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점도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35초

전분의 첨가가 호상요구르트에서 젖산균의 산생성과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rch Addition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of Curd Yogurt)

  • 엄성신;유지창;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47-75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전분(쌀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감자전분)을 각각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4종)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전분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점도, 관능성, 휘발성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분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접종된 4종의 젖산균 중에서는 L. jugurti의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전분이 첨가된 호상요구르트의 점도는 대조군보다 대체적으로 유의성있게 높았다(p<0.05). 호상요구르트는 전단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였으며 thixotr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옥수수전분 첨가시료와 쌀전분 첨가시료가 표준시료보다 다소 우수하였고 감자전분 첨가시료가 가장 저조하였다. GC에 의한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에서는 호상요구르트에 함유된 휘발성분 가운데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및 butanol의 4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 PDF

변성 폴리에틸렌의 제조 및 물성 : 1. 제조 및 수분산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Modified Polyethylenes: 1.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Dispersions in Water)

  • 이재흥;이상헌
    • 접착 및 계면
    • /
    • 제3권3호
    • /
    • pp.7-14
    • /
    • 2002
  • Poly(ethylene-co-methylacrylate)(PEMA)를 KOH, 암모니아 수용액으로 가수분해, ammonolysis 시켜서 측기에 -COOK, $-CONH_2$, -COOH를 갖는 수분산 형태의 변성 폴리에틸렌(m-PE)을 제조하였다. Infrared spectroscopy, 원소 분석 및 atomic absorption 분석 등을 통하여 m-PE 측기의 종류 및 조성비를 조사하였으며 수분산액의 고형분 함량에 따른 점도 및 표면장력을 측정하였다. 제조된 수분산액은 측기의 조성에 따라 안정도, 투명도 등이 변화하였다. 측기 중에서 -COOK가 수분산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COOK 조성비가 20 mol% 이상이 되어야 안정한 분산을 얻을 수 있었고 또한 -COOK 조성비가 높을수록 수분산액은 투명하였다. 동일 -COOK 조성비에서는 아마이드의 농도가 높을수록 탁도가 증가하여 친수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에 따른 점도를 측정하면 -COOK 조성비가 클 경우 낮은 고형분 함량에서 급격한 점도 증가가 일어나 고분자 사슬사이의 얽힘이 쉽게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표면장력은 -COOK 조성비가 클 경우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키토산 제조시 반응 온도와 시간 및 입자크기가 키토산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Particle Siz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s)

  • 이우진;한범구;박인호;박승현;오훈일;조도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97-1002
    • /
    • 1995
  • 상업적으로 제조된 키틴으로 부터 키토산을 제조할 때 반응온도, 시간, 키틴의 입자크기가 제조된 키토산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78% 이상의 탈아세틸화를 시키기 위하여서는 $100^{\circ}C$에서는 6시간, $120^{\circ}C$에서는 20분, $140^{\circ}C$에서는 10분 정도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생성된 키토산의 점도는 각각 180cps, 130 cps, 30 cps로 측정되었다. 또한 반응 후 잔류시간이 키토산의 점도를 감소시킴을 보였으며 키틴의 입자크기가 작은 경우에 탈아세틸화를 촉진시키며 동일한 탈아세틸화도에서 높은 점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생성된 키토산은 키틴에 비하여 수분흡수, 지방흡수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색소흡수능력은 평균 4배이상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에서는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1,000{\sim}1,800\;cm^{-1}$에서 흡수pattern이 둔화되었다.

  • PDF

장기 저장된 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ng-term Stored Rice)

