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소소비량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체중 변화에 따른 산소 소비량

  • 김유희;조재윤;김병기;전중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57-358
    • /
    • 2001
  • 산소는 모든 육상 동식물뿐만 아니라 수중 동식물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다. 양식에 있어 산소는 고밀도 사육시 환경 수용력을 조절하는 요인으로 그 중요성은 생물학적 그리고 경제적인 면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산소 소비량에 대한 연구는 담수어류를 대상으로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해산어류의 경우 산소 소비량과 관련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Honda 1988; Kikuch et al., 1990; Lemarie et al., 1988).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한 산소소비량의 연구는 주로 채수를 통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측정할 수 있는 횟수는 한정되어 있어 정확한 산소 소비량을 산출하기 어렵다. (중략)

  • PDF

염분변화에 따른 황복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배설

  • 이정열;김덕배;성용식;송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02-102
    • /
    • 2003
  • 황복(Takifugus obscurus)은 주로 황해에 분포하며 봄철에 서해안으로 흐르는 금강, 한강 및 임진강으로 소상하여 강의 중상류에서 산란하는 소하성어류이다. 특히 황복은 바다와 하천을 오고 가는 관계로 해수뿐만 아니라 민물에서도 양식이 가능한 어종으로 다른 소하성어류와 마찬가지로 염분변화에 따른 삼투조절능력이 매우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황복이 급격히 염분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을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의 변화로 염분변화에 따른 생리적 적응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황복은 전장 10cm(체중 15~25g) 전후의 치어로서 염분 32, 22, 12, 및 2 ppt로 조절되어 있는 FRP수조(500 L)에서 2개월간 사육 후, 각기 염분을 달리한(32, 22, 12, 2 ppt) 호흡측정 장치에 황복을 수용하여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을 측정하였다. 한편, 사육 시스템내에서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의 배설경향을 보기 위하여 염분 16ppt에서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을 25시간 관찰하였다. 산소소비 경향은 대체로 염분이 낮을수록 높은 산소소비 경향을 보였는데, 실험염분 32ppt에서는 2~32ppt 사육군 모두 다른 실험염분(22, 12, 2 ppt) 사육군보다 안정되고 낮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험염분 22, 12 및 2 ppt에서는 각기 실험염분과 동일한 염분 사육군에서 가장 높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낸 반면 32 ppt 사육군은 모든 실험염분에서 가장 낮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 질소의 배설경향은 실험염분 2 ppt를 제외하고는 2 ppt 사육군에서 가장 높은 질소 배설율을 보였으나, 실험염분 2 ppt에서는 오히려 현저히 낮은 암모니아 질소 배설율을 나타내었다. 저 염분(2, 12 ppt)에서 사육한 황복은 22 및 32 ppt에서 사육된 황복에 비해 저염분에 노출될 경우 삼투조절을 위해 암모니아 배설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사육 시스템내에서 조사된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 배설경향은 섭이와 관련하여 일간리듬을 보였는데, 산소소비는 섭이 3시간 후에 최고를 보였으며 암모니아 질소 배설은 섭이 4시간 후에 각각 최고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선발 계통, 일본산 양식 계통 그리고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수온과 광주기 변화에 따른 산소 소비율

