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화작용

Search Result 1,28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Nitric Oxide and Embryo Development (산화질소와 수정란 발생)

  • Lim, J.M.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4 no.4
    • /
    • pp.335-338
    • /
    • 2000
  • 산소와 질소의 단순 화합물질인 산화질소 (nitric oxide) 는 생체내의 다양한 작용을 야기하는 시그날 물질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의 작용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저자는 수정란 대사에 미치는 산화질소 작용규명이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소개하였으며 본 물질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를 설명하였다. 일련의 실험결과 산화질소는 수정란의 초기발생 저해인자로 작용하며 수정란 배양 중의 산화질소작용 억제에 의하여 배반포 발생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참고로 본 논문내용은 Mol. Reprod. Dev. (1998), Theriogenology (1999) 및 Fertil. Steril. (in press)에 개재된 연구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 PDF

청양광산 폐광석의 산화작용 연구를 이용한 자연 고정화 가능성 평가

  • 이평구;강민주;박성원;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2-136
    • /
    • 2003
  • 폐광된 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광물이 분해되어 다른 광물에 흡착되거나, 산화환경에 안정한 형태의 2차 광물로 침전 혹은 공침 되는가에 대한 연구는 광산복 원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청양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을 대상으로 XRD, SEM/EDS연구를 이용하여 산화작용으로 인한 황화광물 주변에 침전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물학적 연구 결과, 산화환경에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용출된 중금속 이온과 철과 망간 이온들은 침전(Fe, Mn, Pb), 공침 (Fe, Mn, As, Pb) 및 흡착(As, Cu, Pb, Zn)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다시 고정화됨으로서, 현장에서 자연적으로 정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윤활유 첨가제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마찰 마모 특성의 변화

  • 강석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11a
    • /
    • pp.16-40
    • /
    • 1989
  • 엔진오일 첨가제는 오일 전체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것과 윤활 부품의 표명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표면 작용용 첨가제 들의 상호작용은 기대이하의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고 그 원인은 첨가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실험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현대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에 요구되는 윤활유 성능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유에 요구되는 적당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특수한 첨가제를 넣어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첨가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한가지 첨가제의 특성은 그 자체를 실험한 경우와 매우 상이한 결과가 완전히 혼합된 오일에서 나타남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첨가제들 자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원인으로 암시되지만 이들에 관련된 연구나 지식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첨가제으 상호작용에 관한 실례를 찾아보고 관련자료를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윤활오일 첨가제가 오일 자체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점도 시수향상제, 산화 방지제 같은 것이 있고 마찰 표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마모성 첨가제, 극압첨가제, 청정제, 분산제, 마찰 계수 감소제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오일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는 서로 별개로 작용하지만 그래도 상호 반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유기 억제제와 과산화물 분해형식의 산화억제제의 혼합물은 산화억제 성능을 최대화 시켜준다.

  • PDF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Sulfur Dioxide on Tin Oxide Thin Film Electrode (산화주석 얇은 막 전극에서의 이산화황 산화반응)

  • Jong In Hong;Woon Kie Paik;Ha Suck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9 no.2
    • /
    • pp.172-177
    • /
    • 1985
  • The semiconducting property of Sb-doped tin oxide thin film electrode was investigated and the electrocatalytic effect of this electrode for $SO_2$ (or sulfite, bisulfite ions) oxidation reaction was studi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anodic oxidation of $SO_2$ at tin oxide thin film electrode commenced at lower potential with increasing pH, and good electrocatalytic effect was shown of $SO_3^=$ oxidation in basic solution. In the acidic solutions the electrocatalytic effect of platinum-or palladium-incorporated tin oxide electrode was found to be due to the sites of Pt or Pd exposed on the electrode surface. The electrocatalytic effect of tin oxide electrode was distinctive from that of Pt-or Pd-containing electrodes.

  • PDF

청양중석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 및 황화광물의 산화작용 연구

  • 이평구;강민주;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2
    • /
    • 2003
  • 폐광된 금속광산의 폐광석 적치장, 선광시설, 광미장 등에는 폐광석과 황화광물의 분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풍화작용에 기인된 황화광물의 산화과정에서 용해된 유해 중금속의 이동과 확산이 심각한 중금속 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유해 중금속의 물리$\cdot$화학적인 거동, 오염물질의 확산 등을 규제하고 있는 지구화학적 메카니즘 규명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며, 폐광석 및 광미에 대한 복원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결정적인 판단 자료가 될 수 있다 (강민주, 2003). (중략)

  • PDF

Supergene Chloritization and Vermiculitization in Hornblende Gneiss, the Cheongyang Area, Korea (청양지역 각섬석 편마암의 녹니석화 및 질석화 작용 연구)

