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양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6초

山羊의 自然 및 誘起發情時 發情週期 및 發情持續時間에 관한 硏究 (Length of Estrous Cycle and Duration of Estrus following Natural and Induced Estrus in Korean Native Goats)

  • 이지삼;송우준;최경문;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6
    • /
    • 1991
  • 在來山羊의 發情週期와 發情持續期間을 조사하고자 정관 절제 시술한 시정모 산양을 이용하여 90두의 암산양으로부터 3년간에 걸쳐 총 148회의 방정주기를 관찰하였다. 총 481회의 발정주기의 평균기간은 18.1${\pm}$0.5이었고, 11일 이하의 短發情週期가 143회(30%), 12일에서 16일의 中發情週期가 15회(3%), 17일에서 24일의 正常發情週期가 268회(56%) 및 25일 이상의 長發情週期가 55회(11%)로 나타났다. 短發情週期의 발생율은 자연발정후(27%)보다 유기발정후(15.2${\pm}$0.8)일에 유의적(P<0.01)으로 짧았다. 短發情週期에 있어서는 143회중 6일의 기간을 가지는 빈도가 92회로 가장 많았다. 발정지속 시간의 평균은 34.0${\pm}$0.5시간이었는데, 발정지속시간에 있어서는 자연발정과 유기발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在來山羊의 發情週期는 自然發情後에 있어서 보다 誘起發情間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 재래산양 분만의 인위적 조절에 관한 연구 III. Prostaglandin $F_2\alpha$와 Estradiol-Benzoate 병용투여에 의한 분만수기 효과 (Studies on Artificial Contorl of Parturition in Korean Native Goats III.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F_2\alpha$ and Estradiol-Benezoate)

  • 윤창현;민관식;장규태;오석두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6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practical regimen for artificial parturition induction using prostaglandin F2$\alpha$(PGF2$\alpha$) and estradiol-benezoate in Korean native goats. The effect of parturition induction and the time intervals to induced parturition after injection were investigated. The birth weight and body weight of kids at 15 days of age were measured. A total of 24 pluriparous goats were offered for this experiment.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oats per treatment by the injection time(142, 145 or 148 day of pregnancy) and dosage(5.0$\times$10 or 7.5$\times$7.5mg).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 total of 24 pregnant goats were intramusculary treated with 5.0$\times$10 or 7.5$\times$7.5mg of PGF2$\alpha$ and estradiol-benzoate for parturition induction of Day 142, 145 or 148 of gestation. Parturition was induced in all of the goats(100%) treated. The kids produced from induced parturition were all healthy. The time intervals to induced parturition after PGF2$\alpha$ and estradiol-benezoate injection of 5.0$\times$10 or 7.5$\times$7.5mg to pregnant goats on Day 148(23.22$\pm$0.51~23.40$\pm$1.26hrs) were significantly(P<.01) shorter than those of the 142 days of the gestation(26.34$\pm$2.22~28.39$\pm$3.02h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ime intervals between the doses(5.0$\times$10 or 7.5$\times$7.5mg) treated for parturition induction. The birth weight of kids from induced parturi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 Day 148 and on Day 142 of gestation. However, the birth weight of kids from parturition induced on Day 148 was found significantly(P<.01) heavier than that of the 142 days of gestation. The body weight of kids at 15 days old was also significantly(P<.01) lighter in the parturition induced on day 142 than those on Day 142. The birth weight and body weight of kids at 15 days old were not affected by 5.0$\times$10 or 7.5$\times$7.5mg injection of PGF2$\alpha$ and estradiol-benzoate for inducing parturi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arturition induction by PGF2$\alpha$ and estradiol-benezoate injection of 5.0$\times$10 or 7.5$\times$7.5mg on Day 142 of gestation, which was correspondent to 8 days before expected spontaneous parturition, was available without any significant troubles.

