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유산 재생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자산기반형 도심재생 전략에 따른 공간환경 개선방안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Spacial Environment through the Strategies of Urban-Core Regeneration based on the Regional Resources -Focused on the Cheongju City-)

  • 반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91-204
    • /
    • 2018
  • 다양성과 창의성의 시대에 지방이 스스로 생각하고 실행하는 지역발전 전략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역의 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차원의 재생효과와 지역자산으로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상승하고 있다. 상당기간 낙후 소외되어 온 지역의 시설과 공간을 기회자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도시재생방안 모색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산업유산의 지역자원화를 통해 내생적인 발전체계 구축하여 지역의 자립적인 발전을 추구할 가능성 모색에 있다. 사례분석과 계획적용 등을 통해 생활밀착형 문화공간이 대형, 전문예술공간보다 지역주민의 삶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의 비교우위보다는 지역자산의 경쟁우위 전략이 더욱 중요하며, 장래의 도심재생에서 한층 더 관심을 두어야 하는 요소는 도시의 역사와 전통, 철학 등 무형적인 가치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람이 중심이 되어 예술적인 생태성과 전통의 복원, 공동체성 창출, 미학성 추구 등을 통해 문화정체성을 가진 장소로 창조되는 것이 진정한 도시재생이 된다는 점이다.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Declined Industrial Districts in Downtown Area)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29-142
    • /
    • 2019
  • 도심의 노후 쇠퇴한 산업지구는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새로운 산업의 유치와 도시환경개선 등의 도시재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국외 선진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의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첨단산업과 문화산업을 유치 도입함으로써 도시재생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 시애틀의 '사우스 레이크 유니언'과 포틀랜드의 '펄 디스트릭트'를 사례로 문헌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용도는 업무 상업 주거의 복합용도로, 건축물 용도는 업무시설 상업시설 위락시설 주거시설 등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보행 친화적 가로환경,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대중교통시설, 생활지원시설 등 이용자 중심의 기반시설이 확충되었다. 셋째, 기존 도시구조 및 조직 유지, 건축물 리노베이션, 산업유산의 보전 등을 통한 장소정체성 제고가 이루어졌다.

제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건설 개요 및 추진현황

  • 대한민군 해군 제주기지사업단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7-298
    • /
    • 2012
  • 제주 강정항은 2015년까지 국부와 안보를 지키는 21세기 청해진을 수행하기 위한 해군기지로서의 기능과 세계자연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제주도의 관광산업을 활성화고자 15만톤급 초대형 크루즈 선박이 이용 가능한 민군복합 항만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정부 시책에 발맞춰 친환경적인 설계와 공법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접목한 미래 지향적인 친환경 민군복항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민군복합항의 건설 개요를 바탕으로 항만시설의 규모와 현행 추진 현황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철도역사 급수탑 주변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ailway Station Water Tower)

  • 이현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57-362
    • /
    • 2010
  • 1899년에 철도가 부설된 이후 철도관련시설은 근대화의 상징이다. 그러나 증기기관차의 운행이 중단된 후 급수탑은 방치된 시설이었다. 근대문화유산의 가치를 살린 급수탑 주변 요소에 따른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1)근대사의 현장성과 예술 작품의 배경 지역을 이용 2)주변 장소와 연계한 공원화 3)산업유산의 전시시설 4)지역의 역사유적 5)급수설비의 재생이 필요하다. 지방 자치단체의 기획 단계부터 전문가 집단의 조언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참여가 필요하며, 급수탑 활성화가 도시정비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구도심 내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문화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연구 - M50, 뱅크아트1929, 아트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 (Creating Cultural Cluster through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Inner city - Case Studies of M50, BankART1929, ARTPlatform -)

  • 박소연;이경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92-201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find planning issues on reuse of an industrial heritage as a cultural cluster and to suggest planning factors which can be referred when designing the similar cases. Analysis standards were formed through reviewing of precedent literatures, and the selected cases(i.e Shanghai M50, Yokohama BankART1929, and Incheon ArtPlatform) were analyzed to identify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planning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analy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arts coexist in one place, and the studios and galleries are designed with high ceilings; (2) The region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from preserving major architectural elements of previous buildings, and open spaces are provided to promote a variety of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3) Various strategies to overcome disadvantage in location are developed, and the concepts of desig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buildings' exterior as the reused industrial heritage and the cultural cluster; (4) Diverse supports for artists make it possible to gather many competent artists, and the cooperative networks among artists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luster; (5) The cluster runs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and build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by supporting regional art industry or developing linked programs; (6) The cluster serves various functions such as cafes, pubs, restaurants, art shops, and bookstores, and hosts appealing events and festivals to attract many people even who are not interested in arts.

