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화방지 껍질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메밀껍질의 효소분해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소의 생산 및 기능적 특성 (Produ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of Buckwheat Hulls by Enzymatic Depolymerz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 임희진;박보연;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7-103
    • /
    • 2016
  • 본 연구는 메밀 알곡에 비해 유효성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품학적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고 있는 메밀껍질을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메밀껍질을 효소로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메밀껍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72시간 분해하여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72시간 효소분해 후 셀룰로스 및 헤미셀룰로스 분획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식품섬유는 각각 60.5 g/kg, 123.7 g/kg이었으며, 총 수용성 식품섬유의 수율은 129.8 g/kg이었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의 분자량 추이를 측정한 결과, 분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저분자의 피크가 크게 증가하여 효소 반응 시간이 증가할수록 분해가 진행되었다. 효소분해되지 않은 메밀껍질의 수용성 식품섬유에 비해 효소분해에 의해 생산된 식품섬유소의 산화방지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높은 포도당 및 담즙산 흡수 지연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메밀껍질로부터 생산된 수용성 식품섬유소는 산화방지를 비롯한 포도당 및 콜레스테롤의 흡수저하 효과를 가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열 처리한 더덕 열수추출물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Root Skin and Flesh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

  • 안수지;김재철;조현노;박선영;황금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4-11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더덕 껍질의 활용도를 높이고 식품소재, 특히 차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더덕을 껍질과 육질로 나누어 가열 처리한 더덕으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여 이화학 및 관능 특성을 비교하였다. 더덕 열수추출물의 pH는 껍질이 육질보다 낮았고(p<0.05), 색도는 볶은 껍질과 육질의 L값이 낮고 b값이 높았다(p<0.05). 총당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증건군이 볶음군보다 많았으나(p<0.05), 환원당 함량은 껍질의 경우에 열풍건조군이, 육질의 경우에 대조군이 많았다. 조 사포닌 함량은 대조군 육질, 볶은 육질, 열풍건조한 육질에 많았다(p>0.05). 껍질의 열수추출물이 육질의 열수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DPPH 라디칼 소거능도 높았다(p<0.05). 더덕 분말을 차로 만들어 관능검사한 결과, 더덕 껍질로 만든 차는 향과 전반적 기호도에서 더덕 육질로 만든 차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대부분 폐기물 처리되는 더덕 껍질은 육질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산화방지 활성이 뛰어났으며, 더덕 껍질 차의 향과 전반적 기호도가 더덕 육질로 만든 차와 유사한 관능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메밀껍질의 효소분해에 의한 기능성 올리고당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ello- and Xylo-oligosaccharides by Enzymatic Hydrolysis of Buckwheat Hulls)

  • 임희진;김춘영;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1-207
    • /
    • 2016
  • 메밀껍질은 메밀 알곡보다 유효성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품학적 가치가 떨어져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효소분해하여 기능성 올리고당을 생산하고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최적 가수분해조건은 셀룰로스 분획의 경우 pH 5.0, $40^{\circ}C$, 기질농도 4%로 결정되었으며, 헤미셀룰로스 분획은 pH 5.0, $40^{\circ}C$, 30 unit으로 결정되었다. 최적 분해조건을 이용하여 72시간 효소분해 후 얻은 올리고당의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셀룰로스와 헤미셀룰로스 분획으로부터 얻은 올리고당의 수율은 각각 132.37 g/kg 및 393.04 g/kg이었다. 또한 각 분획의 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포도당, 자일로스, xylobiose, xylotriose, cellobiose 및 cellotriose가 검출되었다. 올리고당(OSC, OSH)의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한 결과, OSC는 분해시간이 증가할수록 산화방지 활성은 감소한 반면 OSH는 증가하였다. 또한 메밀껍질로부터 생산된 올리고당 첨가 시, 모든 비피더스 균주의 생육이 control에 비해 증가하여 프리 바이오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효소분해에 의해 메밀껍질로부터 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화방지와 프리바이오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효소의 처리시간 및 방법을 다양화한다면 기능성식품으로의 활용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Bioretention 내 꼬막 및 호두껍질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Cockle shell and walnut shell in a bioretention facility)