  • 한혜민;고봉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71-1576
    • /
    • 2012
  • 가공용으로 공급되는 국내산 정부미와 수입산 정부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빵이나 국수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빵 및 제면성을 시험하였다. 두 가지 정부미 모두 가루의 백색도가 낮고 황색도가 증가되어 저장된 쌀의 색의 특성이 관찰되었고 아밀로오스 함량이 13% 이하로 국수나 빵을 만드는데 적합한 고 아밀로오스(22% 이상) 쌀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낟알의 경도는 수입산 정부미가 가장 단단하였지만 제분된 가루의 손상 전분 함량과 수분 흡수율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입산 정부미의 호화 점도가 높고 국내산 정부미의 호화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두 가지 모두 저장되지 않은 가공용 쌀 Goamibyeo에 비하여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일반적인 저장 쌀의 호화 특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저장기간에 따라서 감소된다고 알려진 breakdown viscosity는 정부미가 오히려 높은데 이는 저장에 따른 효과보다 정부미 자체 전분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예측된다. 두 가지 정부미 모두 빵의 발효와 굽기과정까지는 우수한 제빵성이 관찰되었지만 굽기 후 식히는 과정에서 빵의 모양이 유지되지 못하고 가라앉아서 100% 쌀 빵을 만들기에 부적합하였다. 100% 쌀로 만든 국수의 조리 손실률은 정부미가 Goamibyeo보다 적었지만 국수의 탄성이 적고 신장성이 커서 무른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가공용으로 공급되는 국내산 및 수입산 정부미를 빵이나 국수 등의 원료로 이용하려면 밀가루 또는 제면 제빵성이 우수한 곡류를 혼합하여 반죽의 물성을 개량한 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계획의 시각화 (Visualization for Experimental Designs)

  • 장대흥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5호
    • /
    • pp.893-904
    • /
    • 2011
  • 실험계획법의 강의내용은 크게 두 개의 파트인 실험계획과 모형분석으로 대별되는데 시각화 작업은 주로 모형분석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실험계획법의 강의내용에 대한 시각화 작업의 일환으로 우리는 실험계획의 시각화를 라틴 방격법의 시각화, 초포화계획법의 시각화, 불완비블럭계획법의 시각화로 나누어 고려하여 볼 수 있다. 실험계획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위하여 우리는 계획그림을 제안 할 수 있고 기존의 산점도나 산점도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계획의 시각화를 통하여 우리는 이론 중심의 실험계획법 강의에 그림들을 삽입함으로써 실험계획법 수업에서의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수지 수질측정망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in reservoir)

  • 이요상;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5-185
    • /
    • 2012
  • 수질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신뢰성 있는 수질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원수수질관리를 위해 1970년대 후반부터 수질측정망 단위의 정기적 수질측정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1,476개 지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수질모니터링은 조사지점, 수질항목, 측정 주기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며, 이중에서 특히 조사지점은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저수지에서 수질조사를 위한 관측지점은 대부분 정성적 판단에 따라 정해져 왔기 때문에 수질대표성에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수질측정망 구축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적인 통계기법을 적용한 수질측정망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축된 수질 측정망 구축시스템은 통계적 분석기법을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이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간단한 입력으로 측정망을 구축할 수 있는 체계로 구성하였다. 시스템에서는 시계열분석과 유사성 계산을 실시하여 덴드로그램으로 결과를 제시하며, 이용자가 최종 산점도 출력시스템에 원하는 군집의 개수를 입력하면 수질 특성 파악이 가능한 주성분 산점도가 출력되도록 하였고, 군집 내 관측지점의 중심점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도록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저수지 수질측정지점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기존 측정지점의 개수가 적어 통계분석 결과 적용에 한계가 있어 수질모델링을 통한 수질자료 증폭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수의 측정지점을 대상으로 수질측정망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용담댐, 밀양댐, 충주댐, 안동댐 및 남강댐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약간의 지점변동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인삼 유화 음료의 품질 인자 규명 및 저장 수명 예측 (Quality Factor Determination and Shelf-Life Prediction of Emulsified Ginseng Drink)