  • PDF

재래산양의 번식기에 있어서 혈중 Steroid Hormone 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II. 임신기간중의 혈중 Progesterone 및 $20\alpha$-Dihydroprogesterone 수준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of Steroid Hormone Levels during the Reproductive Stage in Korean Native Goats II. Serum Levels of Progesterone and $20\alpha$-Dihydroprogesterone during the Gestation Period)

  • 민관식;장규태;오석두;성환후;이병오;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47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of progesterone and 20$\alpha$-dihydroprogesterone(20$\alpha$-OHP) levels during the gestation period in Korean native goats. 4 pregnant goats were offered for this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jugular vein on Day 5,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and 145 of the pregnant goats. The serum levels of progesterone and 20$\alpha$-OHP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The progesterone level in goat serum during the gestaton was low as 2.94$\pm$0.21 at 5 days, and then increased to 4.51$\pm$0.25ng/ml at 10 days of gestation and increased greatly from Days 60 and reached a peak level of 7.21$\pm$0.58ng/ml at 100 days of gestation, and thereafter decreased to 6.01$\pm$0.57, 5.26$\pm$0.64ng/ml on Days 130, 140 of gestation, and decreased to 4.05$\pm$0.52ng/ml on Days 145 of pregnancy. The serum level of 20$\alpha$-OHP during the gestation was low as 0.3~0.4ng/ml in the early stage of pregnancy, and increased gradually and increased to 0.85$\pm$0.06ng/ml, 0.97$\pm$0.08ng/ml on Days 90 or 100, and then increased to 1.18$\pm$0.18, 1.25$\pm$0.21ng/ml on Days 140 or 145 of gestation. While the serum levels of progesterone during the luteal regression decreased, the 20$\alpha$-OHP increased continuous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nzyme 20$\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20$\alpha$-HSD) catalyzing theconversion of progesterone to a biologically inactive steroid, 20$\alpha$-OHP was active properly in the luteal cells what the levels of progesterone decreased and the levels of 20$\alpha$-OHP increased during the late pregnancy in Korean native goats.

  • PDF

재래산양의 번식기에 있어서 혈중 Steroid Hormone 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III. 분만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및 $20\alpha$-Dihydroprogesterone (Studies on the Changes of Steroid Hormone Levels during the Reproductive Stage in Korean Native Goats III. Seroum Levels of Progesterone and $20\alpha$-Dihydroprogesterone before and after Parturition)

  • 민관식;장규태;오석두;성환후;이병오;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5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of progesterone and 20$\alpha$-dihydroprogesterone(20$\alpha$-OHP) levels before and after parturition, 4 pluriparous goats were offered for this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jugular vein on Days, 5, 3, 2 and 1 before parturition, the day of parturition, 1, 3, 5, 7 and 9 after parturition. The blood samples were centraifuged and stored at -2$0^{\circ}C$ until hormone assay. The serum levels of progesterone and 20$\alpha$-OHP were measrued by radioimmunoassay. The changes of serum progesterone level during peripartum period were characterized as a remarkable decrease. The progesterone level was 4.05$\pm$0.52ng/ml on 56 days before parturition and decreased to 2.24$\pm$0.38ng/ml on 1 day before parturition and 0.79$\pm$0.09ng/ml on the day of parturition and the basal level was maintained through 9 days of postpartum period. The serum level of 20$\alpha$-OHP during the peripartum period was 1.25$\pm$0.21ng/ml on 5 days before paturition and increased to 1.32$\pm$0.25 on 3 days and 1.59$\pm$0.24ng/ml on 1 day before parturition, and reached a peak level of 1.78$\pm$0.25ng/ml just prior to parturition and then decreased greatly to 0.31$\pm$0.03ng/ml on 1 day postpartum and the basal level was remained until 9 days postpartum. The high serum level of 20$\alpha$-OHP, which was peak just prior to parturition, was maintained for 2 days following the onset of remarkable decrease in the serum level of progesteron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nzyme 20$\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20$\alpha$-HSD) catalyzing the conversion of progesterone to a biologically inactive steroid, 20$\alpha$-OHP was active properly in the luteal cells in Korean native goats.