  • 전민수;;최혜선;김이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3-203
    • /
    • 2019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물순환 왜곡, 비점오염원 발생 및 수생태계 건상성 훼손 등을 야기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LID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LID 내 적용 되는 여재들은 무기성여재로 중량이 크고 미세공극의 부재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저감기능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량성이 낮은 생물폐자원을 선정하여 LID 시설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생물폐자원은 발생량, 경량성 및 용이성을 고려하여 꼬막껍질(CS)과 호두껍질(WS)을 선정하였다. 생물폐자원의 산화부식을 고려하여 무기성 여재인 화산석과 혼합하여 Bioretention 시설에 적용하였으며, 여재 혼합비율에 따라 총 3가지의 Case 로 구성하였다. 식생은 구절초와 꽃댕강나무를 식재하였으며, 여재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적용 전과 후의 SEM(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도로퇴적물 100g과 물 110L를 제조하여 인공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0.0003{\sim}0.007m^3/sec$의 유속으로 주입하였다. 시설의 유입 및 유출부에서 유량 측정 및 수질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시료는 수질오염공정 시험법에 준하여 입자상 물질, 유기물, 영양물질 및 중금속 등을 분석하였다. Bioretention 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물수지 및 TSS 저감 효율을 산정하였으며. 물수지 분석결과 시설의 저류율은 Case 1(soil) > Case 3(WS+RV) > Case 2(CS+RV)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 내 공극률이 가장 낮았던 Case 1에서 저류율이 약 55%로 가장 높게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3(WS+RV)은 Case 2(WS+RV)와 시설 내 공극률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저류율이 약 10%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결과, TSS와 TP의 제거효율은 모든 Case에서 약 7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D의 경우 모래를 적용한 Case 1에 비해 생물폐자원인 꼬막껍질과 호두껍질을 적용한 Case에서 약 1.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호두껍질과 꼬막껍질의 SEM 분석 결과 표면에 다공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과 및 저류기작으로 인한 물순환 효과증대와 다공성과 돌기사이로 인한 입자상의 물질 여과 및 흡착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증대 된 것으로 평가된다. LID시설 내 생물폐자원과 무기성여재를 적절히 배합하여 복합여재로 조성할 경우 침하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류 및 침투기능 향상과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기에 물순환 회복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팽이버섯 성분에 의한 가재(procambarusclarkii) 혈림파액의 흑변현상 억제효과

  • 장미순;진전애자;대도해명;조수수;전중종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89-90
    • /
    • 2001
  • 식품에서의 갈변현상은, 외관을 손상시킴으로 인해 상품가치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대표적인 것으로 사과ㆍ바나나의 껍질을 벗긴 후에 진행되는 갈색화 또는 수산물에서의 새우ㆍ가재류의 흑변 현상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polyphenoloxidase(PPO, EC 1.14.18.1)에 의해 유리 tyrosine등의 phenol성 화합물이 quinone체로 산화하고, 생성 된 quinone 또는 유도체들은 중합되어 melanine색소를 형성하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화학적 합성품인 4-hexylresorcinol의 침가가 흑변 현상의 방지책으로서 인정되어 있으나, 최근 소비자들의 사고를 고려할 때,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 유래의 유효한 첨가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중략)

  • PDF

Vitabrid-C를 함유한 피부 미백용 트윈케익 파우더 개발

  • 이선영;양재훈;한양수;이승화;홍성호;최진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9-184
    • /
    • 2003
  • 비타민 C(L-ascorbic acid)는 강한 항산화성, 피부에 대한 높은 안전성으로 인해 피부의 노화방지, 미백, 주름 개선 등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써 많은 관심이 있는 물질이지만,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 분해되므로 화장품 제형으로 포함시키는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C 의 안정성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체 및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무기물을 사용하여 비타민 C 를 캡슐화(encapsulation)한 분말상의 유-무기 복합물질 Vitabrid-C 를 합성하고,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트윈케익 파우더를 개발하였다. 우선 Vitabrid-C 는 수용액상에서 비타민 C 를 수화된 산화아연(ZnO)으로 1 차 캡슐화하여 나노입자를 형성시키고, 그 표면을 실리카(silica)나노 입자로 한번 더 코팅하여 표면의 껍질이 다공특성을 갖는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완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Vitabrid-C는 순수 비타민 C 에 비해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으며, 캡슐 내 비타민 C 가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특성을 발휘하였다. 또한 Vitabrid-C는 입자의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하여 트윈케익 처방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었다. Vitabrid-C와 순수 비타민 C의 생화학적 동등성에 대한 평가는 tyrosinase 억제능(L-DOPA oxidase 억제) 및 DPPH항산화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트윈 케익 처방에 적용된 Vitabrid-C 에서 비타민 C 의 피부 투과경향을 Franz diffusion cell 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Vitabrid-C가 포함된 트윈케익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25 세 이상되는 여성의 전박에 색소 침착을 유도한 후 피부색 개선 효과 평가를 통해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였다.

개질된 Nanoscale Zero-Valent Iron을 이용한 질산성질소 처리 (Removal of Nitrate by modified Nanoscale Zero-Valent Iron)

  • 김홍석;안준영;황경엽;박주양;황인성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1-479
    • /
    • 2009
  • A Nanoscale Zero-Valent Iron(NZVI) was modified to build a reactor system to treat nitrate. Shell layer of the NZVI was modified by slow exposure of the iron surface to air flow, which produced NZVI particles that are resistant to aerial oxidation. A XANES (X-ray Absorption Near-Edge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hell consists of magnetite ($Fe_3O_4$) dominantly. The shell-modified NZVI(0.5 g NZVI/ 120 mL) was able to degrade more than 95% of 30 mg/L of nitrate within $30 hr^{-1}$ ( pseudo first-order rate constant($k_{SA}$) normalzed to NZVI surface area ($17.96m^2/g$) : $0.0050L{\cdot}m^{-2}{\cdot}hr^{-1}$). Ammonia occupied about 90% of degradation products of nitrate. Nitrate degradation efficienci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ZVI dose generally. Initial pH values of the reactor systems at 4, 7, and 10 did not affect nitrate removal rate and final pH values of all experiments were near 12. Nitrate removal experiments by using the shell-modified NZVI immobilized on a cellulose acetate (CA) membrane were also conducted. The nitrate removal efficiency of the CA membrane supported NZVI ($k_{SA}=0.0036L{\cdot}m^{-2}{\cdot}hr^{-1}$) was less than that of the NZVI slurries($k_{SA}=0.0050L{\cdot}m^{-2}{\cdot}hr^{-1}$), which is probably due to less surface area available for reduction and to kinetic retardation by nitrate transport through the CA membrane. The detachment of the NZVI from the CA membrane was minimal and impregnation of up to 1 g of NZVI onto 1 g of the CA membrane was found feasible.