  • 백은경;서용기;이근;이동언;박석준;이진희;이강표;김동섭;허남윤;백무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97-602
    • /
    • 2005
  • 인삼 유화 음료를 3가지 온도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유화안정성, 당도, 진공도, pH, 산도, 색도(L, a, b값), 점도, 사포닌, 미생물 및 관능검사 등 총 10개 항목의 품질 요소들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중 품질 변화가 크며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차를 나타내는 4가지 품질 지표인 유화 안정성, 산도, 점도, yellowness를 확인하였다. 품질 지표로 선정한 유화 안정성, 산도. 점도, yellowness의 온도 의존성을 Arrhenius식을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점도의 경우 온도 의존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화 안정성의 경우 2단계로 변화가 일어나 저장 초기에 속도가 빠르고, 일정 기간 이후에 속도가 느렸다. 또한 산도 및 yellowness의 변화도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하고 저장 온도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품질 변화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Q_{10}$ value는 약 2의 값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품질 지표로 선정된 4가지 요소의 $Q_{10}$ value는 각각 다른 값을 나타내었다. 이로 보아 같은 식품이라도 품질 인자에 따라 각기 다른 $Q_{10}$ value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률적으로 $Q_{10}$ value를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크릴을 이용한 키토산 제조 및 품질 특성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Chitosan Using Krill(Euphausia superba Dan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도정룡;박인성;이성갑;김동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309-313
    • /
    • 2000
  • 무한한 잠재 자원량으로 미래의 식량자원으로서의 주목받고 있는 크릴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난후 생기는 부산물인 키틴 키토산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raw krill과 krill powder의 일반성분은 수분 79.1, 5.6%, 단백질 13.1, 56.1%, 지방 4.0, 18.8%, 회분 2.7, 11.4%, 기타 1.1%, 8.1%로 나타났고 크릴로부터 추출된 키틴의 수율은 3.7%로 나타났고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7.1%, 회분 0.4%, 질소함량 3.5%,지방 3.1%로 나타났다. 추출된 키틴은 50% NaOH, $121^{\circ}C$에서 2시간 반응시켰을 때 가장 높은 탈아세틸화도인 82%의 수치를 나타냈다. 키토산 제조시 알칼리 농도와 반응온도가 일정할 때 반응 시간이 경과할수록 탈아세틸화도는 감소하였다. 키토산의 농도가 1%이고 shear rate 700 $S^{-1}$ 일때의 겉보기 점도는 0.09241 pa s로 나타났다. 크릴로부터 추출된 키토산은 Sigma사의 chitosan보다 탈아세틸화도와 점도가 낮게 나타났다.

  • PDF

3차원 잔차산점도를 이용한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 교호작용의 탐색 (Exploring interaction using 3-D residual plots in logistic regression model)

  • 강명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1호
    • /
    • pp.177-185
    • /
    • 2014
  •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 설명변수만으로는 충분히 설명이 되지 못하고 설명변수의 변환된 형태인 이차항 또는 교호작용항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설명변수가 두 개이고 조건부 분포가 이변량 정규분포를 따르는 경우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는 기본적으로 이차항과 교호작용항이 모형에 포함되어야 한다. 하지만 조건부 분포의 분산과 상관계수에 따라 이차항과 교호작용항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분산이나 상관계수에 대한 정보는 산점도를 보고 대체적인 판단이 가능하지만 교호작용항의 필요성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잔차산점도를 이용한 교호작용의 탐색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실제 자료에 적용시켜본다.

옥수수전분 및 기장의 방사선 재조사에 따른 검지 특성

  • 김현구;양영민;최맑음;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33.1-133
    • /
    • 2003
  • 옥수수 전분 및 기장에 대해 방사선 재조사 후 검지 특성 평가 및 조사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즉, 국산 및 중국산 옥수수 전분과 기장(Panicum miliaceum) 분말을 비조사구, 5 kGy 조사구로 구분하여 $0{\pm}1^{\circ}C$, 암소에 12개월간 보관하면서 6개월마다 5 kGy로 재조사하여 점도, surface color, 미생물 농도 TBA value등을 측정하였다. 옥수수 전분의 점도는 저장기간 중 초기의 값을 유지하면서 각 시점에서 비조사구, 5 kGy 처리구, 5 kGy 재조사구순으로 높게 측정되어 방사선 처리 및 재조사에 의한 점도의 감소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장(Panicum miliaceum) 분말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면색깔의 경우 L및 a 값은 조사 및 재조사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b값은 비조사구, 5 kGy 조사구, 5 kGy 재조사구 순으로 높게 측정되어 방사선 조사에 따라 황색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농도는 비조사구의 경우 초기에 $10^2$CFU/g 이상 측정되었고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조사구 및 재조사구에서는 저장 기간 중 측정되지 않았다. TBA value의 경우, 방사선조사구 및 재조사구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기간동안 증가하였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 및 재조사처리를 함으로써 전분질 농산물의 점도 감소와 황색화의 진행 그리고 미생물 살균효과 및 지방질 산패 현상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