 지하수의 진화과정에서 pH가 상승함에 따라 주로 5가의 비소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울산광산지역 지하수의 비소농도는 Eh가 높은 비포화대와 포화대 지하수의 경계부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며, 포화대의 상부에서는 Eh가 비교적 일정하나 비소 농도는 다양한 분포양상을 보인다. 포화대 하부에서 비소의 함량은 매우 낮으며, Eh 감소에 따라 비소 함량이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반응경로 과정에서 비소농도는 Eh<-0.1(V)인 지하수 포화대에서 가장 낮으며, pH가 상대적으로 낮고 산화-환원 전위값이 높은 비포화대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다. 풍화 반응 정도가 높은 광미와 토양에서 비소농도 높으나, 용출실험에서 비소가 기준치 이하로 용출되는 것은 풍화반응과 토양에 의한 비소의 자연저감이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RMB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능력 평가 실내실험에서, 산성과 알칼리 조건 모두에서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회석과 철산화물질로 구성된 RMB는 친환경적이고 2차 오염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물질로서, 비소의 자연저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화처리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imchi (Part 3)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during Kimchi Fermentation- (김치 성분에 관한 연구 (제 3 보) -동치미의 산화환원 전위에 대하여-)

  • Chung, Dong-Hy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 no.2
    • /
    • pp.34-37
    • /
    • 1970
  • The variation of acidity, pH and oxidation-reduction potentials of Dongchimi (a kind of large raddish pickle) during its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Estimation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s was carried out by the electric method. 1. Acidity was increased-3.5% by lactic acid and pH was decreased 3.4 during Dongchimi fermentation. 2. In Dongchimi, oxidation-reduction potentials was comparatively high (rH above 10) in the earlier stage and then decreased rapidly from rH 15 to 2.0 but slightly increased rH 5.0 in the later stage of the fermentation. 3. It is suggested that the earlier stage of fermentation was more aerobic condition than the later stage.

  • PDF

LiCl 용융염 전해환원 공정 희토류원소 산화물의 화학적 거동

  • Park, Byeong-Heung;Choe, In-Gyu;Jeong, Myeong-Su;Heo, Jin-M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46-346
    • /
    • 2009
  • 산화물 형태 사용후핵연료의 효율적 처분 혹은 재활용을 위한 연구 가운데, 고온의 LiCl 용융염 중에서 전해환원하여 금속으로 환원시킨 후, 환원된 금속을 고온의 LiCl-KCl 용융염에서 전해정련하는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해환원을 위해 일정 농도 $Li_2O$가 LiCl 용융염에 첨가되며 $Li_2O$ 농도가 높으면 반응 재질의 부식성이 크게 증가하므로 일반적으로 우라늄 산화물은 1wt% 이하의 $Li_2O$ 농도에서 전해환원 된다. 우라늄 산화물의 전해환원 전위는 $Li_2O$의 전해환원 전위 보다 표준 상태를 기준으로 공정온도인 650 $^{\circ}C$ 에서 약 70 mV 정도 낮기 때문에 전해환원 과정에서 $Li_2O$ 의 환원으로 Li 금속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우라늄 산화물은 대부분 직접 전해환원 되지만 일부 Li에 의해 화학적으로 환원되기도 한다. 전해환원 공정에서 환원되지 않은 희토류 산화물은 전해정련 공정에서 $UCl_3$와 반응하여 $UO_2$를 생성시켜 공정 효율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전해환원 공정에서 가능하연 최대한 희토류 산화물을 금속으로 환원시키는 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 우선 전해환원 공정에서 희토류 산화물의 화학적 거동의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열역학적 검토를 통하여 희토류 산화물의 환원 조건을 조사한 결과 희토류 산화물은 매운 낮은 $Li_2O$ 농도에서 Li에 의해 환원되고, 1wt% 이하의 $Li_2O$ 농도에서는 Sc와 Lu의 산화물이 $Li_2O$와 복합산화물을 형성하고 이들 복합산화물은 Li에 의해 환원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토류 원소 별로 희토류 원소 산화물의 Li에 의한 환원 조건으로서 평형상태에서의 $Li_2O$ 농도 즉 환원 임계 $Li_2O$ 농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였으며 1wt% $Li_2O$ 농도 이하에서 열역학적 해석과 동일하게 Sc와 Lu만이 복합산화물을 형성하여 Li에 의해 직접환원 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Change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Solution by Metal-Reducing Bacteria and Roles of Biosynthesized Mackinawite (금속환원미생물에 의한 수용액의 산화/환원전위 변화 및 생합성 맥키나와이트의 역할)

  • Lee, Seung-Yeop;Oh, Jong-Min;Baik, Min-Hoon;Lee, Yong-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4
    • /
    • pp.279-287
    • /
    • 2011
  • In order to identify if bacteria surviving in soils and groundwater can change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groundwater, Eh values of solution that contained bacteria were measured for 2 weeks. The Eh values of the solution reacted with sulfate-reducing bacteria decreased from -120 mV to -500 mV in 5 days, and $Desulfuricans$ was superior to $Vulgaris$ in reducing the solution. The Eh value was relatively higher for the solution containing $Shewanella$, iron-reducing bacteria, showing -400 mV. During the Eh decrease by the metal-reducing bacteria, a sulfide mineral such as mackinawite (FeS) started precipitating through the microbial reducing process for sulfate and ferric ir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ORP of natrual groundwater may be sensitive to the geomicrobial respiration. In addition, a subsurface environment where groundwater is highly reduced and sulfide minerals are largely biogenerated may be a good place to retard the migration of oxidized radionu-clides by making them precipitated as reduced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