  • PDF

산양의 이종간 핵이식에 있어서 수핵난자에 따른 공여세포의 조건이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ipient Oocytes and Donor Cells Condition on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after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with Caprine Somatic Cell)

  • 이명열;박희성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13-2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caprine embryos after somatic cell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Donor cells were obtained from an ear-skin biopsy of a caprine, digested with 0.25% trypsin-EDTA in PBS, and primary fibroblast cultures were established in TCM-199 with 10% FBS. After maturation, expanded cumulus cells were removed by vigorous pipetting in the presence of 0.3% hyaluronidase. The matured oocytes were dipped in D-PBS plus 10% FBS+7.5 $\mu\textrm{g}$/ml cytochalasin B and 0.05 M sucrose. The reconstructed oocytes were electrically fused with donor cells in 0.3 M mannitol fusion medium. After the electofusion, embryos were activated by electric stimulation.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embryos with bovine cytoplasts were cultured in TCM-199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including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 for 7∼9 day. On the other hand, the NT embryos with porcine cytoplasts were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for 6∼8 day at $39^{\circ}C, 5% CO_2$ in air. In caprine-bovine NT embryos, the cleavage(2-cell) rate was 36.8% in confluence and 43.8% in serum starvation.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stage embryos was 0.0% in confluence and 18.8% in serum starvation. In caprine-porcine NT embryos, the cleavage(2-cell) rate was 76.7% in confluence and 66.7% in serum starvation.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as 3.3% in confluence and 3.0% in serum starva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ynchronization treatment between donor cells. In caprine-bovine NT embryos, the cleavage(2-cell) rate of cultured donor cells was 30.8% and 17.6% in 5∼9 and 10∼14 passage(P<0.05).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in 5∼9 passage(23.1%) than in 10∼14 passage(0.0%) of cultured donor cells. In caprine-porcine NT embryos, the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in 5∼9 passage(86.7%) than in 10∼14 passage(50.0%) of cultured donor cells.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3.3 and 0.0% in 5∼9 and 10∼14와 passage of cultured donor cells. In caprine-bovine NT embryos,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22.6% in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33.9%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28.1% in parthenotes, which was no significant differed.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ith caprine-porcine NT embryos were lower(P<0.05) in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5.1%) than in vitro fertiltzation(26.9%) and parthenotes(37.4%).

경남 통영해역의 뜬말에 서식하는 방어 유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Young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Carangidae, Perciformes) from Drifting Seaweeds in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 조선형;명정구;김종만;이진환;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3-588
    • /
    • 2002
  • 뜬말에 서식하는 방어 치어의 형태 및 출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매월 1$\~$2회에 걸쳐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면 연안의 갈도, 고암, 흥도주변 해역까지 뜬말을 채집하였다. 뜬말은 괭생이모자반, 미아베모자반 등 대부분 모자반류 (Sargassum spp.)가 대부분이었으며, 뜬말의 크기는 5월에는 직경 4m 이상인 것들이 많았고, 8$\~$9월에는 직경 0.5 m 이하인 것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방어 치어는 5월에서 7월까지 뜬말주변에서 서식하였으며, 전장은 12.9$\~$135.4mm였다. 이 시기의 방어 치어는 체측에 갈색 가로 줄무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무의는 전장 10.0-15.0mm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성장함에 따라 12개까지 증가하였다가, 전장이 130.0-150.Omm가 되면서 점차 사라졌다. 채집된 방어의 개체수와 뜬말의 밀도계수 (C) 사이에는 뚜켠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r^2=0.04, p<0.05$).

총산도를 기준한 김치의 품질수명 예측모델 연구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ility Index)

