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소 투과성

Search Result 26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Polymeric Membranes for Oxygen-electrode System (산소전극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분자막에 관한 연구)

  • 박희영;김현준;정용섭;홍석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52-53
    • /
    • 1995
  •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산소/질소 분리용 고분자 분리막은 비교적 낮은 선택도를 가지고 있다. 즉, 이점은 확산도와 용해도를 조절함으로써 분리막의 투과선택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보다 높은 투과도와 투과선택도를 갖는 새로운 고분자 재료의 선택이 분리막을 통한 기체 분리나 그 상업적 이용에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PSf는 상용성, 화학적 내구력, 강도,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우수한 기체투과성질을 가진 고분자로 분리막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Erb 등은 용매로 DMF(dimethylformamide)와 THF(tetrahydrofuran)를 사용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상부 흐름압력이 5atm일때 각 기체의 투과도 계수는, 헬륨이 11, 이산화탄소가 5.5, 메탄이 0.5, 질소가 0.2였으며, PSf막에 대한 각 기체의 투과는 Henry mode보다 Langmuir mode에서 더욱 우세하게 일어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Ghosal 등은 PSf에 nitro기를 도입한 nitrated PSf의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nitro group이 치환된 PSf막이 nitro group이 없는 막에 비해 투과도는 낮았지만 선택도는 증가하였다. 구조가 다른 여러가지의 PSf막을 통한 기체 투과성질은 Ghem 등에 의해 밝혀졌다. Membrane-covered probes를 이용한 폴라로그램(polarogram) 방법은 산소를 측정하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업ㅂ으로, 산소 탐침(oxygen probe)의 원리는 소위 효소 전극을 발전시키는데 이용되어 왔다. 효소전극은 산소와 실험하고자 하는 물질간의 특정한 효소반응에 기초를 둔 다양한 물질의 선택적 측정을 위한 것이다. 이때 센서에 응용되는 합성막은 산소에 대해 선택적인 투과를 해야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산소확산계수와 물에 대해서는 낮은 투과도를 가져야 한다. 높은 산소확산계수는 반응을 빠르게 하는 잇점이 있으며 물에 대한 낮은 투과도는 센서내의 전해질 물질을 유지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분리막이 산소전극에 이용될 경우 높은 산소 확산계수 이외에도 적절한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

  • PDF

지르코니아 박막의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산소 효과에 관한 연구

  • Bang, Gi-Su;Yun, Hoe-Jin;Jo, Deok-Ho;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60.2-360.2
    • /
    • 2014
  • 박막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면에는 반사방지막을, 후면에는 고반사막을 적용한다. 태양전지 구조에서 고반사막을 대신하여 선택적 투과막을 적용할 경우 가시광선은 투과하고 적외선은 광 흡수층으로 재반사되기 때문에 변환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동시에 투명 태양전지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 투과 특성을 보이는 지르코니아 박막의 광학적 특성이 이미 보고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박막을 증착하고 산소 유량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관찰한 후 이를 통해 선택적 투과막 성장에 적합한 산소 유량 조건을 얻고자 하였다. 산소 유량에 따라 지르코니아 박막의 투과율은 400 nm 이상의 파장에서 약 10%에서 약 85%의 범위에서 변화하였고 반사율은 적외선 영역에서 최소 약 30%에서 최대 약 60%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반응성 스퍼터링 시 산소 유량이 지르코니아 박막의 광학적 특성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 PDF

Polymerization of Hydrogel Contact Lens with High Oxygen Transmissibility (산소투과성이 뛰어난 Hydrogel 콘택트렌즈 합성)

  • Sung, A-Young;Kim, Tae-Hun;Kong, Jung-Il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1 no.1
    • /
    • pp.49-53
    • /
    • 2006
  • Acrylate -PDMS(Polydimethylsiloxane)-Urethane Prepolymer is synthesized through treating diisocynate, HEMA(2-hydroxyethylmethacrylate) and bis(hydroxyalkyl)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having high oxygen permeability under the DBTDL(Dibutylitin dilaurate) catalyst. Modification of HEMA on bis(hydroxyalkyl)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is to be able to polymerize with other contact lens materials. And modification of urethane on bis(hydroxyalkyl)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is to increase elastic property and oxygen transmissibility. This material is analyzed by FT-IR and also will be used to make hydrogel contact lens.

