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생성도

검색결과 2,384건 처리시간 0.035초

세륨(Ⅳ)에 의한 말론산의 산화반응에 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the Oxidation Reaction of Malonic Acid by Ceric Ion)

  • 김왕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705-709
    • /
    • 1994
  • 1M 황산용액에서 세륨(Ⅳ) 이온에 의한 말론산의 산화반응에 관한 반응속도를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말론산이 과량으로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측정된 유사일차 속도상수, $k_{obs}$는 말론산의 농도, [MA]에 따라 크게 의존함을 보였으며 $k_{obs}$ = (0.592[MA])/(1+14.5[MA]$^2$)의 관계를 만족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반응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말론산의 산해리에 의해 생성된 enolate형 음이온과 Ce(Ⅳ)간의 전자이동반응이 반응속도 결정단계이며, MA의 고농도하에서 Ce(Ⅳ)과 enolate형 음이온간의 1:2 chelate생성반응에 의하여 Ce(Ⅳ)의 농도가 감소하여 산화반응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메카니즘에 근거하여 Sengupta 등에 의해 연구된 pH 의존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대식세포에서 산더덕에 의한 NO 생성 및 싸이토카인 유도효과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Cytokines in Macrophages by Codonopsis lanceolata)

  • 소미선;이진실;이세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86-990
    • /
    • 2004
  • 대식세포는 IL-1, IL-6, $TNF-{\alpha},\;IFN-{\gamma}$의 중요한 근원이고, 전염성의 병원체와 종양 세포에 대해 저항하는 주요한 effector 세포이다. 이것은 cytokine signal에 의해 세포파괴가 되도록 활성화 된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산더덕의 물 추출물이 cytokine, nitric oxide와 같은 effector 분자를 유도하기 위해 대식세포를 활성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산더덕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은 농도 의존적이고, 시간 의존적이었다. iNOS는 시간이 지날수록 발현이 유도되었다. 산더덕 추출물에 의한 IL-1과 IL-6 mRNA 유도는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 되었고, 처리 후 24시간에 최고점에 도달하였다. 이것은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종양세포를 죽일 수 있음을 말한다. $TNF-{\alpha}\;mRNA$의 양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였고, $IFN-{\gamma}\;mRNA$의 양은 산더덕 추출물의 처리 1시간 후에 빠르게 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더덕은 효과적인 면역조절자이고 대식세포의 항종양활성을 강화함을 알 수 있다.

대두유의 탈취조건과 trans 지방산 생성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odorizing Condition and Production of Trans Fatty Acids in Soybea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6-170
    • /
    • 2006
  •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탈취온도, 진공도, cycle time 및 stripping steam 주입량의 4대 요소를 조정하여 탈취를 행한 후 탈취유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trans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탈취온도가 높을수록 AV, POV는 하락하였으나 trans 지방산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진공도는 4torr 수준이 적정하였으며, CT는 길어질수록 효과가 우수하였다. SS주입량은 2.0%(w/w) 수준이 가장 적절한 조건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대두유에서 trans 지방산 함량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는 탈취조건은 최고 탈취온도 $235^{\circ}C$, 진공도 4torr, CT $14{\sim}15$분 및 SS주입량 2.0%(w/w)내외의 조건에서 trans 지방산 함량 0.31% 내외의 우수한 탈취유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탈취과정에서 trans 지방산 생성량을 극소화하기 위하여는 탈취온도가 가장 중요하였는데, AV, POV 등 다른 품질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때, 더 이상의 탈취온도 하락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 표면 분석법을 이용한 홍삼 사포닌으로부터의 사과산 활용 진세노사이드 Rg3 전환 최적화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of Malic acid-catalyzed Ginsenoside Rg3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기성;박준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5-383
    • /
    • 2023
  • 최근 다양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로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도가 높은 홍삼 사포닌의 한 종류인 진세노사이드 Rg3를 위한 사과산(malic acid)활용 전환 방법을 확인하였다. 실험 계획법인 반응 표면 분석법(RSM)을 활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3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 조건을 설계 및 검증하였다. 주요 독립변수는 사과산 농도, 반응 온도와 반응 시간이었고 Box-Behnken design (BBD)법에 따라 설계된 실험 조건으로 진세노사이드 Rg3로 전환을 수행하고 최적화 조건을 분석하였다.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Rg3의 농도는 1.548 mg/L에서 최대 4.558 mg/L까지 확인되었고 사과산 1%, 50℃, 9 h에서 가장 높은 양의 진세노사이드 Rg3생성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g3의 생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과산의 농도, 반응 시간, 온도 순이었다. 또한, 사과산의 농도와 반응 시간의 교호작용이 반응 온도 요인보다 영향도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Sucrose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시 생성되는 점성물질의 본성에 대하여 (The Nature of Viscous Polysaccharide Formed Kimchi Added Sucrose)

