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유산 재생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산업유산 재생으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High Line as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2-196
    • /
    • 2020
  • 본 연구는 산업유산 재생 사례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진일보한 도시재생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산업유산 재생사례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을 위한 틀로 거버넌스, 물리적 성과,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 문화적 성과 이상 5개의 분석요소를 도출하였고, 각 요소별로 총 15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둘째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결과를 보면, 하이라인 재생사업은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구축과 이를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역사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물리적 개선, 낙후된 맨해튼 중서부 지역의 경제 활성화 등의 성과를 보인 반면,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둥지 내몰림 등의 문제를 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근대문화유산의 호텔산업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Hotel Industry in Modern Cultural Heritage)

  • 심홍보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93-294
    • /
    • 2019
  • 본 연구는 근대호텔에 대한 지금까지의 문헌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립하고, 전문가의견조사와 관광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근대호텔의 관광산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첫째, 근대문화유산과 근대호텔사에 대한 기본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근대호텔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통해 한국호텔산업발전과 관광산업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자체의 호텔산업과 관광산업발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산업 유산 재생지역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Valuation Method for Redeveloped Area of Industrial Heritage)

  • 쑨리;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6
    • /
    • 2020
  • 산업유산 재생 지역의 자원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디자인 개선과 서비스 혁신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유산 재생 지역의 자원 가치를 전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정성적, 정량적 방법을 결합한 가치평가 방법(모형)을 제시하였다. (1)재생 지역의 자원에 따른 평가체계 수립(AHP 계층); (2)자원 유형에 따른 평가 코스선택(cvm 또는 사용가치); (3)해당 지역의 각 자원의 가치와 총 가치의 계산. 본 연구에서는 운하 5호 사례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해당 지역의 다양한 자원의 가치 순위 및 총 가치;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소득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재생지역의 가치는 사용가치와 비사용가치를 함께 구성해야 하며, 동일 요소가 서로 다른 자원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또한 요소별로 동일한 자원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다르다.

대전지역 근대산업유산의 가치와 활용에 관한 정책적 함의 (Implication of policy on the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inheritance of Daejeon)

  • 최장락;이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07-115
    • /
    • 2013
  • 대전의 원도심은 인구감소 건물의 공동화 현상으로 옛 중심시가지를 비롯하여 인근 도시공간의 쇠퇴가 현저하게 진행 되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성을 살린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지만, 어떤 한 시점을 기준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역사와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재생공간을 만들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중요하다. 대전의 원도심은 일단 그 공간을 지탱 해 온 산업에 대한 건축물 등, 지역의 건축적 문화유산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활용방안이 마련하지 못한 채 피폐해져가는 실정이다. 이에 역사적으로 지역의 발전에 초석이 된 역사자원으로써 근대산업유산에 중요성과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알아보고, 활용사례를 통해 근대도시 대전의 발전에 근간이 되어온 산업유산에 가치와 활용을 재검토하는 의미로 근대 산업유산의 보존 및 대상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에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행정적인 노력에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등 폭넓은 사람들에 일체적 노력의 필요성을 다루고자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지역 활성화에 있어서 역사적 근대산업유산을 활용을 통해 도시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공동체 문화공간으로 재생되도록 정책의 연구와 산업유산을 포함하는 경관적 범위의 보존, 사회단체나 사회적 기업과 연계된 보존을 전제로 한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문화재 활용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위해 소유자간의 조정 등에 노력이 전제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산업유산 재생 설계공모에서 시민참여방안 연구 - 서울시 마포석유비축기지와 서울역 고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Participation to the Design Competition for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 Case Studies on Mapo Oil Depot and Seoul Station 7017 Projects -)

  • 신은기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1-8
    • /
    • 2016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progress of the design competition, purposed to provide urban public spaces by the reuse of industrial heritage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Berlin Tempelhof Parkland, Mapo Depot and Seoul Station 7017, following activities are common: citizen idea competition, forum, field trip, survey and winners exhibition. However, those activities are more closely organized to the competition process in Tempelhof Parkland, than other tow project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lso, it enables to clear and develop the public ideas more that those programs such as survey, citizen idea competition and field trip, are linked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Tempelhof Parkland. It could be achieved by the unified organization between competition prepar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operation.