  • 오승용;노충환;홍경표;조재윤;김종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14-115
    • /
    • 2003
  • 양식 생물에게 있어 용존산소는 호흡에 필수적이며, 양식 시설 내에서 적절한 용존 산소량을 유지하는 것은 생산량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어종, 수온, 광주기, 나이와 크기, 어류의 행동과 먹이 공급 및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 중 같은 종 내에서 선발육종된 개체와 일반 양식 종 그리고 이들 계통간 잡종에 대한 대사 효율 즉, 용존산소 소비율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선발육종 해 온 참돔과 일본 양식산 참돔 및 이들의 교배 자손들을 대상으로 수온과 광주기 변화에 따른 용존산소 소비율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일본 양식산인 TPN 교배구 자손과 한국해양연구원 선발육종산인 KORDI F4 교배구 자손, JPN♀×KORDI F4♂ 그리고 KORDI F4♀×JPN♂ 교배구 자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체중이 각각 52.0±0.6 g(JPN 교배구; 그룹 1), 52.3±0.7 g(JPN♀×KORDI F4♂; 그룹 2), 51.7±0.4 g(KORDI F4♀ × KORDI F4♂; 그룹 3) 그리고 52.1±0.7 g(KORDI F4♀ × JPN♂; 그룹 4)인 참돔 치어를 각각 5마리씩 3반복 수용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육수의 pH는 8.1±0.1, 염분도는 34.0±0.5‰로 유지하였으며, 실험 장치는 김(1999)이 고안한 순환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수온은 각각 15℃, 20℃ 및 25℃로 변화시켰으며 각 수온 조건에서 광주기를 24L:0D, 12L:12D 그리고 0L:24D로 변화시켜 매 조건마다 용존 산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JPN 교배구인 그룹 1의 경우, 수온 15℃일 때 산소 소비량은 170.35∼266.29 mg O₂/kg fish/hr의 범위를 보였으며 수온 20℃와 25℃일 때 각각 236.76∼307.37 mg O₂/kg fish/hr와 346.96∼459.30 mg O₂/kg fish/hr 범위를 보여 수온 상승에 따라 산소 소비량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2의 경우, 수온 15℃일 때 산소 소비량은 162.01∼279.51 mg O₂/kg fish/hr의 범위를 보였으며 수온 20℃와 25℃일 때 각각 303.48∼342.72 mg O₂/kg fish/hr와 447.18∼528.45 mg O₂/kg fish/hr 범위를 보여 그룹 1과 마찬가지로 수온 상승에 따라 산소 소비량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3의 경우, 수온 15℃일 때 산소 소비량은 170.11∼220.98 mg O₂/kg fish/hr의 범위를 보였으며 수온 20℃와 25℃일 때 각각 262.62∼282.27 mg O₂/kg fish/hr와 302.24∼415.73 mg O₂/kg fish/hr 범위를 보여 그룹 1, 2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룹 4의 경우, 수온 15℃일 때 산소 소비량은 156.03∼214.49 mg O₂/kg fish/hr의 범위를 보였으며 수온 20℃와 25℃일 때 각각 238.40∼274.28 mg O₂/kg fish/hr와 379.93∼430.97 mg O₂/kg fish/hr 범위를 보여 수온 상승에 따라 산소 소비량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룹 1, 2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실험구에서 수온 상승과 함께 산소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산소 소비량은 그룹 2에서 관찰되었다. 실험 결과 JPN 계통의 암컷을 사용하여 생산된 그룹 1과 2의 산소 소비량이 KORDI F4 계통의 암컷을 사용한 그룹 3, 4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적인 명기 조건인 24L:0D에서 수온 15℃의 경우 그룹 1, 2, 3 그리고 4의 시간당 산소 소비량은 각각 266.29 mg O₂/kg fish/hr,279.51 mg O₂/kg fish/hr, 220.98 mg O₂/kg fish/hr 그리고 214.49 mg O₂/kg fish/hr으로 나타났고, 명기와 암기가 동일한 조건인 12L:12D에서는 각각 192.20 mg O₂/kg fish/hr, 258.03 mg O₂/kg fish/hr, 192.76 mg O₂/kg fish/hr 그리고 170.40 mg O₂/kg fish/hr로 나타났다. 또한 연속적인 암기 조건인 OL:24D 조건에서는 각각 170.35 mg O₂/kg fish/hr, 162.01 mg O₂/kg fish/hr, 170.11 mg O₂/kg fish/hr 그리고 156.03 mg O₂,/kg fish/hr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온 20℃와 25℃에서도 그룹간의 변화는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연속 명기 조건인 24L:0D에서의 산소 소비량이 명기와 암기가 동일한 조건인 12L:12D와 연속 암기 조건인 0L:24D에서의 산소 소비량 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 2의 연속 명기 조건에서 528.45 mg O₂/kg fish/hr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룹 4에서는 대사량이 점점 더 높아지는 수온 상승과 함께 연속 명기 조건과 더불어 12L:12D 조건에서의 산소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ve Biopotency of Tri-iodothyronine and Thyroxine for Inducing Oxygen Consumption in Young Chicks (유추의 산소소비량 촉진에 관한 Tri-iodothyronine과 Thyroxine의 생물학적 효력)

  • 황보종;하정기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7 no.2
    • /
    • pp.79-82
    • /
    • 199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relative biopotency of tri-iodothyronine ($T_3$) and thyroxine ($T_4$) to induce oxygen consumption in young chicks. Four experimental groups of 3 chicks were injected with $T_3$ or $T_4$ at a dose of 500 or 1000mg per kg body weight, and thereafter oxygen consumption was measured by indirect calorimetry using a respiration apparatus. Oxygen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and 4 hour in the $T_3$ or $T_4$ treated chicks at 500mg at 2 hour. From coefficient of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of oxygen consumption on $T_3$ or $T_4$, it was concluded that $T_3$ was shown to be two to three times as biologically active as $T_4$.