산업유산 개념의 변천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ition Changing of Industrial Heritage)

  • 박재민;성종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65-81
    • /
    • 2012
  • This is a study concerning about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being mentioned often lately, and considering the term's origin and changing process aiming at clarifying and improving its undertone and understanding. Especially, it's a basic study to make people understand fundamentally what industrial heritage means and differences in Korea in where any innovative affair such as industrial revolution has never occurred. Looking into the origi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industrial archaeology & industrial heritage terms, their concepts appear ambiguously defined due to their generational, phenomenal and terminological reason. but it's detectable that their subjects and timing range have been extended. Korea, China and Japan, the Asian nations also have gone through mainly phenomenal and terminological mess in accepting the terms. Korean industrial heritage can define from the definition of industrial heritage in Nyzni Tagil charter. It, however, have to redefine about period of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suggest the 4 steps of modern industrialization in Korea and insist that we have to conserve industrial heritages not only in colonial period but also in 1960-80 industrialization in korea.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Public A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

  • 이지엔화;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82-95
    • /
    • 2020
  • 본 연구는 역사문화지구 퍼블릭 아트의 특징과 아이덴티티를 연구 대상으로 역사문화구역의 퍼블릭 아트에 대한 이론 연구와 조사를 통해 징더전 도계천이 대표하는 역사문화지구 퍼블릭 아트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공간적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여섯 가지 평가요인인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분석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 한 7개 큰 굴뚝의 퍼블릭 아트는 완전히 보존된 산업역사 건물과 어울린다. 그중,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이 명확한 구현을 갖추고 있으며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서 보존가치와 식별가능성이 높아 일반 퍼블릭 아트의 행사나 체험기능을 더하지 않아도 된다. 지역 재생을 위한 신퍼블릭 아트 중 퍼블릭 아트의 예술성, 환경성,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고 환경성도 중간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역사성이 높지 않고,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한 퍼블릭 아트는 역사유적 퍼블릭 아트로 산업유산과 도자기 요소로 대중들의 시공간과소통을 형성하면서 대중에게 정신적 공감을 전달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으며, 지역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는 도계천에 새로운 예술적 정취를 부여하였으나 새로운 아이덴티티는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독일 루르지역의 주(州)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Focused on the case of Ruhrgebiet, Germany-)

  • 박종기
    • KIEAE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75-86
    • /
    • 2013
  •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econom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 namely Post-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80's, old industrial cities in western europe faced a severe urban crisis such as high unemployment rates, demographic decline, urban slums, lack of infrastructures and economic shocks. In order to overcome their urban decline, They had to attempt to find a creative re-modelled and re-imaged Urban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future. Thus Urban Regeneration has been a serious issue of debate in europe. First of all,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have played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Post-Industrial cities and regions sinc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rganize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by analyzing successful overseas case "Landesgartenschau in Ruhrgebiet, Germany, where has been changed from an old industrial city to a Culture-Service- based City significantly over last several years. It's inner-city old industrial areas with amount of derelict under-used industrial Heritages have been remodelled and reimaged to a creative and attractive public spaces involving Arts and cultural activity by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namely, "Landesgartenschau".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Historic-Cultural Contents Project on Urban Regeneration)

  • 최희경;이진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0-63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물적 환경 뿐 아니라 사회, 역사, 문화, 경제 등 비물적 요소까지 확장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하고 국내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내용 분석 및 유형화와 향후 방향성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사업 관점에서 역사문화콘텐츠 개념을 정의하고 총 33개의 도시재생사업과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역사문화 관련 사업의 내용 분석과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내용적 측면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은 문화예술형, 지역 자산형, 경제문화형, 역사유산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도시재생 선도사업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은 주로 물리적 재생과 결합하여 시행된다. 셋째,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을 활용하는 사업이 다수 나타나는 반면 지역민과 공공의 갈등 양상도 보인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부응하며 물리적 재생 중심에서 비물리적 재생과 거버넌스를 포함한 인적자원 재생까지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Design for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 정민주;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57-168
    • /
    • 2014
  • In buildings on the street, indiscriminate redevelopment are being made by overlooking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landscape to create their own unique meaning, due to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rapidly with human needs of longing for something constantly. Selection and methods of two plan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hould be required, considering heritage values on industrial buildings which are being lost and aged in this redevelopment higher. The attempt for the 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becomes a hot topic, and several experimental challenges are being made. However, there are rather many cases of causing industrial buildings' depreciation and one-size-fits-all reproduction performance as it applies other examples as standards by recognizing the reproduc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as one trend, not focusing on the trend of the times or paradigm, what the times want. To minimize these problems, we focus on how to utilize industrial buildings beyond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buildings' reproduction, considering the quality of local residents' life as well as the expected effect obtainable due to security of local identity and reproduction of buildings,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that offers and forms a way of community life as the design of shares based on unspecified individuals' common life. Community design's core can be called to have diversity rather than undifferentiated unity by pursuing whole unification, since local residents become those who plan design and all people participate in it. In addition, community design achieves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as an enlarged design area without limiting in an environmental area, by making indigenously natural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cultural factors in one context so that people may understand the flow of the place. The importance of effects acquired from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has well-known, and the attempt for utilizing aged heritage as a new value and a function has constantly been made. Now, it's time to focus on how long it lasts through this method, rather tha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itself. There can be a significance in this study in proposing methodological solutions o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not to cause depreciation of industrial buildings by recognizing contemporary trends and uniform regeneration performance, multifaceted research is needed for creative, effective development on modern industrial heritage which will occur const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