근대산업유산의 재활용과 도시재생 디자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odern Age Industry Inheritance Reuse and Urban)

  • 우첸;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29-137
    • /
    • 2017
  • 대도시의 발전과정에서 각종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도시가 몰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도시 재생문제가 도시문제의 중대한 사항으로 대두되지 않도록 해왔다. 본 논문은 대도시 재생의 발전 배경부터 시작하여, 현재 각국에서 연구하고 있는 대도시 재생문제 현상에 대해 다룬다. 사례들을 선별,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가치가 비교적 높은 사례들 찾아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선진국들의 대도시 재생문제에 대한 우수한 조치를 알 수 있고, 다른 각도에서 대도시 재생문제 해결가능성과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생태디자인 전략 라운드와 리스트 이런 연구 방법과 사례분석 결과에 따라서 산업단지의 건설 초기에는 문화적 가치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고, 중기에는 상업과의 충분한 결합이 되도록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후기에 와서는 환경의 후속적 보호 작업에 잘 맞는지에 대해서 중요시되어야 한다.

한국에서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카페의 재생적 특징 연구 - 대형 근대문화유산의 최근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enerative Characteristics of Cafe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Recent Cases Regenerated from Large Modern Cultural Heritage -)

  • 엄준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7호
    • /
    • pp.127-137
    • /
    • 2019
  • In South Korea, the cafe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come popular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these social phenomena an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fes regenerated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the study metho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afes and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fes regenerated in South Korea. And then it looked at five cases where factories and warehouses built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1900s~1970s) of South Korea were regenerated as cafes after 2015. Finally, this study was examined the regenerative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transformed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afes by the type analysi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strategy of regen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large single, multi-functional and emotional) preferred in South Korean cafes appeared in cafes regenerated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산업유산 특성 - 삿포로와 청주 사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eritage as Regional Cultural Contents)

  • 이병민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89-117
    • /
    • 2017
  •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이 쇠퇴하고 산업구조의 변화가 일어남과 함께, 지역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때, 문화유산의 한 측면으로서의 산업유산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종래 시설과 랜드마크로 산업유산을 기계적으로 바라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지역이라는 범위 내에서 산업유산이라고 하는 '문화콘텐츠'가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려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 검토 및 정책, 사례 분석을 통해 산업유산 개념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규명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공간 맥락을 살펴보고, 주체들의 인식과 체험, 인문학적인 흔적으로서 산업유산을 바라보는 시각을 더하여, 활용방안을 최대한 살펴보려 하였다. 근대사를 중심으로 한 삿포로 사례와 옛 산업공간의 도시재생을 꾀하는 청주 사례를 통하여, 지역발전 가능성을 실제로 검토하였으며, 과거의 정체성과 현재의 다양성을 통해 미래의 활용성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영토화와 탈영토화, 재영토화 과정 등으로 지역 주기가 변화하는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산업유산 아카이빙을 위한 개인 생애서사 기반 수집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Based on Personal History for the Archiving of Industrial Heritage)

  • 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37-67
    • /
    • 2020
  • 최근 산업유산은 도시재생 바람을 타고 문화시설로 변형되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주로 외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설명 역시 거대서사로 축약된 경우가 많으며, 장소성은 충분히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유산이 가진 장소성은 역사적 기억 뿐 아니라 개인의 기억을 포함하고 있다. 정체성의 근원이 될 수 있는 장소성이 보존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소기억이 수집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개인의 생애서사를 중심으로 장소기억을 수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동역과 청주연초제조창 수집사례를 이용하여 생애서사를 사건으로 분해하였으며, 이를 장소기억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산업유산 장소 아카이빙 실행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중국 경진당(京津唐) 지역 산업 이전적지(移轉跡地) 재생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Strategies for Regeneration of Post-Industrial Sites of the Beijing-Tianjin-Tangshan Region in China)

  • 장신위;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19
    • /
    • 2022
  •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도시공간구조가 재편되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고, 중국은 대표적인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 중국의 수도권이라고 할 수 있는 북경-천진-당산으로 이어지는 경진당(京津唐) 지역은 공장과 공업단지들이 이전하고 남겨진 산업 이전적지들의 재생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경진당(京津唐) 지역의 산업 이전적지 재생 사례들을 분석하여 사업의 특징과 목표, 설계 철학과 전략을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유사한 프로젝트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경진당 지역의 산업 이전적지 재생 프로젝트를 현지 답사를 통해 조사, 분석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귀납적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진당 지역의 산업 이전적지 재생프로젝트는 산업 유산 보호, 문화적 창의성, 공동체성 증진 같은 다원화된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둘째, 대상지의 공간적, 장소적 특성과 산업유산을 존중하는 디자인 전략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내용과 대상지의 고유성이 조화되어 장소적 특징과 경관 효과를 최대화하고 있다. 셋째, 산업 이전적지의 생태적 복원에 초점을 두어 오염된 토양에 적응성 있는 식물과 자생식물을 위주로 식재하고 있다. 넷째, 조경 디자인은 조각이나 그래피티 같은 현대예술과 결합하여 대상지를 풍요롭게 하고 활성화를 촉진한다. 다섯째, 재생된 장소의 활성화 측면에서 도시적 이벤트와 대중 활동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