  • PDF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on Oxygen Consump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순환여과식 사육 시설에서 사료 공급 횟수에 따른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산소 소비량)

  • KIM Youhee;JO Jae-Yoo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2
    • /
    • pp.144-148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actual oxygen consumption rat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t a commercial scale high density culture tank in the recirculating culture system,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this species with different daily feeding frequencies. Nile tilapia, an average of 400 g and a total wright of 390 kg, were stocked in a circular concrete tank of 2.9 m in diameter and 0.8 m in depth, in a recirculating culture system. The fish were fed commercial diet 1, 2, 5, and 9 times per day between 09:00 h and 19:00 h. feed was evenly supplied where the fish were fed more than once a day. Dissolved oxygen of influent and effluent water was monitored every 50 seconds by a computer with electrodes for 24 hours. The standard metabolic rate of tilapia was $39.31{\pm}4.4mg\;O_2/kg$ fish/hr in the present study. The maximum oxygen consumption was reached between 30 to 50 minutes after feeding. The maximum oxygen consumption levels of 1, 2, 5, and 9 feeding times per day were 161.2, 123.4, 111.1 and 111.1 mg $O_2/kg$ fish/hr, respectively. While the mean oxygen consumption levels of 1, 2, 5, and 9 feeding times per day were $79.9{\pm}21.5,\;81.3{\pm}14.8,\;84.2{\pm}9,9$ and $98,9{\pm}11.0mg\;O_2/kg$ fish/hr,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oxygen consumption rates a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the feeding frequenci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sign to provide desirable oxygen supply system in the recirculating high-density tilapia culture system.

  • PDF

Study on the Oxygen Consumption of Surfclam, Mactra veneriformis REEVE (동죽 (Mactra veneriformis REEVE)의 산소소비에 관한 연구)

  • LEE Jeong-Yeo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9 no.5
    • /
    • pp.614-619
    • /
    • 1996
  • Seasonal of gen consumption of surfclam, Mactra veneriformis in Kunsan coastal area had been measured under seasonal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 from January to December 1994.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y shell length of 2 cm (1 year class) and 3 cm (2 year class). The effects of temperature $(15,\;20\;and\;25^{\circ}C)$ and salinity $(10,\;20\;and\;30\%_{\circ})$ showed that oxygen consumption decreased with the lower temperature and salinity. Seasonal changes of oxygen consumption in surfclam varied with ambient temperature; it was showed below $0.5mg{\cdot}g^{-1}{\cdot}h^{-1}$ winter season and $1.93\~2.44\;mg{\cdot}g^{-1}{\cdot}h^{-1}$ in summer season. The difference of oxygen consumption in two groups was appeared markdly in summer s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the seasonal ambient temperature were obtained exponential equation as $Y=e^{-1.6312+0.0879X}$ for 2 cm group and $Y=e^{-2.2366+0.0994X}$ for 3 cm group. The slop of regression lin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nd 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tterns of the oxygen consumption between two groups.

  • PDF

A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of lifting and lowering tasks for energy expenditure at farm work (중량물 들고 내리기 농작업 자세의 에너지 소모량 평가 시스템 개발)

  • Sim, Taeyong;Kim, Bori;Youn, Su Hyun;Mun, J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5-145
    • /
    • 2017
  • 농작업 자세 중에서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는 자세는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행위로 분류된다. 이는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도구에 의해 위험도 별로 정량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농작업 자세를 개선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작업자세 부하 평가방법들은 동적 자세를 평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뿐 만 아니라 평가 과정에서 관찰자의 주관성이 개입 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적 자세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Energy expenditure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Energy expenditure는 체중, 성별 등과 같은 작업자 관련 변수와 중량물의 무게, 들어 올리는 높이, 빈도수 등과 같은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최대 산소소비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작업자 및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자동 측정하는 시스템은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와 깔창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6명), 여성(6명)을 대상으로 20kg의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Energy expenditure 값을 산출하였고, 산소소비량 측정 장비를 통해 획득된 최대 산소소비량($VO_2$)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Energy expenditure 값과 최대 산소소비량 간 상관관계는 0.984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0.9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에너지 대사율 평가시스템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실제 농작업 자세 부하를 동적인 상태에서 평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산소소비량 측정기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현장 적용성이 뛰어 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활어 수송을 위한 기초연구 1. 저온순치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산소소비율 변화