  • 이광혁;조형용;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6-310
    • /
    • 1991
  • 김치의 품질지표로써 총산 생성량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발효 및 저장기간 t(일)에 따른 총산도 $C_A$(젖산으로 환산한 %)의 생성속도는 $C_A=t^2/(K_1+K_2t^2)$의 단순한 모델로 나타낼 수 있었다. 여기서 상수 $K_1$$K_2$ 는 총산 생성속도의 온도와 식염농도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김치의 저장수명은 약 $15^{\circ}C$에서 온도의존성이 변하였으며 $0{\sim}15^{\circ}C$ 범위에서 활성화에너지 값은 20.32 kcal/mole였으나, $15{\sim}30^{\circ}C$ 범위에서는 30.32 kcal/mole로 $15^{\circ}C$ 이상에서 온도의존성이 훨씬 민감하였다. 총산도에 의한 김치의 품질수명 예측결과는 온도 $10^{\circ}C$ 이상인 경우는 관능적으로 실측한 품질수명과 잘 일치되었으나 $10^{\circ}C$ 이하에서는 예측결과가 실제보다 길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저온저장의 경우 초기 김치 품온이 저장온도까지 저하하는데 생기는 time lag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온도효과를 보정하면 저온의 경우에도 비교적 정확한 품질수명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견된다. 본 연구는 김치의 품질수명 예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단계의 결과이나 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온도, 식염농도의 영향과 이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하여 보다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발효, 유통과정 중의 품온변동에 관한 조사연구가 산학협동으로 추진되어 정확한 자료가 축적되면 효율적인 적산적인 온도관리로 양질의 김치 생산, 유통 및 품질수명의 연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Glu-Lys/Leu-Tyr-Arg-Pro이다.인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권장 수준이었다. 따라서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식이제한 보다는 자유로운 식이 섭취의 방법을 통해 더 많은 운동기간을 가지고 운동을 한다면 체중조절은 물론 근육 대사를 원활히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공정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게 기여하리라고 전망된다.ble amount of acid mucin, Most of the medium sized and small mucous cells contained neutral mucin and sialomucin, but a few mucous cells contained neutral mucin and strongly sulfomucin or neutral combined with strongly sulfomucin and sialomucin. Most of the esophageal mucous cells pf Bryzoichthys lysimus contained small amount of neutral mucin, while on the other hand a feww mucous cells contained small amount of neutral mucin and minimal amount of sialomucin. But the esophageal mucous cells of Takifugu pardalis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mucin only.분해가 더욱 촉진되었으며, 30℃에서 교반 처리를 행한 경우가 10℃에서 교반 처리를 행한 경우 보다 지방분해가 더욱 촉진되었다. 산양유 원유는 30℃에서 교반 처리 시간이 연장되어도 지방분해는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와 표준체중군 여자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남자의 53.9%, 여자의

  • PDF

멀칭 재료가 참깨재배토양의 생리성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ain Yield of Sesame)

  • 김욱한;홍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0-269
    • /
    • 1986
  • 멀칭방법이 토양물리성 개선 및 참깨의 수량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풍년깨 품종을 공시하고, 투명비닐, 흑색비닐, 짚을 멀칭 재료로 하여 시험하였으며, 출아율, 토양물리성, 근량, 잡초량, 증발산량 및 수양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생육기간중 토양수분포텐셜의 변화양상은 처리간에 큰 차리가 없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 비해 비닐멀칭구는 약 5.4%, 짚멀칭구는 약 2.8%의 수분보지효과가 있었다. 2. 최고지온은 표준구에 비해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4$^{\circ}C$ 높았으며, 짚멀칭구에서는 약 7 $^{\circ}C$ 낮았다. 최저지온은 표준구에 비하여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2 $^{\circ}C$높았고, 짚멀칭구에서 약 3$^{\circ}C$ 낮았다. 3. 생육초기에 투명비닐멀칭구의 토양수분포텐셜, 토양온도, 잡초율, 토양경도 및 토분통기능은 무멀칭표준구보다 양호했으며, 따라서 출아율도 높았다. 4. 생육후기에 토양경도는 무멀칭표준구에서 높았으며 짚멀칭구, 흑색비닐멀칭구, 투명비닐멀칭구의 순으로 낮았다. 공극률, 토양통기능 및 유수속도는 투명비닐멀칭구와 짚멀칭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총근양은 투명비닐멀칭구에서 많았으며, 흑색비닐멀칭구, 짚멀칭구, 무멀칭표준구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근양은 토심 10cm 이내에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토심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6. 잡초양은 흑색비닐멀칭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서 가장 많았다. 7. 토양경도는 토양통기능( r=-.9439**), 투수속도( ${\gamma}$=-.8229*)와 부의 유의상관을 보이며, 토양통기능과 투수속도는 근양과 유의정상관을 보였고, 근량은 수량( r=-.7378*)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처리별 증발산양간에는 유의적인 차리가 없었으나, 투명비닐멀칭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 PDF

