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효과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Suwon Basin (수원 분지의 지형 환경)

  • Kee, Keun-Doh;Lee, Sang-W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2
    • /
    • pp.300-312
    • /
    • 2004
  •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Suwon Basin consists of two great elements: mountains which surround the basin and plains and low relief hills by differential erosion of granitic area. Nothern and eastern parts of the basin surround with gneissic mountains(Mt. Kwangkyo),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basin with granitic mountains(Mt. Chilbo, etc). The basin developed on granitic saprolites is composed of two types of sub-order geomorphic elements: flood plains alongside four river(Whangkuji-chon, Seoho-chon, Suwon-chon, Wonchonri-chon) and aligned hills and mounts between the river side plains. While the low down lands provided the spatial condition for the extention of downtown of Suwon, the gneissic mountains have played the positive roles by high ecological dam effects with stable supply of water and purification of air, etc.

  • PDF

벼먹노린재 방제, 어떻게 해야 하나? - `유령충` 충체별 약제 내성 가장 약해 약제 방제표적 $1\~2$령충, 방제효과 확실

  • 현재선
    • Agrochemical news magazine
    • /
    • v.23 no.2 s.175
    • /
    • pp.22-25
    • /
    • 2002
  • 연 1회 발생하며 성충태로 대부분이 양지바른 산지의 돌밑이나 낙엽밑 또는 논뚝 일부에서 월동하는 벼먹노린재는 작물종류나 경종양식이 다양화하면서 최근들어 국지적으로 문제되고 있다. 가해가 가장 심한 시기는 수잉기에서 출수기에 걸쳐서인데 이 때까지는 피해가 잘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백수가 보이면서 갑자기 눈에 띈다

  • PDF

Quality of Raw Ginseng and Quality Control of Ginseng Products (원료삼품질과 제품의 품질관리)

  • Park, H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15 no.3
    • /
    • pp.224-230
    • /
    • 1991
  • The seven traditional quality factors including age and root weight ect. wer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components as a new quality factor and pharmacological data. The other important factor, production place, appeared to be sum of the eight factors. The important of production place indicated that the best quality ginseng is produced in the optimum environment. The description of ginseng for medicinal use in present materia medica missed most traditional quality factors only indicating the change by processing. Such phenomena do not mean the significant of raw$.$ ginseng quality. since appropriate raw ginseng was supplied in traditional way. For the generation with analytical attitude the description of raw ginseng quality to the processed ginseng products is recommendable. For the quality control with biologically active or index compound, the composition of various compounds seems to be the best. The establishment of physical and chemical quality creteria that will match with the traditional mothod it needed and will accomplished by comparative research on raw ginseng from various production sites and growth conditions. The description of production-place, grade and quantity of raw ginseng to the processed products will give better information and higher popularity of products to consumers.

  • PDF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disaster counter-Debrisflow Structure in small-scale mountain of urban area (도심지 내 소규모 산지에 대한 방재시설 효율에 대한 연구)

  • Jung, Hyo Jun;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6-356
    • /
    • 2020
  • 주거시설 확장 및 도심 내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산지 개발과 기후변동성 확대로 발생하는 게릴라 국지성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토석류의 발생가능성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kim et al., 2008) 그러나, 현재 국내의 토석류 방재시설에 대한 설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아직 경사지 재해 발생 위험지역에는 방재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지자체의 제한된 예산으로는 필요한 모든 지역에 설치가 불가하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효율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내 소규모 산지에 대한 효율적인 설치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방재시설 설치 이후 토석류의 거동을 수치모의를 통해 방재시설 설치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도심지 내 위치한 토석류 발생이력이 있는 소규모 산지의 토석류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주요 발생원인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지반 약화로 인해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암반층 상단에 분포한 퇴적층의 붕괴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Kang et al, 2014)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유역에 대한 토석류 발생의 유입조건을 산정하였으며 유입조건에 대해 토석류 거동 예측 2차원 해석 소프트웨어인 FLO-2D를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방재시설이 미설치된 상태에서 발생한 토석류의 거동을 실제 발생한 토석류와 비교하였다. 또한, 수치모의에서 방재시설의 구현이 제한되므로 4가지 방재시설(교란사면용 토석류 방지시설, 울타리형 토석류 방지시설, 토사유출 저감용 지오셀, 토석류 방재장치)에 대해 경계조건의 변경을 통해 간접적으로 구현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재시설은 종류 및 설치위치에 따라 토석류에 대한 피해저감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토석류 방재장치를 토석류 발생위치 전방 50 m 지점에 토석류 방재장치를 설치한 경우, 토석류의 유속이 20% 감소하여 피해범위는 36% 감소하였으며, 전방 200 m 지점에 설치한 경우, 피해범위가 14% 감소하였다. 검토한 4가지의 토석류 방재시설 중 토석류 방재장치가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향후에는 피해범위에 대한 조건 외에 시공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경제성검토를 한다면 종합적으로 방재시설 효율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Debris Flow Dam Positioning Improving by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통한 토석류사방댐 설치위치개선에 관한 연구)

