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시설

Search Result 2,42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산업용 열원시스템의 고효율화기술

  • 적사태의;송영학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8
    • /
    • pp.56-62
    • /
    • 2004
  • 종래 건축공조시스템의 에너지절감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사무시설이나 상업시설에 관한 것이었고, 산업 시설을 대상으로 진행된 케이스는 극히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귀중한 실측자료를 입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이에 본고에서는 산업 시설의 열원 시스템에 도입된 고효율화 기술의 에너지 절감 성능에 대해 실측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핵연료시설의 안전기준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8 s.54
    • /
    • pp.40-55
    • /
    • 1987
  • 본고에서는 영국 HSE의 ${\ulcorner}$원자력화학플랜트에 대한 안전심사지침${\lrcorner}$과 미국 DOE의 ${\ulcorner}$원자로이외의 원자력시설기준과 규준지침${\lrcorner}$ 및 일본에서의 핵연료시설에 대한 법령 작성작업의 진척상황을 소개한다.

  • PDF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Bukpyeong Industrial Complexes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Park, Woon Ji;Shim, Jung Min;Choi, Yong Hun;Lee, Gwan Jae;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5-425
    • /
    • 2021
  •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6,500톤/일)의 가동률은 30% 이하로 매우 저조하며, 폐수배출업체는 29개소로 그 수가 적어 배출오염부하량 비율에 따른 처리비용이 일부 업체의 경우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입주업체 운영비용 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에서는 운영비용의 65% 이내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하고 있으나, 동일업종에 대한 원인자비용부담금 비율의 경우, 동해시 A업체는 30.18%로 타 지역 B업체의 4.83%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지원금을 제외한 순수 처리부과금의 경우 A업체가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전체 운영비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현황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운영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법률 및 계획등을 검토한 결과, 북평산단 지역은 하수처리 구역이 아닌 공공폐수처리구역으로 산업폐수의 공공하수도처리시설 연계처리 지침에 따라 인근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처리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가동률이 저조한 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시설개선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현 처리시설의 공정개선을 통한 운영비 절감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생물 반응조 후단에서 운영 중인 가압 부상조에 새로운 배관을 설치하여, 최초 침전지 유출수를 가압부상조 처리 후, 생물 반응조로 유입하고, 최종 침전 후 총인을 제어 할 수 있는 약품투입 시설을 설치하는 공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생물 반응조 이전에 가압부상조를 설치하고, 후단 가압 부상조 미운영시 공정개선 전·후에 따른 총 슬러지 발생량은 24.2%, 탈수케익 처리비용은 27.6%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전체 처리시설에 대한 총 운영비 감소율은 13.4%로 분석되었다.

  • PDF

해양교통시설산업 발전방향

  • Kim,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5
    • /
    • 2011
  • 해양교통시설 관련 산업은 광학, 전자, 금속구조, 화학, 전파, 컴퓨터, 우주공학까지 많은 첨단가술이 복합되어 있고 자국 내 시장의 협소로 관련 산업을 육성하지 않아 세계의 대부분 시장을 소수의 선진국이 거의 독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관련 산업체와 외국 업체와의 기술을 비교하고 문제점을 도출해서 세계시장으로 진입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onbuk-Ginseng (전북인삼 명품화 방안 연구 - 진안인삼산업 중심으로 -)

  • Yoo, Byoung-Wan;Lm, Byung-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3-3
    • /
    • 2011
  • 국내 주요 인삼재배 산지 기반을 가진 전북 진안지역의 인삼 홍삼산업은, 재배농가 895호, 재배면적 402ha, 생산량 1,628톤, 홍삼가공업체 80개소, 판매업소 50개소로 지역경제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재배농가의 계열화 미흡(22%), 산지수집상(포전매매)에 의한 인근 유사 도매시장으로 재배물량과 부가가치 유출(78%), 가공시설의 노후화, 가공업체의 영세성(매출규모 연평균 2억11백만원)과 함께 중국, 캐나다, 미국 등의 국제 가격경쟁과 국내의 대기업 및 인삼산업 주요지역과의 경쟁이라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지역특화명품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삼재배산지로서 원료공급지를 기반으로 하는 재배, 유통, 가공, 품질관리, 시설분야에 이르는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산업원료 확보를 위해서는 인삼계열화 확대를 통해 원물 확보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재배분야의 경우에는 친환경재배 확대와 GAP 확대를 통해 원물의 품질경쟁력 뿐만 아니라 시장수요에 따른 브랜드마케팅 요인으로 특성화해야 한다. 유통분야는 계열화 확대를 통한 원물확보라는 산업경쟁력을 바탕으로 원료중심의 수취, 매취, 보관, 가공, 대형거래, 도소매 등 유통활성화와 유통규격포장 및 선별등급표준화를 통한 유통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가공의 경우, 원료홍삼 공급기능을 중심으로 가공산업을 선택 육성해야한다. 품질관리는 원물중심관리(성분, 잔류농약, 식품위생), 유통중심관리(연근, 등급), 경작중심관리(재배지, 재배자, 경작), 프로세스중심관리(재배 유통 가공 판매정보)로 구체화해야한다. 시설분야는 유통시설(대규모 집하시설, 보관시설 등 종합유통처리시설)과 가공시설(가공설비현대화, 가공공장 공인규격화;ISO, GMP, HACCP)의 지속적인 시설개선과 현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 PDF

Emission Characteristic and Analysis of TMA from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ites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트리메틸아민의 분석 및 배출 특성)

  • 전의찬;이성호;사재환;박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9-350
    • /
    • 2003
  • 악취의 배출원은 제지공장, 정유공장, 화학공장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시설과 축사, 음식물 처리시설, 하ㆍ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생활폐기물 매립장 등의 생활악취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산업시설의 경우, 악취배출시설에 대한 감시와 관리가 강화되었으나, 생활악취 배출시설의 경우 생활 주변에 광범위하게 자리 잡고 있어 효율적인 악취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악취 민원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생활폐기물 매립장의 경우 차폐시설을 설치할 수 없어, 지형적인 영향과 기상조건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악취의 발생 특성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관리가 더욱 어렵다. (중략)

  • PDF

ESCO Interview - 든든한 ESCO파트너, 성림산업개발(주)

  • Kim, Heon-Su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82
    • /
    • pp.38-41
    • /
    • 2013
  • 성림산업개발(주)는 열병합발전시설, 지역난방시설 및 자원회수시설 등 각종 에너지시설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업무에 20여 년간 종사해온 에너지전문가를 주축으로 1998년에 설립되었다. 성림산업개발(주)는 '국내 최상의 에너지서비스 기업으로서 최고의 에너지분야 전문가를 확보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라는 기업 이념에 따라 ESCO사업 및 에너지컨설팅,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하여 전문건설업(기계, 전기, 전문소방)분야에서 에너지 기후변화시대의 국가에너지정책에 동참하고 고객이 만족하는 에너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성림산업개발(주)를 찾아가 그동안 성림이 걸어온 길,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