부처손 군락지 보존계획의 수립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Plan for Colony of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 홍광표;김인혜;이혁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49-455
    • /
    • 2022
  • 문경시 산양면의 부처손 군락지는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예전에는 군락지 전체에 부처손이 군락을 이루고 자생했다고 하지만, 현재는 일부 구간에만 남아있는 것이 현실이다. 부처손 군락은 인위적인 요인과,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훼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위적인 요인으로는 부처손이 약재, 화장용으로의 효과가 입증되어 많은 사람들이 무단으로 부처손 군락을 훼손하고 있었다. 자연적으로는 덩굴식물이 번성하여 부처손군락이 뒤덮히는 현상으로 부처손이 고사하는 경우로, 유지관리를 해 주지 않으면, 부처손 군락전체가 훼손될 위험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에 일부 초화류와는 공생관계를 가지고 번식해 나가고 있는 구간도 있어, 보존전략을 계획하여 실천해 나갈 필요가 있다. 부처손 군락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위적인 훼손을 막기위한 CCTV의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반대로 휀스와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면, 넝굴식물이 쉽게 타고 올라가 오히려 더 않좋은 경관이 연출될 수 있으므로, 보존구역과 회복구역, 완충구역을 설치하여 양호한 환경은 보존하고, 회복이 가능한 구역은 회복시키며,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보충완충구역을 설치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상자료(氣象資料)에 의(依)한 배추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토양수분(土壤水分), 증발산량(蒸發散量) 및 수량(收量)의 추정모형(推定模型) (Modeling of Estimating Soil Moisture, Evapotranspiration and Yield of Chinese Cabbages from Meteorological Data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임정남;류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6-40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배추를 대상(對象)으로 1986년(年)부터 1986년(年)까지 6년간 Lysimeter시험(試驗)과 포장시험(圃場試驗)을 통하여 기상자료(氣象資料)로 부터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증발산량(蒸發散量)과 수량(收量)을 추정(推定)하는 모형(模型)을 개발(開發)할 목적(目的)으로 실시(實施)하였다. Lysimeter 시험(試驗)에서는 잠재증발산량(潛在蒸發散量)과 최대증발산량(最大蒸發散量)을 측정(測定)하였고, 관개포장시험(灌漑圃場試驗)에서는 시기별(時期別) 토양수분(土壤水分)을 측정(測定)하여 실증발산량(實蒸發散量)을 계산(計算)하고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시험(試驗)을 통(通)하여 얻어진 성적(成績)과 기상자료(氣象資料)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다각적(多角的)으로 비교(比較)하여 증발산량(蒸發散量)과 수량추정모형(收量推定模型)을 설정(設定)하고 검정(檢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잠재증발산(潛在蒸發散)의 5년간(年間) 측정치(測定値)의 평균치(平均値)는 4월초순(月初旬) 2.38mm/day 에서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점점(漸漸) 증가(增加)되어 6월중순(月中旬)에 3.98로 최고치(最高値)를 보이고 다시 감소(減少)되어 11월중순(月中旬)에는 1.06으로 떨어졌다. 기존(旣存) 공식(公式)에 의한 잠재증발산추정치(潛在蒸發散推定値)는 실측치(實測値)에 비(比)하여 Penman법(法), Radiation법(法), Blaney-Criddle법(法)은 과다(過多)하게 추정(推定)되고, Pan evaporation법(法)은 과소(過少)하게 추정(推定)되는 경향을 보였다. 