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 군집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33초

씬씨내티 대도시지역의 산업군집과 경계설정 (Industrial Clusters and Their Boundaries: A Case Study for Plants in the Cincinnati metropolitan Area)

  • 이보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9-184
    • /
    • 2000
  • 미국의 씬씨내티 대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인자분석 및 Hot Spot 분석에 의해 산업 군집과 그것의 경계가 확인되어졌다. 전통적 투입 산출 접근법이 비공간적 산업 군집을 추출하는 반면 이 연구는 전통적 접근을 GIS 기법과 결합하여 경계를 설정한다. 투입 산출 산업 군집의 결과를 선도산업 부문과 결합하여 5개 선도 산업 군집을 추출하였는데 그것은 음식료품, 화학, 금속, 금속제품, 기계공업 부분이다. 그리고 Hot Spot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산업 군집을 Arcview에 통합하여 시각화하였다. 산업 군집의 공간적 결합정도와 공간적 한계를 결정하는 것은 경제의 공간구조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부가적 접근이 될 수 있다. 산업 군집과 산업의 공간적 군집 접근은 하나의 공장이나 기업의 수준보다 집계적인 차원에서 산업의 공간적 배열의 새로운 모형 개발 기초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군집 주제의 유의어와 유사도를 이용한 문서군집 향상 방법 (Enhancing Document Clustering Method using Synonym of Cluster Topic and Similarity)

  • 박선;김철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538-1541
    • /
    • 2011
  • 본 논문은 군집 주제의 유의어와 유사도를 이용하여 문서군집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비음수행렬분해의 의미특징을 이용하여 군집 주제(topic)의 용어들을 선택함으로서 문서 군집 집합의 내부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으며, 군집 주제의 용어들에 워드넷의 유의어를 사용하여서 확장함으로써 문서를 용어집합(bag-of-words)으로 표현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확장된 군집 주제의 용어와 문서집합에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하여서 군집의 주제에 적합한 문서를 잘 군집하여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을 적용한 문서군집방법이 다른 문서군집 방법에 비하여 좋은 성능을 보인다.

가전산업의 발전전략 연구 - 동서지역 백색가전 제조업의 지역군집 가능성을 중심으로 -

  • 최석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3권
    • /
    • pp.39-62
    • /
    • 1999
  • 본 논문은 영 호남 양 지역의 백색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두 제품에 한정함)제조기지에서 출시되는 제품의 원가분석을 통해서 강한 원가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먼저 양 지역의 산업군집(regional cluster)의 형성요인, 발전요인 및 경쟁력 현황을 1차, 2차 자료의 수집을 통해 분석하고 가용자료의 한계속에서 제품별 원가구성을 도시하여 비교하였다. 위 두 분석의 결과를 가지고 가용전략을 도출하였다. 글로벌 경쟁속에서 지속적인 비교우위는 점차 멀리 떨어져있는 경쟁자들이 대적할 수 없는 지방적인 것, 그것이 지식이건 관련성이건 아니면 개인 및 집단의 성취동기이건 간에, 그 내부에 놓이게 된다. 양 지역 가전산업의 발전전략으로 재료비 비중의 혁신적 절감방안(신소재 개발 R&D 추구), 국내외 관련산업과의 전략적 제휴, 고유의 우위요소 개발, 지역군집 또는 집적효과의 이용, SERM모형의 대입, 품질원가제도의 강화 등을 연역 귀납하였다.

  • PDF

국내 시판 김치와 묵은지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 구조 비교 (Comparativ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Commercial Kimchi and Mukeunji Products)

  • 이수영;정수지;류명선;하광수;노윤정;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5-3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김치와 묵은지의 미생물 군집 구조와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와 묵은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묵은지 시료들의 pH가 김치보다 더 낮았으며, 산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 간의 염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에서 당도가 묵은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김치와 묵은지 사이에 종 추정치와 종 풍부도 지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통발생학적 차이를 반영한 phylogenetic diversity 지수는 묵은지에서 김치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의 미생물 군집을 생물학적 분류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공통적으로 과(family) 수준에서 Lactobacillaceae가 가장 우점하였으나, 높은 내산성을 갖거나 김치 내에서 높은 성장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Pediococcus 속과 Lactobacillus 속 유산균의 상대적인 분포가 묵은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의 전체 미생물 군집 구조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beta set-significance 분석을 수행한 결과 김치와 묵은지 두 그룹의 전체 미생물 군집구조가 통계학적으로 신뢰수준에서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Weissella kandleri의 분포와 묵은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Pediococcus inopinatus의 높은 분포가 김치와 묵은지의 전체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를 활용한 도심 공간기능분석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owntown Spatial Functional Analysis and Downtown Classification using GIS)