  • 한영숙;우경자;박영희;이태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8-202
    • /
    • 1997
  • 김치 담글 때 조미료로 sucrose를 첨가한 경우, 발효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김치국물의 정도가 증가한다. 이 현상은 장김치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금으로 담근 김치를 대조구로 하여 간장으로 담근 장김치에서의 정도 증가를 비교하였으며 이 점성물질의 본성을 밝힘과 동시에 그 생성조건을 검토하였다. 장김치국물에 에탄올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를 단위체로 한 polysaccharide인 dextran으로 밝혀졌다. 이 dextran의 생성에는 glucose 보다는 sucrose가 효과적이며, sucrose의 농도가 10%까지 증가함에 따라 점도는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또 소금보다는 간장으로 담근 김치에서 정도가 높았으며, 협기적인 조건보다는 호기적인 조건에서 점도가 높았다. 장김치는 소금김치 보다 산생성이 많았으며 당을 첨가한 경우 산 생성량은 증가하였다. 또 환원당량은 sucrose를 첨가한 경우 김치숙성 초기에 크게 증가하였다. 김치발효과정 중 총 균수와 Leuconostoc 세균수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발효 1일째에 Leuconostoc 균수, 총 균수가 최대에 달했으며 Leuconostoc 균수는 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장김치와 소금김치 간에는 발효 중 균수의 차이가 없었으며 sucrose를 첨가한 경우에도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김치에서 점성물질이 생성되는 것은 균수에 의한 차이가 아니라 점성물질 생성 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고등어의 가공 및 저장중의 히스타민 생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2) Glucose, Glycine, Sucrose 및 Sorbic Acid의 영향 (Effect of Food Additives on the Histamine Formation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of Mackerel (2) Effect of Glucose, Glycine, Sucrose and Sorbic Acid)

  • 강진훈;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85-491
    • /
    • 1984
  • 적색육어류의 히스타만생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고등어를 시료로 하여 이에 glucose, sucrose, glycine 및 sorbic acid 등을 첨가하여 저장하여 두고 저장기간에 따른 히스타민함량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시료육의 성상이 히스타민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육의 역쇄정도를 달리 하였을 때의 히스타민함량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1. 균질화한 시료육에 glucose, sucrose 및 glycine을 각각 $5\%$$10\%$ 첨가하여 $25^{\circ}C$에 저장하였을 때 glucose 및 sucrose를 첨가한 것은 히스타민 생성을 다소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glycine을 첨가한 것은 히스타민생성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을 크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10\%$ 첨가한 것은 저장 5일 후에도 히스타민중독한계농도에 달하지 않았다. 2. 마쇄정도가 다른 시료육에 glucose 및 sucrose를 첨가하여 히스타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마쇄정도가 큰 것이 히스타민 생성을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시료육에 sorbic acid를 $0.1\%$$0.2\%$ 첨가하였을 때 히스타민 생성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은 크게 억제되었으며, $0.2\%$ 첨가한 것은 저장 6일째에 히스타민 함량이 최고치(275mg/100g)를 나타내었다.

  • PDF

저온발효에 의한 청주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ju by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 심유미;이상현;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92-501
    • /
    • 2016
  • 본 연구는 청주의 저온발효 제조시 멥쌀과 찹쌀 등 원료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와 누룩투입 비율에 따른 발효 및 청주 품질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멥쌀과 찹쌀 청주의 발효온도를 $10^{\circ}C$, $18^{\circ}C$, $25^{\circ}C$로 달리하여 30-50일간 발효시킨 청주의 발효특성 비교에서, 멥쌀과 찹쌀 청주 모두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발효시 pH가 낮았고 최종 술덧의 pH는 발효온도에 따른 차이가 없이 각각 동일하였으며, 같은 온도에서는 찹쌀보다 멥쌀 술덧의 pH가 낮았다. 총산은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적게 생성되었으며 멥쌀보다 찹쌀로 제조된 술덧에서 많이 생성되었다. 멥쌀 술덧의 유기산은 $18^{\circ}C$에서 가장 적게 생성되었고 찹쌀 술덧은 저온발효일수록 적게 생성되었다. $10^{\circ}C$ 저온에서 발효속도는 늦었으나 최종술덧의 알코올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멥쌀보다 찹쌀을 이용한 술덧의 알코올 발효가 빨랐고 최종 알코올농도도 높았다. 발효온도 $10^{\circ}C$에서 누룩투입비율을 달리한 연구에서는 pH는 누룩투입 비율이 낮을수록 낮았으며 멥쌀보다 찹쌀이 다소 높았다. 누룩투입 비율이 낮을수록 발효초반 가용성 고형분($^{\circ}Brix$)이 낮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생성 속도가 늦었고 최종 알코올 농도도 낮았다. 또한 누룩투입비율이 낮을수록 구연산, 젖산은 적게 사과산 호박산, 초산은 많이 생성되었고, ethyl acetate는 적게 생성되었다. 저온발효시 찹쌀 술덧이 멥쌀보다 알코올 생성 속도도 빨랐고 최종 알코올 농도도 높았다.