추정치(推定値)와 실측치간(實測値間)에는 전체적(全體的)으로 보아 고도(高度)의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이 있었으나, Blaney-Criddle법(法)은 7, 8월(月)에 상관(相關)이 없다는 것이 특이(特異)하였다. 2. 기상요인중(氣象要因中) 잠재증발산량실측치(潛在蒸發散量實測値)와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이 있는 것은 기온(氣溫), 대기포차(大氣飽差), 일조시수(日照時數), 일사량(日射量), Pan증발량(蒸發量)이었으며, 이들 요인(要因)을 고려(考慮)한 다중회귀식(多重回歸式)은 PET산정식(算定式)으로 활용(活用)이 가능(可能)하였다. 잠재증발산량(潛在蒸發散量) 추정모형(推定模型)으로서는 Pan 증발량(蒸發量)(Eo)을 사용(使用)한 회귀식(回歸式)이 가장 간편(簡便)하고 정확(正確)하였다. PET= 0.712 + 0.705 Eo 3. 잠재증발산량(潛在蒸發散量)에 대한 최대증발량(最大蒸發量)(ETm)의 비(比)로 정의(定義)된 작물계수(作物係數)(Kc)는 배추생육초기(生育初期)에 0.5~0.7 범위(範圍)이었으며, 생육중기(生育中期)부터는 0.9~1.2범위(範圍)로 유지(維持)되었다. 작물계수(作物係數)는 생육진도(生育進度)(G ; 0~1.0)의 2차함수(次函數)로부터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봄배추 : $$Kc=0.598+0.959G-0.501G^2$$ 가을배추 : $$Kc=0.402+1.887G-1.432G^2$$ 4. 최대증발산량(最大蒸發散量)에 대(對)한 실증발산량(實蒸發散量)의 비(比)로 정의(定義)된 토양수분계수(土壤水分係數)(Kf)는 근권(根圈)의 유효수분률(有效水分率)(f)이 임계치(臨界値)(fp)이상(以上)에서는 1.0 수준(水準)으로 유지(維持)되다가 그 이하(以下) 에서는 f에 따라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되었다. Kc와 f와의 관계(關係)에 있어서 fp와 직선함수(直線函數)의 기울기는 재배시기(栽培時期)와 PET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Kf=1.0, if $$f{\geq}fp$$ $$Kf=a+b{\cdot}f$$, if f<fp 5. 층위별(層位別)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으로부더 근권(根圈)의 물보유량변화(保有量變化)(${\Delta}S$) 계산(計算)에 있어서 모관수(毛管水)의 상승(上昇)과 배수량(排水量)은 무시(無視)할 정도(程度)로 적었다. 침투량(浸透量)(I)이 있을때 표토(表土) 5cm에 보유(保有)되었다가 증발(蒸發)되어 버리는 물량(量)(Es)은 실증발산(實蒸發散) 추정한형(推定漢型)에서 별도로 고여(考濾)되어야 하며, Es는 근권(根圈)의 유효수분율(有效水分率)로부터 추정(推定)된 표사(表士) 5cm에서 증발가능(蒸發可能)한 최대(最大) 물량(Esm)과 I을 비교(比較)하여 결정(決定)할 수 있었다. Es = I if I < Esm Es = Esm if < Esm 380 6. 실증발산최(實蒸發散最)(ETa) 추정모형(推定模型)은 물수지식(收支式)에 근거(根據)하여, 모관수(毛管水)의 상하이동양(上下移動量)은 무시(無視)하고 잠재증발산양(潛在蒸發散量)(PET), Kc, Kf, Es를 고려(考慮)하여 아래식(式)으로 설정(設定)되었다. $$ETa=PET{\cdot}Kc{\cdot}Kf+Es$$ 7.배추의 상대수양(相對收量)(Y/Ym) 추정모형(推定模型)은 재배기간중(栽培期間中)의 ETa의 대수함수(對數函數)의 형태(形態)로 설정(設定)되었다. $$Y/Ym=a+b{\cdot}{\ell}n(ETa)$$ 봄배추 : a=0.07, b =0.73 가을배추 : a=0.37, b =0.66 8. 설정(設定)된 모형(模型)에 의해 추정(推定)된 실증발산양(實蒸發散量)과 상대수양(相對收量)을 실측치(實測値)와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실증발산추정치(實蒸發散推定値)의 평균편차(平均偏差)는 봄배추에서는 0.29mm/day, 가을배추에서는 0.19mm/day이었으며, 상대수양추정치(相對收量推定値)의 평균편차(平均偏差)는 봄배추에서는 0.14, 가을배추에서는 0.09이었다. 9. 모형설정(模型設定)이 완료(完了)된 이후(以後) 별도(別途)로 3작기(作期)에 대(對)한 실측치(實測値)와 추정치간(推定値間)의 편차(偏差)도 모형설정기간(模型設定期間)의 것보다 오히려 더 적게 나오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따라서 본추정모형(本推定模型)은 실제(實際) 활용가치(活用價値)가 있다고 판단(判斷)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