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출정보특성

Search Result 68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 Hwang, Syewoon;Cho, Jeapil;Park, Cha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0-360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는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의 발현으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슈이다. 일반적인 기후변화 연구는 전지구 기후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국내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자료는 IPCC 5차보고서(AR5)의 과학적 기반자료로 활용되는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GCM 산출물이다. 수자원, 농업, 경제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기간에 대한 GCM 산출물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평가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모델의 신뢰성은 산출물의 실제 현상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함으로서 가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이 분석은 동아시아 해안지역과 한반도 지역을 구분하고 다양한 강우특성에 대한 재현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했을 때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Novel Method for Estimating Representative Section Travel Times Using Individual Vehicle Trajectory Data (개별차량 주행정보를 이용한 차로별 구간대표통행시간 산출기법)

  • Rim, Hee-Sub;Oh, Cheol;Kang, Kyeong-Py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8 no.6
    • /
    • pp.23-35
    • /
    • 2009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representative section travel times using individual vehicle travel information under the ubiquitous transportation environment (UTE). A novel approach is to substantialize a concept of dynamic node-links in processing trajectory data. Also, grouping vehicles was conducted to obtain more reliable travel times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vehicle travels. Since the UTE allows us to obtain higher accuracy of vehicle positions, travel times for each lane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proposed methodology.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less than 10% of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was achievable with 20% of probe vehicle rate. It is expected that outcome of this study is useful for provid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 PDF

Analysis of Transmission Mode and Bandwidth for LF and MF Antenna (중·장파 대역 안테나의 대역폭 및 전송방식 해석)

  • Kim, Young-Wa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1 no.4
    • /
    • pp.401-407
    • /
    • 2018
  • The transmission bandwidth of shorted-monopole antenna in the frequency range of LF and MF was analyzed and the transmission mode considering the permissible data rate dependant on the transmission bandwidth was analyz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quired ERP, the output power of transmitter was deduced by considering the antenna efficiency. The analyses are for DGPS and tim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the frequency range of 283.5kHz and 65kHz respectively. The transmission antenna was modeled as TLM antenna that designed in the limited antenna site. The antenna equivalent circuit and antenna bandwidth were deduced based on the simulation analysis of antenna characteristics. The analyzed antenna bandwidth was compared with the simulated antenna bandwidth. Also the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er of LF and MF was proposed by considering the antenna bandwidth.

The Improvement on Cyber Damage Calculation for Return on Security Investment (정보보호 투자 대비 효과 측정을 위한 사이버 피해액 계산 방법 개선)

  • Choi, Chan-young;Park, D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349-352
    • /
    • 2017
  • Since the early 2000s, many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have sough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s. Such efforts have devised a number of ways to calculate the return in ROSI (Return On Security Investment) including the Gordon & Loeb method for calculating cyber damage.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ecurity structure, the lack of relate information sharing, and many qualitative factors are included, the damage calculation is inaccurate.. This study reviews related studies, analyzes the Gordon & Loeb method and the Shin-Jin method,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icient of the existing methods, and designs improved method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Quality Evaluation Toolkit of Analysis Phase Product (분석단계 산출물에 대한 품질평가툴킷의 설계 및 구현)

  • Yang, Hae-So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7
    • /
    • pp.1719-1732
    • /
    • 1997
  • In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various development product are made in each phase of lifecycle. Formless software is visualized by products, and quality management is implemented by management for products. But, because standardization for products which is made in the development process is not established practically, developers use different development methodologies or documentation specifications. Therefore the reality is that quality evaluation is not implemented along standardized methodology or systematic process.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designed and implemented analysis phase quality evaluation toolkit. We constructed quality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 to evaluate software quality for quality management and constructed relational metrics and system of qualitative quantitative evaluation element items and, under these systems, we constructed quality evaluation toolkit and Implemented functions and evaluated products.

  • PDF

Planning of Oral History of Korean Astronomy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 기획론)

  • Choi, Youngsil;Kim, Sang Hyuk;Mihn, Byeong-Hee;Seo, Yoon Kyung;Ahn, Young Sook;Yang, Hong-Jin;Choi, Go-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6.2-66.2
    • /
    • 2019
  • 구술채록은 특정 주제의 연구사 기록화 작업에 있어 후대에 생생한 역사체험을 전승할 수 있는 최적의 연구사업이다. 특히 국내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원로들이 대부분 연로하다는 점에서 한국천문학 발전사에 대한 구술채록은 시급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는 그간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해 온 사료분류체계 수립작업과 단발적인 구술채록 경험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구술채록 연구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한국천문학 발전사 구술채록 사업의 절차적 방법에 대한 기획론이다. 크게 (1)구술채록 로드맵 수립, (2) 구술기록 생산 프로세스, (3) 산출물 관리 및 활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구술채록 로드맵 수립에 있어서는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의 태동기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역사연구 및 주제분류를 중심으로 천문학 구술기록 특성화를 기한다. 이를 기반으로 구술대상자를 선정하고 큰 맥락의 역사와 개인 생애사를 교차하는 분석 틀을 중심으로 인터뷰 질문지를 추출한다. 이 과정에서 구술대상자의 소장 사료를 도출하여 미리 잠재적 사료 수집을 도모하도록 한다. 둘째, 본격적 구술기록 생산 프로세스에서는 전 단계에서 이행한 수집정보를 바탕으로 구술 산출물을 제작한다. 면담일지, 상세녹취록, 요약본, 이용동의서 등 기타 필요한 구술 제반 서식을 바탕으로 구술 동영상을 산출하고 라벨링한다. 이 산출물에 대한 사실관계 검증 후 최종 산출물 완성 및 기타 행정 처리로 제작은 종료된다. 마지막으로 산출물 관리 및 활용에 있어서는 사료 수집 전략의 기반 자료와 다양한 지식정보콘텐츠의 활용체계를 수립한다. 더 나아가 향후 이 연구사업은 구술DB화와 서비스 체계화를 위하여 구술아카이브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성과물을 활용한다. 이 연구기획론은 한국천문학이라는 특정 주제에 대한 것이므로 큰 틀에서의 방법은 기록학적 전개방식을 차용하지만, 역사연구와 기록의 특성화에 있어서는 한국천문학 연구사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범위한 한국천문학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다양한 학회, 교육기관, 연구기관 및 각종 사단법인 등의 역사와도 긴밀히 연결되어야 성과물은 비로소 가치 있고 풍부할 것이다. 이 연구를 시발점으로 향후 한국천문학 발전사 구술채록 사업에 대한 다양한 관학연구의 인식 공감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PDF

