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사태 위험도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5초

매개변수에 따른 산사태 위험도의 변화 (Variation of Landslide Risk with Parameters)

  • 이준대;권영철;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5-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하는 지반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GIS의 기반의 확장프로그램인 SINMAP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에 따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험도평가는 매개변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변수인 내부마찰각과 T/R 값의 범위를 각각 3가지와 4가지 패턴으로 결정하였으며, 해석결과를 기존 산사태 결과와 비교하여 산사태 거동을 규명하고 매개변수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지형학적 습윤대를 분석한 결과, 한계습윤대와 포화대가 토석류 영역과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지하수 수렴부가 붕괴시점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형학적 습윤대가 경사분포나 붕적토층의 존재여부, 산사태 유발구조물 등과 복합적으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부마찰각의 하한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한계불안정영역이 50~70%까지 감소되어 안정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경향을 보였으나 낮은 습윤지수 범위에서는 그 영향력이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습윤지수의 범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도평균값을 적용한 경우를 제외하면 모든 Group에서 유사한 안정지수 분포를 보이고 있어 습윤지수보다는 내부마찰각에 민감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사태 활동성분석을 위한 GIS 응용연구 (A GIS Technique to Evaluate Landslide Activity)

  • 김윤종;유일현;김원영;이사로;신은선;송무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83-92
    • /
    • 1996
  • 자연재해중 인간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히는 산사태의 활동성분석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항공사진으로부터 추출되는 산사태 발생지역과 규모(Landslide deposits)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접근이 필요하다. GIS 를 이용하여 서천 및 보령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산사태 발생지역들의 등치선 작도기법(Isopleth mapping)은 도시 및 주변 지역들에 대하여 산사태 활동성분석을 아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지역의 축척 1:15,000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작성된 13년 간격(1978년, 1991년)의 산사태발생 분포도는 대상지역에 대한 산사태 활동성분석은 물론 산사태에 의한 위험 평가(Hazard assessment)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GIS는 산사태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지질학적 요소(지형, 지질, 토양 등)들을 통일된 시스템하에서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였으며, 다양한 지도모형연구에 의한 자료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국가 방재사업과 효과적인 도시계획 등을 위해서 점차 전국토로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산사태 피해면적 변화 예측 (Predicting Landslide Damaged Area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 유송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6-386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산사태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방사업 등 산사태 피해저감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여 장기간의 산사태 위험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피해면적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1980-2010 년의 산사태 피해면적과 강우관측자료를 학습자료로 적용하여 다변량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때 강우관측자료를 통해 SSP 시나리오에서는 제공하는 7가지 강우인자를 추출하였다. 이후 분산팽창지수로 다중공선성을 검정하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차원을 축소하여 2개의 주성분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산사태 피해면적 추정 모형을 도출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2030-2100년까지의 산사태 피해면적 변화를 추정한 결과, 산사태 피해면적은 1981년-2010년의 연평균 산사태 면적의 최대 2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미래 기후변화를 고려한 산사태 피해저감 대책 수립 및 보강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Forecasting of Landslid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강인준;장용구;곽재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3-58
    • /
    • 1993
  • 산사태는 발생빈도는 적으나 자연적 요인이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사면의 안정파괴시 많은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유발시킨다. 최근 산사태 발생지역 예측을 위한 통계적 방법과 현장관측 방법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발생체계의 복잡성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위험지역 예측을 하기 위해 산사태가 발생한 서동지역을 모텔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모텔지역의 지형을 축척 1 : 25,000, 1 : 10,000, 1 : 1,200별 비교를 하기 위해 표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표고 및 경사도의 경중률에 의한 예측을 하였고, 산사태 발생 전의 항공사진을 판독한 결과 산사태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코시 군집 과정을 이용한 산사태 자료 분석 (Analyzing landslide data using Cauchy cluster process)

  • 이기세;김정환;박노욱;이우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2호
    • /
    • pp.345-354
    • /
    • 2016
  • 산사태 자료에서 환경변수들이 산사태 발생 위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현재까지 비동질적 포아송 과정 모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 모형은 산사태 자료에서 쉽게 관측되는 산사태 위치의 군집 현상에 대해 설명하지 못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코시 군집 과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이 실제 산사태 자료에서 얼마나 모형의 적합도를 개선시키는지 K-함수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코시 군집 과정의 모수 추론을 위해 제안된 다양한 추정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하였다.