  • Song, Yungoo;Moon, Hi-S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4 no.3
    • /
    • pp.233-244
    • /
    • 1991
  • A biotite that substantially altered to chlorite and vermiculite in hornblende gneiss from Cheonyang, Korea, has been investigated with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The data show the general variational trends of Ti and K-leaching with increased weathering. However, the chloritization is characterized by Si- conservative reaction and relatively dramatic increase of Al-for-(Fe+Mg) octahedral substitution, whereas the vermiculitization is characterized by total Mg-conservative and Ca-enriching exchange reaction. In the initiating stage the vermiculitization proceeded in a continuous decrease of the Al-for-Si tetrahedral substitution and an increase of the Al-for-(Fe+Mg) octahedral substitution, supporting the currently accepted weathering process. But it differs in the late stage, in which AI(IV) and Fe increase significantly. Recalculations of the structural formular for vermiculite on the basis of several assumptions indicate that the oxidation of Fe is necessary for vermiculite to form the reasonable strutural formular. The relative timing of the oxidation of Fe probably occurs in the late stage, supported by the substantial increase of the Al-for-Si tetrahedral substitution.

  • PDF

Antimicrobial Mechanisms of Nitric Oxide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Nitric Oxide-based Antimicrobial Agents (산화질소가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및 이를 이용한 항균전략)

  • Choi, Eun Young;Noh, Jin-Ki;Hasan, Nurhasni;Yoo, Jin-Wook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0 no.2
    • /
    • pp.87-94
    • /
    • 2014
  • Nitric oxide (NO),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n integral molecule in maintaining homeosta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ost defense against microbes. NO has diverse antimicrobial mechanisms by directly and/or indirectly interacting with microbe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w class of antimicrobial agents due to antibiotic resistance,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develop a NO-based antimicrobial agent.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strategies to store and release NO in a controlled manner are required because NO has a gaseous property and a very short half-life. In this review, we described NO biochemistry and its mechanisms of antimicrobial activity. In additions, we introduced various NO-releasing systems that improve NO's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 of Natural Products on Skin Cells -Action and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천연물의 피부세포에 미치는 영향 - 활성산소의 작용과 억제 -)

  • 박수남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5 no.2
    • /
    • pp.77-127
    • /
    • 1999
  • 활성 산소종은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원인 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활성 산소종을 만드는 광화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들 활성 산소종들은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한다.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 상태 쪽으로 기울게 한다. 결과적으로 계속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웅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결국에는 탄력감수 주름살 및 기미.주근깨 둥으로 특징 지워지는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화장품의 처방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즉, 산화제/항산화제 밸런스가 유지되는 피부의 항산화 방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피부노화 방지에 있어서 천연물의 역할로 (1)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역할, (2) 항산화제로서의 역할, (3) 주름 개선제로서의 역할, (4) 미백제로서의 역할, (5) 항균\ulcorner항염작용 및면역 조절제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21세기는 본격적으로 기능성 화장품 시대가 개막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맞춰 천연물들은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NA Damage of Lipid Oxidation Products and Its Inhibition Mechanism (지질산화생성물의 DNA손상작용 및 그 억제기구)

  • KIM Seon-Bong;KANG Jin-Hoon;PARK Young-H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0 no.5
    • /
    • pp.419-430
    • /
    • 1987
  • The damage of plasmid DNA by lipid peroxidation and its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model system of DNA and linoleic acid at $37^{\circ}C$. The degree of DNA damag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an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DNA damage induced from linoleic acid peroxidation was greatly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active oxygen scavengers, especially, singlet of oxygen scavenge$(\alpha-tocopherol,\;cysteine)$ and superoxide anion scavenger(superoxide dismutase, ascorbic acid) in reaction system. These active oxygens, such as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were rapidly generated in the early stage of peroxidation (POV below 100 mg/kg) and also scanvenged by the addition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respectively. Hydroperoxide isolated from autoxidised linoleic acid showed DNA damage. Hydroperoxide induced-DNA damage was not inhibited by active oxygen scavengers. Lipid oxidation products, malonaldehyde and hexanal, also influenced on the DNA damage. Accordingly, it is speculated that DNA damage by lipid oxidation products is due to active oxygens such as singlet oxygen and superoxide anion formed in the early stage of peroxidation, direct action of hydroperoxide and formation of low molecular carbonyl compound-DNA complex. Furthermore, DNA damage induced by lipid peroxidation was remarkably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active oxygen scavengers and natural antioxidative fractions extracted from garlic and ginger. These antioxidative fractions also suppressed the generation of active orygens and linoleic acid oxida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hibition of DNA damage by garlic and ginger extracts is due to the scavenging effect of active oxygens and the inhibition of hydroperoxide and oxidation products formation.

  • PDF

삼산제일광산 폐광석의 풍화와 2차광물의 침전에 관한 광물학적 연구

  • 연규훈;이평구;최상훈;박성원;염승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96-399
    • /
    • 2004
  • 산화환경에 노출된 폐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광물은 산소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산화작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Fe, Mn, Pb, Zn, Cu 및 As등의 원소의 용해반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해된 금속이온은 pH등 환경의 변화에 따라 2차광물(산화광물 및 황산염광물)로 침전되거나 흡착되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 자연적으로 고정화 될 수 있다. 이처럼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광산복원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삼산제일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을 대상으로 XRD, SEM/EDS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침전과 공침, 흡착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현재 고정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