Feasibility Mapping of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s using Weight of Evidence Technique based on GIS in the Pocheon Area (GIS 기반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이용한 포천 지역의 지하수 산출특성 예측도 작성)

  • Heo Seon-Hee;Lee Ki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1 no.6
    • /
    • pp.493-503
    • /
    • 2005
  • In this study, the weight of evidence(WofE) technique based on GIS was applied to spatially estimate the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s at the Pocheon area In Gyunggi-do. The groundwater preservation depends on many hydro-geologic factors that include hydrologic data, land-use data, topographic data, geological map and other natural materials collected at the site, even with man-made things. All these data can be digitally processed and managed by GIS database. In the applied technique of WofE, the prior probabilities were estimated a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yield on lineament, geology, drainage pattern or river system density, landuse and soil. We calculated the value of the weight values, W+ and W-, of each factor and estimated the contrast value of it. Results by the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 computation using this scheme were presented feasibility map in the form of the posterior probability to the consideration of in-situ samples. It is concluded that this technique is regarded as one of the effective techniques for the feasibility mapping related to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bearing potential zones and its spatial pattern.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ping and its verific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in Pohang city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포항시 지하수 잠재가능성도 작성 및 검증)

  • Lee Sa-Ro;Kim Yong-Sung;Won Jo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115-128
    • /
    • 2006
  • The aim of the study is to select and verify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e water balance, land cover, forest, soil, elevation, slope, hydrogeology and lineament were analyzed. Using GIS,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nd groundwater yield data was analyzed and the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 was made for selecting suitable area for groundwater development. Then groundwater resource potential map was verified using groundwater yield data. The verified result showed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 potential map and groundwater yield data. The potential map can be used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is related to groundwater development.

  • PDF

Brain activation areas associated with L1 and L2 vocabulary retrieval and language switching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과 언어 switch 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 남기춘;이동훈;김동휘;문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3-20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이 모국어인 한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 관여하는 대뇌 영역을 fMRI 를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단일 언어를 산출할 때와 두 언어를 수시로 바꾸어서 인출할 때 관련되는 뇌 영역이 어디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는 외국어를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12 세 근처에서 배우기 시작한 대학생이었다. 흔히 분류하는 방식으로 late learner로 구분되는 학생들이었다. 한 피험자가 세 종류의 실험 모두에 참여하였다. 피험자의 실험과제는 그림을 보고 그림에 해당되는 이름을 인출하여 말하는 과제였다. 실험 1, 2, 3 모두에서 사건관련 fMRI(event-related fMRI)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그림을 보고 그림 이름에 해당되는 한국어 어휘와 외래어 어휘를 산출하게 하였다. 언어관련 뇌영역인 Wernicke 영역, Broca 영역, SMA 영역, SMG 영역 등에서 유의미한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2 에서는 실험 1 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여 그림의 영어 이름과 외래어 이름을 인출하게 하였다.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에도 모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유사한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외래어 산출 시에는 뇌 활성화 영역이 모국어와 영어 단어 산출할 때와 모국어 산출할 때 활성화되는 공통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모국어 산출과 영어 단어 산출의 차이점은 외국어 산출 시에 활성화 영역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는 것과 외국어 단어 산출 시에 Broca 영역보다 조금 밑쪽에서 그리고 모국어 단어 산출시에는 전전두엽 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3 에서도 실험 1 과 실험 2 에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였다. 실험 3 의 특이한 결과는 언어 switching 이 있는 경우에 전통적인 언어 영역 활성화 외에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컸다는 것이다. 아마도 언어를 바꾸어 가면서 단어를 산출하는 것이 전전두엽의 정보선택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어휘 산출시에 모국어 어휘, 외국어 어휘, 외래어 등을 산출할 때 공통되는 언어 영역과 언어 특성적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 PDF

A Study on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Science & Technology Transfer and Valuation (과학기술 이전 및 평가 정보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 Im, Dae-Hyeon;Park, Hyeon-U;Park, Jong-Gyu;Yu, Seon-Hui;Jeong, Hye-Su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7
    • /
    • pp.44-54
    • /
    • 2001
  • 21세기에 들어 세계경제는 지식기반경제로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기술혁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급격한 기술발전의 추세와 R&D분야에서의 한정된 자원을 고려하면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전의 활성화는 우리나라의 당면과제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기술이전의 인프라인 기술이전 정보유통의 국내외 상황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추진중인 국제기술시장에 대한 소개, 그리고 이러한 제반 상황하에서 국내 기술이전 정보유통의 발전적인 대안과 지식정보를 활용하고 지원할 수 있는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정형화된 특허정보와 기술에 의한 제품시장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의 잠재사업이익 추정을 지원하며, 산업특성 및 기술혁신단계를 분석하여 기술기여도를 산출하고, 실물옵션법을 이용하여 최종 기술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로 개발된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