  • Jang, Chang Deok;Jun, Kye Won;Jun, Byong Hee;Yeon, Gyu B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9-49
    • /
    • 2011
  • 토석류(Debris flow)는 산지사면이나 계곡 등에서 진흙과 돌덩어리 등을 포함하는 토석 그 자체 또는 토석과 물의 일체가 유체의 상으로 흘러내리는 흐름을 말하는 것으로 발생을 예측하기가 곤란하며, 하류에 도로가 존재하거나 인근에 민가가 있을 시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는 자연현상이다. 또한 산지계곡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발생장소와 시기가 서로 떨어져 있어 연구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는 토석류피해의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주로 토석류 대책 사방댐의 설치를 선택하고 있다. 하지만 사방댐의 설치위치는 현재까지 모호한 결정기준에 의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정밀좌표를 손쉽게 취득할 수 있는 삼차원 광대역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지형자료를 취득하고 토석류를 해석할 수 있는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유출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설치위치결정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사방댐의 토석류피해 저감효과를 설치위치에 따라 분석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토석류 발생 저감을 위해 설치한 사방시설의 위치에 따른 토석류 저감효과를 비교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분포형유출모형과 토사유출모형의 Coupling을 통한 사방시설의 저감효과분석

  • Kang, Dong Ho;Lee, Seok Ho;Kim, Man il;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45-545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여름철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산지가 많은 국내에서는 산지지역 뿐만 아니라 도심지에서의 토석류 피해 또한 급증하고 있다. 또한 2011년 7월 우면산 토석류, 춘천시 펜션 토석류 등 규모면에서 이전 보다 큰 토석류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토석류의 수치적 해석이 필요하며 현재 다양한 토석류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토석류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토석류는 주로 강우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에 토석류 해석을 위해선 강우-유출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송 풍력단지를 조성하는 면봉산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토석류를 유발시키는 강우를 해석하기 위해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S-RAT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토석류 해석을 위해 토석류 2차원 수치해석모형인 RAMMS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모형의 커플링을 통해 토석류 확산범위 및 유동심, 속도, 충격력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유역내 토석류 발생시 동일규모의 사방시설을 토석류 흐름구간에 설치하여 위치에 따른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사방시설의 적정위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Changes of Forest Land Use - Especially around Tae Kwan Ryoung Region - (산지이용(山地利用) 변천(變遷)에 관(關)한 연구(硏究) - 대관령주변(大關嶺周辺)을 중심(中心)으로-)

  • Kim, K.D.;Han, K.J.;Park, J.W.;Song, J.H.;Lee, S.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57 no.1
    • /
    • pp.20-25
    • /
    • 198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rest land use around Tae Kwan Ryoung region during 15 years, by using the aerial photographs in 1965 and 1980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reas of forest land and farm land has been decreased, while the grass land increased as 3 times. It is because that the site of Tae Kwan ryoung region was suitable for livestock breeding and the wide grass lands were developed. 2) With a view to forest land use, it is desirable to convert the forest land into grass land and farm Land.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e fact that most of the farm land was converted into forest land, in the utilization of forest land in future. 3)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such as livestock breeding and leisure industry, there is a great increase in the dwelling houses, stalls, public building and habitants in this region. Therefore, in future we should establish the plans of forest land use synthetically and efficiently, considering the promotion of indirect utilities such as soil conservation, recre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s well as timber production.

  • PDF

Investigation for the maximum precipitation region in Hallasan Mountain during the Typhoon Nakri 2014 (태풍 나크리에 대한 한라산의 최대 강수 지점 탐색)

  • Ku, Jung Mo;Kang, Minseo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3-523
    • /
    • 2015
  • 2014년 제12호 태풍 나크리(Nakri)의 영향으로 한라산 윗세오름에는 2014년 8월 2일 하루 동안 총 1,182 mm의 강수량을 보였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관측된 가장 높은 강수량이다. 한라산 윗세오름의 해발고도가 1,673 m이므로 강수의 산지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한라산의 다른 지점에서도 최대 강수가 관측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주도에는 23개의 지상강우관측소만이 설치되어 있어 강수량을 공간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레이더(성산과 고산)와 우량계 자료를 이용하여 나크리 호우사상에 대한 최대 강수 지점을 탐색하였다. 먼저, 레이더 반사도의 고도를 해수면으로부터 250 m 간격으로 2,000 m 까지 구분하였다. 또한 각 구간에 해당되는 레이더 자료와 AWS 자료를 이용하여 Z-R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Z-R 관계식을 제주도 전역에 적용하여 최대 강수가 발생한 지점을 파악하고, 아울러, 제주도 전역에 내린 총 강수량을 추정하였다.

  • PDF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The Distribution of Snowfall by Siberian High in the Honam Region - Emphasized on the Westward Region of the Noryung mountain ranges -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시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 - 노령 산맥 서사면 지역을 중심으로 -)

  • 이승호;천재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2
    • /
    • pp.173-183
    • /
    • 2003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by Siberian High in the Honam region in Korea. In the Honam region, Siberian High induces snowfall dominantly. There is a huge amount of snowfall in the westward of the Noryung mountain ranges to the Wert coast in the Honam region affected by northwesterly wind directly from the Siberian High. The westward of the Noryung mountain ranges such as a heavy snowfall region has a various pattern of distribution of snowfall due to topography. The coast region has a large amount of snowfall by sea effect. And, snowfall amount is decreased from the coast to the inland plain. However, in front of mountain, snowfall is increase by reason of a forced ascending air to the mountain. In general the region where frequently appear a cumuliform cloud has a large amount of snowfall. A cumuliform cloud is frequent in the mountainous region in inland, the coast, and the inland plain in order Snowfall is intense in the coast and the mountainous region, and weak in the inland plain. In the mountainous region, a cumuliform cloud induced tv a forced ascending air by reason of topography generates snowfall mostly. This fact is the main difference with snowfall in the mountainous region and the coast region. In the result, in the Honam region, snowfall distribution and snowfall pattern are various, according to geographical climate factor such as sea and topography. The heavy snowfall region in the Honam region is divided into the coast region affected by sea effect and the mountainous region affected by topography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