안동식혜의 조리법에 관한 연구(II) -발효온도와 시간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 (A Study on the Cookery of Andong Sikhe(II) -Physicochemical Changes upon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ime-)

  • 윤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1-30
    • /
    • 1988
  • 경북북부지역의 전통음청유인 안동식혜를 Schme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12^{\circ}C$에서 48, 60, 72시간동안 발효숙성을 하고 40, 50, $60^{\circ}C$에서는 각각 2, 3, 4시간 발효시킨 후 $12^{\circ}C$에서 20시간 숙성하여 각 조건에서 생성된 비휘발성 유기산과 유리당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발효온도 $40^{\circ}C$에서 pH는 4.66으로 가장 낮았고 각 온도마다 시간경과에 따라 pH가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50^{\circ}C$$60^{\circ}C$에서는 2시간을 제외한 3,4시간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pH가 더 높았다. 당도는 12$^{\circ}C$에서 40, 50, $60^{\circ}C$로 온도상승과 2시간에서 3, 4시간 경과에 비례하여 높았다. 2. 총산도는 발효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반비례적으로 높게 생성되었으며, Oxalate는 control에서만 검출되었을뿐 발효 식혜에서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고, Maleate는 $50^{\circ}C$$60^{\circ}C$에서, Fumalate는 $60^{\circ}C$에서 생성되지 않았으며 전시료중 가장 많이 생성된 산은 Malate였다. 12$^{\circ}C$에서 48시간은 Malate와 Citrate, Fumalate가 실험조건중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Lactate와 Suc-cinate,그리고 Maleate는 $40^{\circ}C$의 3시간 발효에서 가장많이 생성되었다. 3. 유리당중 Fructose는 control에서 검출된 량과 각 온도별에서 검출된 량이 별 변화를 볼 수 없었으나 그 외 당은 온도상승에 따라 glucose는 2~3배정도, Maltose는 2배 이상 증가하였다. 4. 관능검사결과 $40^{\circ}C$에서 3시간 발효시켜 12$^{\circ}C$에서 20시간 숙성시킨 것이 Fructose 0.45%, Glucose 1.25% 그리고 Maltose 11.5%로서 당도는 14.6%였다 또한 유기산으로는 Lactate Succinate 그리고 Maleate가 실험시료중 제일 많이 생성되어 가장 맛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영상기반 3차원 얼굴 모델링 (Image-based 3D Face Modeling)

  • 민경필;전준철;박구락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169-171
    • /
    • 2003
  • 현실감 있는 얼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70년대부터 계속되었지만, 얼굴 구조의 복잡성, 색상과 텍스처의 다양한 분포, 잔주름과 같은 미세한 부분을 표현하기 어렵다는 정들로 인해 아직까지도 계속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하드웨어 의존적인 3차원 얼굴 모델을 생성 방법이 아닌 2차원 얼굴 영상만으로 얼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수행 단계는 크게 얼굴 영역 검출 과정과 얼굴 모델링 과정으로 나뉘어지며, 얼굴 영역 검출을 위해 정규화된 TS 색상값과 얼굴의 피부색에 대한 평균과 공분산을 이용한 마할라노비스 거리 측정법을 이용한다. 얼굴 모델링 과정에서는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추출한 뒤 일반 얼굴 모델에 변형을 주어 모델을 생성한다. 보다 현실감 있는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텍스쳐 매핑 기법을 추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되는 얼굴 모델은 아바타 생성, 화상회의, 인증 시스템과 같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입력 영상에 대한 제약점을 줄이고 또한 사람의 손이 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자동화되어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넙치의 백화현상 규명에 관한 연구 I. 멜라닌 색소 생성에 미치는 효소와 기질의 영향 (Studies on Albinic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I. Effects of Enzyme Activities and Substrates on Melanin Formation)

  • 최영준;강석중;조창환;명정구;김종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65
    • /
    • 1990
  •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효소 및 관련 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자연산 정상넙치와 양식산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 미립자 사료와 생물먹이인 Artemia 및 Rotifer에 대하여 단백질의 함량, 멜라닌 색소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아미노산 조성 및 비타민A와 C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정상넙치표피는 육질에 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나, 백화넙치인 경우는 대체로 비슷한 값이었다.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은 미립자 사료 중 Cl이 가장 높았다. catechal oxidase의 활성은 기질과 조효소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며, 백화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dopa oxidase활성도 동일한 결과였다. 정상넙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백화개체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피의 경우는 정상넙치가 백화넙치에 비하여 7.5배 가량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으로 비교했을 때, 미립자 사료는 Artemia와 Rotifer보다 우수한 단백질원이었다. 그리고 정상넙치의 함황아미노산의 함유량은 백화넙치의 6.3배에 달하였다. 비타민A는 정상 및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C는 정상인 넙치표피가 백화넙치 표피에 비해 약 7.8배였으며, 미립자 사료는 100.83mg/100g으로서 사료 중 가장 높았다. 따라서 넙치표피의 멜라닌색소의 생성에는 기질인 방향족 아미노산과 함황아미노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