  • 김흥관;신용은;백태경;강기철;정희수;오주헌;여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86
    • /
    • 2007
  • 부산시의 도심(축)에 속하는 15개 동을 대상으로 2000년, 2005년 두 개 연도를 LQ지수와 군집분석을 통해 도심의 공간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00년도의 LQ지수를 분석한 결과 2차산업은 재래시장과 대규모 상권이 형성된 지역에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3차산업은 금융권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에서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2005년도의 LQ지수는 2000년도의 LQ지수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3차산업에 속하는 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구도심에서 급격히 쇠퇴하고 신도심으로 대변되는 서면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특화되고 있었다. 이는 과거 구도심의 중심업무기능이 신도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도심의 도심의 성격을 지닌 주요 기능이 쇠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 LQ지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군집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먼저 1군집은 도심 쇠퇴현상이 나타나는 구도심지역이고, 2군집은 주거기능이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며, 3군집은 현재, 도심의 공간기능이 매우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구도심의 쇠퇴를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도심재생방안 수립과 신도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산업별 특화도에 따라서 도심 공간기능이 배치되므로 이에 지역에 적합한 산업의 도입과 함께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 PDF

고등학생의 희망 군집유형별 학습전략의 차이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for High School Students by Cluster Type of Hope)

  • 김진철;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Snyder가 제안한 희망 이론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학교 현장에서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희망 이론이 우리나라 일반고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유형별 학습전략의 차이를 군집분석과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학생의 희망 군집은 네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과 학습전략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희망의 두 하위 변인 모두 메타인지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희망이론은 프로파일적 접근을 통하여 성취나 적응 등 다양한 심리변인과의 관계구조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센서스 정보 및 전력 부하를 활용한 전력 수요 예측 (Forecasting Electric Power Demand Using Census Information and Electric Power Load)

  • 이헌규;신용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5-46
    • /
    • 2013
  • 국내 전력 수요량 예측을 위한 정확한 분석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차원 데이터 군집 분석에 적합한 차원 축소 개념의 부분공간 군집 기법과 SMO 분류 기법을 결합한 전력 수요 패턴 예측 방법을 제안하였다. 전력 수요 패턴 예측은 무선부하감시 데이터 뿐 아니라 소지역 단위의 센서스 정보를 통합하여 시간대별 전력 부하 패턴 분석과 인구통계학 및 지리학적 특성 분석이 가능하다. 서울지역 대상의 센서스 정보 및 전력 부하를 이용한 소지역 전력 수요 패턴 예측 결과 총 18개의 특성 군집을 구성하였으며, 전력 수요 패턴 예측 정확도는 약 85%를 보였다.

일반고 학생 희망과 그릿의 군집유형별 학교행복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hope, grit, and school happiness by cluster type)

  • 김진철;김창길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9-15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희망, 그릿, 학교행복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희망과 그릿의 군집별 학교행복 차이를 알아보았다. 세종시 ㅂ고 2, 3학년 282명 자료를 상관분석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했다. 연구결과, 희망과 그릿 및 학교행복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희망 주도사고와 그릿 노력지속성 간 상관관계가 높았다. 다음으로, 희망과 그릿의 하위변인은 4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학교행복은 '높은 심리자본' 집단이 가장 높고, '높은 주도사고'와, '높은 경로사고'는 차이가 없으며, '낮은 심리자본' 이 가장 낮았다. 연구결과, 일반고 교육과정에 주도사고와 노력지속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실제적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김치 미생물 군집의 분포 및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Kimchi Samples from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in Korea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 노윤정;하광수;김진원;이수영;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33
    • /
    • 2023
  • 한국 전통 음식으로 알려진 김치의 발효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주로 Leuconostoc 속, Weissella 속, Lactobacillus 속 유산균들이 관여한다. 또한 김치의 미생물 군집은 김치의 종류, 발효 조건, 재료 및 성분 등에 따라 분포와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중부지방(강원도, 경기도)과 남부지방 (전라도, 경상도) 김치에 대한 미생물 군집을 분석하기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료가 99% 이상의 Good's coverage of library를 보여 비교분석을 하는데 충분한 신뢰성을 얻었으며, α-diversity 분석에서 종 풍부도와 다양성은 시료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김치에 공통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주요 세균 문은 Frimicutes 이었으며, 속 수준에서 Weissella kandleri 가 각 46.5%(중부지방), 30.8%(남부지방)로 가장 우점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하기 위해 LEfSe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부지방에서 Leuconostocaceae (71.4%) 과, 남부지방에서 Lactobacillaceae (61.0%) 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빈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 나타나는 김치 미생물 군집의 분포와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 군집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패션제조업의 분포 특성과 직능 간 연계성 분석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dustries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Sectors of Fashion Produ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유지연;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패션산업의 집중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패션산업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우리나라 패션산업을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저수익의 봉제의류산업에서 디자인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지식기반산업으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패션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의 패션제조업 분포에 지식기반산업들이 보이는 특성이 나타나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직능별 패션산업의 공간적 군집여부를 탐색하고, 그 분포양상을 바탕으로 수도권 패션산업의 클러스터를 구분 짓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직능 간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직능별 패션산업의 공간적 군집 형성에 영향을 주는 타 직능 변수와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