  • 전중균;김완수;김병기;명정구;김유희;이수형;김영명;김종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10-311
    • /
    • 2000
  • 산소소비량은 어류 양식 시설의 수용 능력을 결정하거나 활어를 수송할 경우에 특히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활어 수송 시에는 산소소비를 낮추려고 마취제, 이산화탄소, 전기자극 등의 방법으로 일시적으로 가사 또는 가면 상태로 하여 운송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어류의 산소소비량과 대사량을 최소화하도록 수온을 낮추어 운송한다. (중략)

  • PDF

Oxygen Consumption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on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참메기, Silurus asotus의 수온과 광주기 변화에 따른 산소 소비량)

  • JO Jae-Yoon;KIM Youhe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1
    • /
    • pp.56-61
    • /
    • 1999
  • Oxygen consumption rate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weighing 280g, was measured using continuous flow respirometry chamber linked computer monitoring system. Mean oxygen consumption rates at $15^{\circ}C,\;20^{\circ}C,\;25^{\circ}C$, and $30^{\circ}C$ were ranged in 35.2$\~96.4mg\;O_2/kg$ fish/hr, 78.6$\~127.9mg\;O_2/kg$ fish/hr, 120.1$\~231.7mg\;O_2/kg$ fish/hr, and 197.5$\~352.3mg\;O_2/kg$ fish/hr, respectively.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p<0.05). A photoperiod-mediated oxygen consumption rates was higher during the light period than during the darkness (P<0.05). When acclimated with different photoperiods, 24L:0D, 12L:12D, and 0L:24D, the lowest oxygen consumption rate was observed in the continuous darkness (0L:24D). The differences between maximum and minimum oxygen consumption rates oyer 24 hour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difference was the highest in 12L:12D. Oxygen consumption rate changed suddenly at dawn and at dusk.

  • PDF

Effect of Fish Number in Respiratory Chamber on Routine Oxygen Consumption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Reared in Seawater or Freshwater (해수 및 담수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호흡측정실내 수용개체수에 따른 산소소비 비교)

  • Jeong, Min-Hwan;Kim, Young-Soo;Min, Byung-Hwa;Chang, Young-Jin
    • Journal of Aquaculture
    • /
    • v.20 no.2
    • /
    • pp.121-126
    • /
    • 2007
  • Comparison of fish number on routine oxygen consumption (OC)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reared in seawater (SW) versus freshwater (FW) was performed in closed water-recirculating system containing respiratory chamber. Fish acclimated in separate indoor tanks with SW or FW were sampled as two groups (one or three of fish used, $mean\;{\pm}\;S.D.=36.4{\pm}9.8$). OC of fish reared in both SW and FW showed clear temporal rhythms, with higher values in the daytime and lower values at night, in accordance with light (09:00-21:00 h) and dark (21:00-09:00 h) phases of the diel cycle (12L:12D). The OC of the fish increased linearly with the water temperature. The OCs of black porgy reared in SW and FW at 15, 20, $25^{\circ}C$ were 140.0, 174.8, 282.3 mg $O^2{\cdot}kg^{-1}{\cdot}h^{-1}$ and 177.5, 307.8, 413.1 mg $O^2{\cdot}kg^{-1}{\cdot}h^{-1}$ for the one of fish used, and 200.5, 274.7, 339.1 mg $O^2{\cdot}kg^{-1}{\cdot}h^{-1}$ and 118.2, 188.2, 252.8 mg $O^2{\cdot}kg^{-1}{\cdot}h^{-1}$ for three of fish used, respectively. Black porgy reared in SW had higher ventilation rates than those in F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lack porgy reared in FW had higher OC than those in SW at the one of fish used, but the fish reared in SW had higher OC than those in FW at the three of fish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