수산 미이용자원 중에 존재하는 효소적 산화 억제제의 검색 1. 감자 Lipoxygenase-1에 의한 효소적 산화에 대한 억제 (Screening for Potato Lipoxygenase-1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 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59-963
    • /
    • 1994
  • 성인병 에방물질의 가능성을 지닌 5-lipoxygenase 활성 저해제가 8종의 수산 미이용자원의 순차 용매 추출구간들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산 미이용자원의 고부가 가치적 이용 방안 모색을 위해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대상자료에 대한 여러 용매 추출구들의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5-lipoxygenase 효소저해능을 나타내었다. 그 중 수산동물의 경우, 불가사리의 에테르 추출구와 아세톤 추출구, 우렁쉥이 껍질의 아세톤 추출구, 오징어먹즙의 아세톤 추출구와 메탄올 추출구에서 $IC_{50}$이 각각 72.5, 65, 13.3, 13.3 및 $75\mu\textrm{g}/ml$로 높은 5-lipoxygenase 활성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대상 해조류 중 구멍쇠미역의 아세톤 추출구, 모자반의 물 추출구, 에테르 추출구 및 아세톤 추출구, 산말의 에테르와 아세톤 추출구에서 $IC_{50}$이 각각 15.5, 46.5, 5.03, 1.1, 30.5 및 $35\mu\textrm{g}/ml$로서 매우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활성물질에 대한 보다 더 순수한 분리 후 동정을 행하여 대량 생산만 된다면, 효소적 산화방지제로서 뿐 아니라 생체내 산화조절제로서도 이용가능할 것이므로 수산 미이용자원의 고부가 가치적 이용방안의 하나가 되리라 여겨진다.

  • PDF

국내산과 이란산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63-1072
    • /
    • 2011
  • 이란산과 국내산 석류를 착즙하여 과즙과 부산물로 버려지는 외피, 내피, 씨의 4부분으로 나누어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 중 총 페놀 함량은 국내산 석류 외피가 210 mg/g${\pm}$8.08로 가장 높았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이란산 석류 내피와 이란산 석류 외피가 가장 높았다. Phytoestrogen 함량은 이란산에 비해 국내산 석류 내피에서 96.04 ${\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어 전반적으로 이란산 석류보다 국내산 석류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부위별 석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환원력은 국내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외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국내산 석류 외피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석류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양이 높을수록 항산화성이 높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기능성 성분은 국내산 석류에서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활성은 각 항산화 측정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국내산 석류의 항산화능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부위별로 비교해 본 결과 석류는 과즙보다 껍질과 씨 부분 특히 내피에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많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과즙 착즙 시 버려지는 부산물인 석류의 외피와 내피는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식품의 산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품종의 녹두껍질 추출물의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추출방법의 영향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Korean Variety Mung Bean Hull Extracts as Dependent on th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노준희;김향숙;이경애;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05-612
    • /
    • 2012
  • In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th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of the domestic mung bean varieties, 'Geumsung', 'Dahyeon', 'Sohyeon', and 'Eohul', were soaked and dehulled, with the extracts obtained by using 8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or heated. The mung bean hull was freeze-dried, ground, and passed through 100 mesh siev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hull powder ranged from 1.70 to 3.15%.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ranged from 84.42 to 88.47%, with the Sohyeon hull showing the highest value. The L value of Geumsung hull (62.93) was the highest, and the a value of Sohyeon hull (-1.69) was the lowest (p<0.05). The color difference was the highest in Dahyeon hull (42.52) and lowest in Geumsung hull (38.52). The Eohul hull's chlorophyll a and b contents were the highest with the 80% ethanol extract by heating (10.55 and 6.12 ${\mu}g/mL$, respectively), but the Sohyeon hull showed the highest in 80% ethanol extract at room temperature (7.63 and 3.93 ${\mu}g/mL$,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varieties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temperature. The hull extract from the heating extraction was higher in Eohul than in other varieties, and was the lowest in the Dahyeon variety. The extract from Sohyeon hull at room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mung bean hull extract by heat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13.49-16.75% and 22.93-39.42% respectively and those at room temperature ranged from 39.86-41.88% and 49.71-70.92%. The reducing powers of extracts by heating ranged from 7.29 to 9.36 mg BHT/g hull, and at room temperature, they ranged from 19.90 to 20.97 mg BHT/g hull. Our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fluence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domestic mung bean var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