  • PDF

짧은 실록산사실을 가지는 폴리아조메틴의 합성 및 산소선택투과성

  • ;Aoki, Toshiki;Itoh, Katsuhito;Oikawa, Eizo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4a
    • /
    • pp.38-39
    • /
    • 1996
  • 우수한 산소선택 투과막 소재를 얻기 위하여 높은 산소투과계수를 보이는 짧은 실록산 사슬과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피리딘 고리를 번갈아 가지는 폴리 아조메틴을 합성하여 얻어진 막의 산소투과성을 검토했다. 또 같은 방법으로 합성한 폴리아미드의 한소투과특성과의 비교도 시도하였다.

  • PDF

플라즈마 중합을 이용한 이중막의 제조 및 그 막을 통한 기체의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 오세중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4a
    • /
    • pp.19-20
    • /
    • 1994
  • 막(Membrane)을 이용한 기체분리는 막층 네에서의 기체분자의 투과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체분리를 행하는 것으로 공기중 산소의 분리 (산소부화막 이라고도 한다), 수성가스중의 수소의 농축분리, 탄화수소가스중 이산화탄소의 분리, 그 외에 산업폐가스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의 분리등이 있다. 이 중 산소부화막은 의료용 산소공급장치나 산업용 용광로의 연소효율 증진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산업폐가스이 분리공정은 환경공학적 측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산소흡탈착능을 가지는 산소부화막의 개발

  • ;;荒木 孝二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21-24
    • /
    • 1997
  • 1.서론 : 산소선택성이 좋은 투과막은 산소부화에 의한 연소효율의 향상, 간이 산소발생장치에의 응용 등 여러가지의 용도가 예상된다. 이를 위한 준비단계로 막소재 및 막형상에 대한 검토가 \ulcorner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높은 산소선택성을 발현하는 방법이 주목되어지고 있는데 이는 가역적 산소흡탈착능을 갖는 carrier분자를 이용한 촉지운송계(facilitated transport system)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salen)]과 같은 $N_2O_2$형 평면정방착제(Square planar complex)이며, salen의 shift염기부분을 bipyridine cycle, phenoxide부분을 해리한 amide로 골격변환한 구조를 갖고 있는 6,6'-bis(benzoylamino)-2,2'-bipyridine(babpH$_2$)의 covalt착체([Co(babp)]를 배위결합에 의해 고분자막중에 고정하고, 산소흡탈착능, 산소투과성, 안정성 등을 검토하는 것을 바탕으로 우수한 선택성 산소투과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tudies on the Oxygen Permeability and It's Proofness of the Various Commercial Polymer Films (상업용 고분자 필름의 산소투과도 및 산소투과 방지도에 관한 연구)

  • Suh, Hwan-Kyu;Kim, Joon-Soo;Lee, Jung-Ke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15 no.1
    • /
    • pp.3-9
    • /
    • 1980
  • The oxygen permeability and it's proofness of te various commercial polymer films have been investigated at the constant pressure and temperature. Oxygen proofness, the reciprocals of the oxygen permeability for the various sample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a coulometric oxygen permeability tester. The testing of sample films was performed at constant temperature $(23{\pm}1^{\circ}C)$ under 1 atm. for 24 hours. The order of the relative proofness observed are as follows; oriented Nylon (O. Nylon)> oriented Polyester (O. PET)>nonoriented Nylon (N. Nylon)>nonoriented Polyester (N.PET)> rigid Polyvinyl chloride (Rigid PVC)>semirigid Polyvinyl chloride (Semirigid PVC)> oriented Polypropylene (O. PP)>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 (P. PVC)> casted Polypropylene (C. PP)>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Inflation)> high density-polyethylene (HDPE, T-die) The oxygen proofness of the films was increased with the polarity cf polymer, the film thickness and mechanical orientation an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lasticizer in PVC. For the use of wrapping materials, one film with the polar property in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molecule and the others with nonpolar property in it are laminated for the protection from oxygen and moisture.