산사태 예측을 위한 NCAM-LAMP 강수 및 토양수분 DB 구축 (Construction of NCAM-LAMP Precipitation and Soil Moisture Database to Support Landslide Prediction)

  • 소윤영;이수정;최성원;이승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2-163
    • /
    • 2020
  • 실제적인 산사태 대응조치 단계 이전에 산사태위험지수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모니터링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LAMP의 고해상도 강우와 토양수분 예측 자료를 DB화 하고, 산사태 연구자들의 연구대상 지역에 적합한 지도 투영법과 공간해상도로 변환하는 절차를 ArcGIS를 이용하여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ERA5 재분석 강수와 농촌진흥청 10m 깊이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LAMP 모델 강수 및 토양수분 자료를 정량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평가하여 모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LAMP 강우, 토양수분, 증발산 등의 결과 자료를 10m 초고해상도 ArcGIS 포맷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을 실무적으로 상세히 기술하여, 국내 지역에서 WRF 모델의 NetCDF 자료를 ArcGIS로 이용자들이 손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기술적 편의를 제공하였다.

재해지도 중첩을 통한 강원도 강릉시 지방도로의 재해위험분석 (Disaster Analysis of Local roads in Gangneung-si, Gangwon-do through Overlapping disaster maps)

  • 김영환;전계원;이호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6-226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토석류를 동반한 산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산지에서 짧은 시간동안 강우가 집중되어 발생하는 토석류는 고수위의 홍수파를 형성하며 유목 및 흙, 자갈 등이 함께 유동하여 주변도로와 하류지역의 민가나 하천구조물에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특히 강원도 지방도로의 경우 대부분이 산지와 급경사지로 이루어져 있어 집중호우시 산사태나 토석류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부처별로 다양한 풍수해 관련 재해지도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표준모델이 없고, 서로 다른 형태의 지도를 관리하고 있어 재난 발생 시 도로관리에는 효율적인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시 효율적인 지방도로 관리를 목적으로 다양한 재해지도의 중첩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재해를 분석한 결과 산사태와 토석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해당 재해지도를 중첩하여 지방도로 중심의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 PDF

시맨틱 기술과 베이시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Bayesian Network and Semantic Technology)

  • 이상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1-69
    • /
    • 2010
  • 비탈면 혹은 절성토지의 파괴로 사람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미리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여 개발 혹은 자연재해로부터 위험을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은 휴리스틱, 통계학적, 결정론적 혹은 확률론적 방법을 통해 이뤄졌다. 그러나, 적은 현장정보 등으로 분석의 신뢰도가 떨어지거나, 전문가의 경험과 지식을 기존 정량적인 해석모델에 반영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산사태 취약성 분석에 대한 전문가 지식과 공간입력자료의 시맨틱을 추출하여 온톨로지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베이시안 네트워크에 반영하여 확률적인 산사태 모델링을 제안하였다. 기존에 전문가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베이시안 네트워크의 구조 생성을 온톨로지 모델의 지식추론으로 자동화하고, 현장정보뿐만 아니라 전문가 지식을 모델링에 반영하여 조건부 산사태 발생확률분포를 작성하였다. 이 결과를 GIS에 적용하여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작성하였다. 검증을 위해 충남 홍성일원의 오서산 지역에 적용한 결과 기존 산사태 발생흔적과 86.5%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 사용자도 전문가 도움 없이도 광역적인 산사태 취약성 분석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