  • PDF

Wave Field Analysis around Permeable Breakwaters (투과성 방파제 주변의 파랑장 해석)

  • 곽문수;이기상;편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49-55
    • /
    • 2002
  • 항만을 계획함에 있어서 방파제는 가장 대표적인 계획요소로서 주된 목적은 외해로부터 내습하는 파랑을 차단하여 항내의 정온수역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투과성 방파제의 경우는 페쇄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연안에서의 물질순환 체계가 구조물 건설전의 환경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져 심각한 환경부작용이 초래되어 왔다. 육상으로부터 유입된 유기물질이 외해로 확산되지 못하고 항내에서 누적됨으로서 부영양화가 일어나며 항외에서의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해수의 유입이 차단됨으로서 항내는 만성적인 산소부족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중략)

  • PDF

PMDA-MDA/Phenylene diamine 계열의 공중합체막의 산소, 질소 투과특성에 관한 정성적 고찰

  • 이경록;나성순;김종표;민병렬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49-50
    • /
    • 1996
  • 비다공성막에서의 기체투과는 분리용막의 재료가 되는 기능성 고분자와 분리하고자 하는 기체 혼합물과의 작용이 투과확산을 지배하며 고분자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되는 극성, 수소결합, 응집 에너지 밀도, 고분자 주쇄 유연성, 입체장애, 주쇄간 거리, 측쇄기의 운동성 등의 많은 인자들과 막결정화도 등의 인자들이 복합되어 기체투과에 작용하기 때문에 고분자 구조와 투과 특성과의 관계가 정량적으로 밝혀지지않고 있으나, 실험적 사실을 근거로 정성적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몇가지 고분자막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측정가능 물성들과 투과 특성을 상관시킬 수 있다. 폴리이미드막은 합성되는 diahydride와 diamine의 변화에 의해 다양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막을 만들 수 있으며 이들 막의 물성치들과 투과특성들도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PMDA-MDA polyimide를 기본으로하여 다른 종류들의 Phenylene diamine을 첨가시켜 제조한 서로 다른 화학적 구조를 갖는 기체분리막들의 측정 가능한 물성치들과 산소, 질소 투과특성의 연관상을 연구하여 이들 사이의 정성적 상관성이 있음을 고찰한다.

  • PDF

Permeation and diffusion of gases through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Polytetrafluoroethylene막을 통한 기체의 투과 및 확산)

  • 김형민;김남인;이우태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34-35
    • /
    • 1994
  • 기체혼합물의 분리및 정제기술은 에너지 절약의 관점과 새로운 기능성 고분자의 개발로 고분자막에 의한 분리법이 관심을 끌게되었다. 공기로부터 산소부화, 방사성 크세논 및 크립론의 제거, 제련소 폐가스증의 수소분리, 천연가스로부터 헬륨의 회수분야등은 실제로 산업적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막은 일반적으로 투과성과 선택성이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투과성과 분리성이 좋은 기능성 고분자막의 개발에 다양한 연구가 필요로 하고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PTFE(polytetrafluoroethylene)는 결정성 고분자로서 넓은 온도범위에서 낮은 마찰계수, 우수한 전기적 절연특성, 강한 Carbon-fluorine 겹합에 기인한 높은 열적 안정성, 화확적 불활성때문에 공업용 고분자 재료로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 미국과 일본을 주축으로 상용화딘 공기전지(Zinc-air battery)는 PTFE막의 뛰어난 소수성과 화학적 저항성으로 수은 전지의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장기 방전시 성능 저하가 따르므로 막을 통한 산소투과성을 방전에 필요한 최소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